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 BACK << -|- >> HOME <<)

권부

최근 수정 시각:
1
편집
현재 사용중인 아이피가 ACL그룹 IDC #12915에 있기 때문에 편집 권한이 부족합니다.
만료일 : 무기한
사유 : IDC(AS26496)
토론 역사
[ 펼치기 · 접기 ]
고려 초기
(918~981)
광평시중
문벌귀족기
(981~1170)
문하시중
무신정권
(1170~1270)
원 간섭기
(1270~1356)
(도)첨의중찬 · 도첨의시중 · 도첨의정승
여말선초
(1356~1392)
문하시중 · 도첨의정승 · 도첨의시중

[ 펼치기 · 접기 ]
고려 초기
(918~981)
[내의성] 평장사
문벌귀족기
(981~1170)
[내사문하성] 평장사
최승로 서희 최량 왕융 한인경 유방헌 위수여 진적 유진 최사위 최사위 김심언 진적 이예균 왕동영 최항 최항 강감찬 강감찬 유방 장영 최항 채충순 유방 이공 이공 서눌 서눌 류소 이단 이단 이단 황보유의 이단 류소 황보유의 박충숙 유징필 황주량 황주량 최충 최제안 황보영 이작충 최충 황보영 김영기 김원충 김원충 이자연 이자연 왕총지 김정준 박성걸 김정준 김원정
[중서문하성] 평장사
김원정 최유선 임종일 김의진 왕무숭 이정 문정 김약진 이정공 최석 이정공 김양감 최석 김양감 류홍 왕석 김행겸 류홍 최사제 정유산 이안 소태보 소태보 이자위 김상기 류석 김상기 임개 최사추 김선석 황영 최사추 위계정 김선석 임간 임간 이오 이오 위계정 오수증 최홍사 최홍사 이오 윤관 김경용 임의 임의 김경용 오연총 허경 오연총 이위 임간 허경 이자겸 김연 이자겸 김연 조중장 강증 김연 오수증 조중장 김준 임유문 김준 한안인 이자량 김고 임유문 최홍재 김약온 김약온 척준경 척준경 이수 이수 박승중 척준경 김부일 김향 최홍재 최사전 김향 문공인 최자성 최자성 김부식 이준양 임원애 최유 임원준 이자덕 최유 이중 이중 최진 최진 한유충 왕충 임원숙 이인실 이인실 고조기 김영관 최유청 문공원 유필 최관 유필 김영석 최자영 최윤의 이지무 양원준 최함 최유청 박순충 김영부 이지무 최유칭 김영윤 허홍재 허홍재
무신정권
(1170~1270)
임극충 서공 임규 양숙 정중부 윤인첨 윤인첨 한취 이광진 기탁성 민영모 송유인 최충렬 이공승 문극겸 한문준 최세보 이의민 박순필 이혁유 임민비 이광정 조영인 기홍수 임유 최당 최당 우술유 기홍수 이문충 최선 임유 기홍수 김준 차약송 최충헌 최충헌 김봉모 노효돈 이극서 조충 류광식 이연수 김의원 최보돈 최보순 왕규 김취려 최홍윤 금의 이규보 이자성 채송년 최린 기윤숙 김창 최자 김태서 류소 최자 김기손 송순 김기손 김기손 이세재 김기손 이세재 이장용 김순 최온 김지대 류경
원 간섭기
(1270~1356)
류경 김전 채정 김방경 김방경 원부 장길 유천우 황보기
(도)첨의찬성사·도첨의중호
유천우 류경 원부 박항 송송례 홍자번 홍자번 한강 한강 조인규 인후 강수형 박구 신사전 홍문계 김련 정가신 강수사 송분 인후 정가신 인후 김혼 차신 송분, 한희유 정인경 최유엄 한희유 김지숙 최유엄 임익 이덕손 최수황 류비 김혼 차신 채모 김부윤 김혼 안향 최유엄 류비 오윤부 이지저 민훤 정해 왕유소 설영임 조윤통 류비 이혼 김흔 최충소 이혼 김심 김문연 인후 김심 류청신 류청신 배정 박의 권부 이호 권단 홍선 설영임 설경성 민종유 정지연 최비일 오형 권한공 최성지 김사원 이설 김이용 김이 조연수 오잠 오잠 박허중 오잠 박허중 조련 허유전 박전지 윤보 이호 민종유 송영 권준 김이 한악 임중연 전영보 원충 정방길 강융 임중연 전영보 임자송 원충 전언 채홍철 임중연 조적 채하중 민상정 조위 안문개 홍빈 김인연 정천기 오계유 강윤성 윤환 김륜 권겸 박충좌 유방세 김영후 강윤성 전사의 손수경 안축 윤계종 이군해 류돈 이군해 윤신계 손홍량 윤안숙 염제신 허백 윤신계 이곡 류탁 김인호 조일신 조익청 전윤장 윤시우 김자 류탁 정을보 조유 홍언박 김승택 홍언박 류탁 이공수 강윤충 원호 기륜 강순룡 박새안불화 홍언박 윤환 김경직 김인호 김보 최천택 박수년 허백 황석기 강윤충 권적
여말선초
(1356~1392)
[중서문하성] 평장사·평장정사
류탁 허백 황석기 김용 황석기 김용 전보문 김일봉 김승택 이승경 정자후 이겸 안우 이공수 김용 경천흥 류탁 정세운 정세운 이방실
도첨의찬성사
유인우 김용 이공수 경천흥 황상 이성서 송경 안우경 최영 이인복 이구수 이인복 송경 안우경 최영 이구수 김보 이춘부 이인임 권적 이성서 윤택 안우상 우제
문하찬성사
한방신 황상 안우경 최영 강인유 안사기 목인길 지용기 정몽주 지용기 정몽주 배극렴 설장수 조준 권중화 조준 류만수 권중화 윤호 성석린
[ 세가(世家) ]
1·2권
3권
4·5권
태조 · 혜종 · 정종定宗 · 광종 · 경종
6권
7·8·9권
10권
정종靖宗
11·12·13·14권
15·16·17·18·19·20권
21권
22·23·24권
25·26·27권
28·29·30·31·32권
33·34·35권
36권
37권
38·39·40·41·42·43·44권
133·134·135·136·137권열전
45·46권
[ 지(志) ]
47·48·49권 「천문(天文)」 / 50·51·52권 「역(曆)」 / 53·54·55권 「오행(五行)」 / 56·57·58권 「지리(地理)」 / 59·60·61·62·63·64·65·66·67·68·69권 「예(禮)」 / 70·71권 「악(樂)」 / 72권 「여복(輿服)」 / 73·74·75권 「선거(選擧)」 / 76·77권 「백관(百官)」 / 78·79·80권 「식화(食貨)」 / 81·82·83권 「병(兵)」 / 84·85권 「형법(刑法)」
[ 후비·종실·공주 열전(列傳) ]
원정왕후 김씨 · 원화왕후 최씨 · 원성태후 김씨 · 원혜태후 김씨 · 원용왕후 유씨 · 원목왕후 서씨 · 원평왕후 김씨 · 원순숙비 김씨 · 원질귀비 왕씨 · 귀비 유씨 · 궁인 한씨 · 궁인 이씨 · 궁인 박씨
경성왕후 김씨 · 경목현비 왕씨 · 효사왕후 김씨 · 이씨 · 유씨
용신왕후 한씨 · 용의왕후 한씨 · 용목왕후 이씨 · 용절덕비 김씨 · 연창궁주 노씨
상회공주 · (유씨 소생 공주)
애상군 왕방 · 낙랑후 왕경 · 개성후 왕개 · 도애공주
인평왕후 김씨 · 인예순덕태후 이씨 · 인경현비 이씨 · 인절현비 이씨 · 인목덕비 김씨
대각국사 왕후 · 상안공 왕수 · 도생승통 왕탱 · 금관후 왕비 · 변한후 왕음 · 낙랑후 왕침 · 총혜수좌 왕경 · 조선공 왕도 · 부여후 왕수 · 진한후 왕유 · 적경궁주 · 보령궁주
정의왕후 왕씨 · 선희왕후 김씨 · 장경궁주 이씨
정신현비 이씨 · 사숙태후 이씨 · 원신궁주 이씨
-
한산후 왕윤 · 경화왕후 · (사숙태후 소생 공주) · 수안택주
경화왕후 이씨 · 문경태후 이씨 · 문정왕후 왕씨 · 숙비 최씨
상당후 왕필 · 원명국사 징엄 · 대방공 왕보 · 대원공 왕효 · 제안후 왕서 · 통의후 왕교 · 대령궁주 · 흥수궁주 · 안수궁주 · 복령궁주
[ 열전(列傳) ]
92권
93권
94권
95권
96권
97권
98권
99권
100권
101권
102권
103권
104권
105권
106권
107권
108권
109권
110권
111권
112권
113권
114권
121권
「양리(良吏)」
유석 · 왕해 · 김지석 · 최석 · 정운경
홍관 · 고보준 · 정의 · 문대 · 조효립 · 정문감
「효우(孝友)」
문충 · 석주 · 최루백 · 위초 · 서릉 · 김천 · 황수 · 정유 · 조희참 · 정씨 · 손유 · 권거의 노준공 · 신씨 · 윤구생 · 반전 · 군만
122권
133·134·135·136·137권

1. 개요2. 생애3. 평가4. 가족관계
4.1. 조상4.2. 자녀

1. 개요[편집]


(1262 ~ 1346)

고려 원 간섭기의 문신. 본관은 안동 권씨. 초명은 권영(權永), 자는 기경(耆卿)이었다. 이후 이름을 권부(權溥)[1], 자를 제만(齊萬)으로 고쳤다. 시호는 문정(文正).

2. 생애[편집]

15세에 진사시에 합격하고 18세인 충렬왕 5년(1279) 염전시(簾前試)에 급제한다. 고려사 권부 열전에서는 충렬왕 5년에 급제한 뒤 그 다음해에 전시(殿試)에 합격했다고 한다. 첨사부녹사, 국학학유, 박사, 우정언 등을 지냈다가 첨의사인에 오른다. 충렬왕의 양위로 충선왕이 잠시 즉위(1298)하고 사림원(詞林院)을 두니 사림학사 비서감으로 임명되며 곧 우부승지 판예빈시사로 임명된다. 권부(당시 권영)는 박전지 등과 함께 충선왕의 총애를 받았기에 홍정(紅鞓, 붉은 띠)을 하사받기도 한다. 충렬왕 복위(1299) 후에는 좌부승지로서 우사의 조간, 총랑 김태현, 전사간 김호와 함께 정방에서 인사를 담당한다. 곧 밀직학사로 승진하며 판밀직사사, 지도첨의사사를 역임한다. 충렬왕 27년(1301)에는 지공거로서 좌부승지 조간과 함께 진사를 선발한다.

충선왕 원년(1309) 김이용과 함께 평리에 오른다. 충선왕 2년(1310) 찬성사 판총부사에 올라 정방에서 7품 이하 무신의 인사를 맡으며, 충선왕 5년 영가군(永嘉君) 작위를 받는다. 충숙왕 원년(1314) 정승으로 은퇴했던 민지와 함께 고려실록을 더 간략하게 편찬한다. 충숙왕 7년(1320) 마침내 첨의정승 판총부사에 임명되고 수문전대제학 영도첨의사사가 더해진다. 품계는 삼중대광, 관직은 대우문(大右文) 감춘추(監春秋), 작위는 영가부원군으로 올랐으며 추성익조동덕보리공신호를 받는다. 한편 정동행성의 원외낭중, 왕부단사관을 지내기도 하며 한번도 외직에 나가거나 탄핵되지 않는다.

충혜왕이 즉위했다 쫓겨나고 충숙왕이 복위한 뒤 8년(1339) 3월, 충숙왕이 죽으니 충혜왕이 다시 왕위에 오른다. 그러나 원에서 바얀이 충혜왕의 계승을 인정하지 않았으니, 고려에서는 노신들과 재추가 모여 회의한다. 6월에 권부 등이 정동행성에 가서 충혜왕의 복위를 상소했고, 이것이 원 중서성에 전달되기를 기다린다. 심왕의 농간으로 가짜 사절이 와서 복위를 인정하는 것처럼 꾸민 사건이 있기도 했지만 결국 11월 충혜왕이 복위에 성공한다.

권부는 늙은 뒤에도 독서를 계속했는데, 『은대집』 20권에 주석을 달 정도로 배움에 깊이가 있었다. 주자성리학에 주목해 그가 주석을 단 『사서집주』를 간행할 것을 건의했고, 아들 권준, 사위 이제현과 함께 『효행록(孝行錄)』을 짓는 등 초기 성리학자의 한 명으로서 성리학의 길을 닦는다. 고려사 권부 열전에서는 '동방의 성리학이 권부로부터 나왔다.'[2]라고 밝히고 있다.

충목왕 2년(1346) 10월 25일(음력) 병사한다.

3. 평가[편집]

정방에서 13년을 임했고 재상으로 22년 있었으나 이에 스스로 만족하지 않았다. 대개 후하고 삼가는 것이 만석군과 같았고 공정하고 청렴함이 노회신[3]과 같았으니, 오복을 마주하는 것이 또한 마땅하지 않겠는가.[4]

「권부묘지명」.
사람됨은 모남이 없었으나 오랫동안 인사를 맡아 관직을 팔고 재산을 늘렸으니, 당대 사람들이 말하기를, "그 아비 권단의 청렴함과는 현저히 거리가 있다."라고 했다.[5]

『고려사』 권107, 권부 열전.

권부의 사위 이제현이 묘지명에서 그 장인 권부의 청렴하고 공정한 인사를 칭찬하는데, 당대의 평가는 그와는 상반된다.

4. 가족관계[편집]


권부의 증조부는 추밀원부사를 지낸 권수평이고, 조부는 한림학사를 지낸 권위, 부친은 찬성사 판전리로 은퇴하고 문청공(文淸公)의 시호를 받은 권단이다. 외조부는 좌간의대부 노연이다.
  • 처: 변한국대부인 류씨[6]
    • 아들: 길창부원군 권준
    • 아들: 광복군 권종정
    • 아들: 문화군 권고
    • 아들: 계림부원군 왕후[7]
    • 아들: 복안부원군 권겸
    • 사위: ○○군 안유충
    • 사위: 계림부원군 이제현
    • 사위: 순정대군 왕도
    • 사위: 회안대군 왕순

문화 류씨인 정신공 류승[8]의 장녀와 결혼해 5남 4녀를 둔다. 다섯 아들과 네 사위는 출가한 차남을 포함해 모두가 군(君)으로 봉해졌다. 이는 전례 없는 일이었기에 일가구봉군(一家九封君)[9]이라고들 하였다. 또한 넷째 아들 왕후와 둘째 사위 이제현공민왕의 묘정에 함께 배향된 배향공신이기도 하다.

[1] 권부 또는 권보로 알려져 있다. 이름의 溥는 넓을 , 펼 , 물 이름 등 3가지로 발음된다.[2] 東方性理之學, 自溥倡.[3] 당나라의 재상.[4] 任政房十有三年, 位宰相二十有二年, 而不以是自滿. 盖惇謹若萬石君, 公廉若盧懷愼, 嚮用五福, 不亦宜哉.[5] 爲人無圭角, 久典銓衡, 鬻爵營産, 時人以爲, “視其父㫜之淸, 懸遠也.” [6] 문화 류씨[7] 본명은 권재(權載)이다. 충선왕의 양자로 입양되어 왕씨(王氏) 성을 하사받았다. 권부의 사위 이제현과 함께 공민왕의 묘정에 배향되었다.[8] 부친은 첨의중찬 류경(柳璥, 1211-1289)이다.[9] '한 집안에서 아홉 군(君)이 봉해졌다'라는 뜻이다.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
이 저작물은 CC BY-NC-SA 2.0 KR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단, 라이선스가 명시된 일부 문서 및 삽화 제외)
기여하신 문서의 저작권은 각 기여자에게 있으며, 각 기여자는 기여하신 부분의 저작권을 갖습니다.

나무위키는 백과사전이 아니며 검증되지 않았거나, 편향적이거나, 잘못된 서술이 있을 수 있습니다.
나무위키는 위키위키입니다. 여러분이 직접 문서를 고칠 수 있으며, 다른 사람의 의견을 원할 경우 직접 토론을 발제할 수 있습니다.

  •  
  •  
  •  
  •  
  •  
  •  
  •  
  •  
  •  
  •  
  •  
  •  
  •  
  •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