(Go: >> BACK << -|- >> HOME <<)

이총언

최근 수정 시각:
3
편집
현재 사용중인 아이피가 ACL그룹 IDC #12915에 있기 때문에 편집 권한이 부족합니다.
만료일 : 무기한
사유 : IDC(AS26496)
토론 역사
[ 세가(世家) ]
1·2권
3권
4·5권
태조 · 혜종 · 정종定宗 · 광종 · 경종
6권
7·8·9권
10권
정종靖宗
11·12·13·14권
15·16·17·18·19·20권
21권
22·23·24권
25·26·27권
28·29·30·31·32권
33·34·35권
36권
37권
38·39·40·41·42·43·44권
133·134·135·136·137권열전
45·46권
[ 지(志) ]
47·48·49권 「천문(天文)」 / 50·51·52권 「역(曆)」 / 53·54·55권 「오행(五行)」 / 56·57·58권 「지리(地理)」 / 59·60·61·62·63·64·65·66·67·68·69권 「예(禮)」 / 70·71권 「악(樂)」 / 72권 「여복(輿服)」 / 73·74·75권 「선거(選擧)」 / 76·77권 「백관(百官)」 / 78·79·80권 「식화(食貨)」 / 81·82·83권 「병(兵)」 / 84·85권 「형법(刑法)」
[ 후비·종실·공주 열전(列傳) ]
원정왕후 김씨 · 원화왕후 최씨 · 원성태후 김씨 · 원혜태후 김씨 · 원용왕후 유씨 · 원목왕후 서씨 · 원평왕후 김씨 · 원순숙비 김씨 · 원질귀비 왕씨 · 귀비 유씨 · 궁인 한씨 · 궁인 이씨 · 궁인 박씨
경성왕후 김씨 · 경목현비 왕씨 · 효사왕후 김씨 · 이씨 · 유씨
용신왕후 한씨 · 용의왕후 한씨 · 용목왕후 이씨 · 용절덕비 김씨 · 연창궁주 노씨
상회공주 · (유씨 소생 공주)
애상군 왕방 · 낙랑후 왕경 · 개성후 왕개 · 도애공주
인평왕후 김씨 · 인예순덕태후 이씨 · 인경현비 이씨 · 인절현비 이씨 · 인목덕비 김씨
대각국사 왕후 · 상안공 왕수 · 도생승통 왕탱 · 금관후 왕비 · 변한후 왕음 · 낙랑후 왕침 · 총혜수좌 왕경 · 조선공 왕도 · 부여후 왕수 · 진한후 왕유 · 적경궁주 · 보령궁주
정의왕후 왕씨 · 선희왕후 김씨 · 장경궁주 이씨
정신현비 이씨 · 사숙태후 이씨 · 원신궁주 이씨
-
한산후 왕윤 · 경화왕후 · (사숙태후 소생 공주) · 수안택주
경화왕후 이씨 · 문경태후 이씨 · 문정왕후 왕씨 · 숙비 최씨
상당후 왕필 · 원명국사 징엄 · 대방공 왕보 · 대원공 왕효 · 제안후 왕서 · 통의후 왕교 · 대령궁주 · 흥수궁주 · 안수궁주 · 복령궁주
[ 열전(列傳) ]
92권
93권
94권
95권
96권
97권
98권
99권
100권
101권
102권
103권
104권
105권
106권
107권
108권
109권
110권
111권
112권
113권
114권
121권
「양리(良吏)」
유석 · 왕해 · 김지석 · 최석 · 정운경
홍관 · 고보준 · 정의 · 문대 · 조효립 · 정문감
「효우(孝友)」
문충 · 석주 · 최루백 · 위초 · 서릉 · 김천 · 황수 · 정유 · 조희참 · 정씨 · 손유 · 권거의 노준공 · 신씨 · 윤구생 · 반전 · 군만
122권
133·134·135·136·137권


李悤言
(858~938)
1. 개요2. 생애3. 대중매체에서

1. 개요[편집]

후삼국시대, 고려초기의 호족. 벽진 이씨의 시조.

본거지는 벽진군으로 오늘날 경상북도 성주군이다. 벽진 지역의 호족으로서 신라 말 혼란기에 도적들이 성주 주변 지역을 장악하자 사병을 거느리고 성을 굳게 지켰다.

벽진이씨 어르신 중에서 성산이씨와 벽진이씨가 과거 남매 간에 갈라진 집안이라는 말씀이 있는데, 성주육이씨(星州六李氏)가 동성동본으로 여겨지기도 했던 것을 보면 같은 성주의 호족인 이능일성산이씨 집안과도 가까웠던 것으로 유추된다.

이러한 이총언의 벽진이씨는 성주에 난 두 이씨가 있으니 하나는 벽진장군 이총언(李悤言)의 후예며, 다른 하나는 사공 이능일(李能一)의 후예라는 기록이 있어[1] 조선시대까지도 이능일 세가와 함께 성주 지방을 양분했던 유력 가문이었음이 기록으로 남아있다.

2. 생애[편집]

후삼국시대 영남지역 호족들이 그렇듯 친신라 성향으로 작은 독립세력을 형성하고 수성하고 있었으나 도적과 후백제의 위협 앞에서 작은 세력으로서 전망이 나빴다. 그런 상황에서 이제 막 궁예를 쫓아내고 고려를 건국한 왕건은 왕조의 기틀을 다질 필요가 있었는데, 이에 이총언은 아들 이영(李永)을 보내 왕건 아래에서 일하게 하였다.

또한 이총언은 벽진군에 도적들이 기승하자 이를 평정하고, 치안을 유지하며 성주 일대를 온존하는 데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이러한 공으로써 왕건이 벽진장군(碧珍將軍)으로 이총언을 제수하며 고려 개국공신에 올랐다.

벽진군은 후백제군이 고려의 동맹인 신라와 다툴 때 반드시 지나가야 하는 길목 근처에 있었으므로, 이능일과 이총언이 친고려 세력이 되면서 고려의 통일전쟁 내내 큰 도움이 되었다고 한다. 그의 사후 그의 후손들은 벽진을 본관으로 삼는 벽진 이씨가 되어 조선시대 까지 사대부가로서 명맥을 이어왔다고 한다.

3. 대중매체에서[편집]

태조 왕건에서는 김영인(1940)이 연기하였다. 이총언이 도적들을 평정한 일화를 각색한 대야성 침공 에피소드로 등장한다. 후백제군은 벽진군을 점령하기 위해 대야성을 3번째로 침공하며 따로 신검박영규, 능환 등을 포함한 병사들 5천 명을 보냈는데, 이총언은 1천 명도 안되는 군사로 방심하던 신검의 군사들을 말 그대로 개박살내며 제대로 굴욕을 주었다.잠입한 장수들의 분투와 금강이 최필 옆에서 앞장선 전투 끝에 대야성을 3번만에 겨우 점령한 견훤이 마지막으로 닥달을 하여 근성을 키우라며 남은 패잔병으로 벽진군을 다시 공격하란 서신이 전해지자 신검은 안절부절하며 2차 공격을 하는데 이총언도 이번에는 저들이 독기를 품을꺼라 예상해 성안으로 유인해서 기습하기로 한다.접전 끝에 성문이 한번 열리고 이총언과 이총언의 아들은 군사를 데리고 일단 피해있는다.신검은 도망쳤다 오판하고 이총언을 추격하는데 당연히 이총언의 숨어있던 병력에 의해 화살을 맞았으며 신검,박영규,능환은 겨우 도망치고 남은 군사들도 전멸한다.

재미있는 사실은 벽진군으로 쳐들어온 후백제군 총사 신검 역의 배우 이광기가 하필 본관이 벽진 이씨로 이총언의 33대손이라, 비록 드라마이긴 해도 까마득한 후손과 가문의 시조가 맞서싸우는 실로 기묘한 상황이 벌어졌다는 것. 이 사실이 알려져서 잠시 화제가 되기도 했다. 벽진 이씨 문중의 일부 어르신들은 이광기에게 어떻게 조상님께 무례를 범하냐고 호되게 꾸짖었던 일이 있다.겨우 돌아온 신검은 이 일로 견훤에게 크게 또 추궁받고 벽진군 실패의 책임은 능환에게도 돌아갔다.그렇게 견훤에게 실책을 지적당하니 능환은 파진찬 최승우만 매번 싸고 돈다고 생각하여 능환과 견훤의 관계가 크게 악화되어 갈라지기 시작하는 계기가 된다.
[1] 대동운부군옥 권 9 상성지장리자조(上聲紙章俚字條) 기사. 원문은 星州李有二派一則碧珍將軍李悤言之後又有司空李能一之後다.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
이 저작물은 CC BY-NC-SA 2.0 KR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단, 라이선스가 명시된 일부 문서 및 삽화 제외)
기여하신 문서의 저작권은 각 기여자에게 있으며, 각 기여자는 기여하신 부분의 저작권을 갖습니다.

나무위키는 백과사전이 아니며 검증되지 않았거나, 편향적이거나, 잘못된 서술이 있을 수 있습니다.
나무위키는 위키위키입니다. 여러분이 직접 문서를 고칠 수 있으며, 다른 사람의 의견을 원할 경우 직접 토론을 발제할 수 있습니다.

  •  
  •  
  •  
  •  
  •  
  •  
  •  
  •  
  •  
  •  
  •  
  •  
  •  
  •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