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 BACK << -|- >> HOME <<)

김취려

최근 수정 시각:
9
편집
현재 사용중인 아이피가 ACL그룹 IDC #12915에 있기 때문에 편집 권한이 부족합니다.
만료일 : 무기한
사유 : IDC(AS26496)
토론 역사
[ 펼치기 · 접기 ]
고려 초기
(918~981)
광평시중
문벌귀족기
(981~1170)
문하시중
무신정권
(1170~1270)
원 간섭기
(1270~1356)
(도)첨의중찬 · 도첨의시중 · 도첨의정승
여말선초
(1356~1392)
문하시중 · 도첨의정승 · 도첨의시중

김취려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 펼치기 · 접기 ]
권 1
신라
김유신 ·
신라
장보고 (정연) ·
신라
침나 (소나) ·
고구려
부분노 ·
고구려
을지문덕 ·
고구려
안시성주 ·
백제
흑치상지 ·
고려
유금필 ·
고려
강감찬 ·
고려
양규 ·
고려
윤관
권 2
고려
오연총 ·
고려
김부식 ·
고려
조충 ·
고려
김취려 ·
고려
박서 (송문주) ·
고려
김경손 ·
고려
이자성
권 3
고려
김방경 ·
고려
한희유 ·
고려
원충갑 ·
고려
안우 (김득배 / 이방실) ·
고려
정세운 ·
고려
정지
권 4
고려
최영 ·
조선
이지란 ·
조선
최윤덕 ·
조선
이종생 ·
조선
어유소 ·
조선
이순신 ·
조선
권율
권 5
조선
곽재우 ·
조선
정문부 ·
조선
황진 ·
조선
휴정 (유정 / 영규) ·
조선
정기룡 ·
조선
김시민
권 6
조선
이정암 ·
조선
임중량 ·
조선
김덕령 ·
조선
정충신 ·
조선
김응하 (김응해) ·
조선
임경업 ·
조선
정봉수 ·
조선
유림 (유형)
참고 : 윗첨자의 경우에는 독립적인 열전으로 기록된 것이 아니라 해당 인물의 열전 속에서 함께 설명되는 인물들이다.
고려 중서문하성 문하시중
고려 태사
고려 상장군
고려 상서성 판상서이부사

김취려
김취려
시호
위열공(威烈公)
본관
언양 김씨(彦陽 金氏)
본명
고려사 열전
취려(就礪)
본인 묘지명
취려(就呂)
출생
사망
1234년 음력 2월 21일 (향년 62세)
신장
195cm
부모
부친 김부
모친 대부인(大夫人) 주씨(朱氏)
배우자
부인 조씨(趙氏)
자녀
3남 1녀
묘소
고려 진강현(鎭江縣) 대곡동(大谷洞)
서쪽 언덕(西麓)[1]
1. 개요2. 가족관계3. 생애4. 평가5. 대중매체6. 둘러보기

1. 개요[편집]

고려의 무관이자 문관. 혼란스러웠던 고려 중반기 거란 등 외적의 침입을 막아낸 인물이다.

고려사 김취려 열전에 따르면, 김취려는 키가 195cm[2]에 배꼽까지 오는 긴 수염을 가졌다고 한다. 때문에 그가 관복을 입으려 할 시 시종들이 그의 수염을 들고 있어야 입을 수 있었다고. 이런 인상적인 외모와 강직한 품성 때문인지 고려인들과 몽골 장수도 그를 존경했다고 한다. 사후에도 존경받아 시호를 받고 고종배향공신이 되었다.

2. 가족관계[편집]

김취려는 언양 김씨의 중시조이다.[3] 김취려의 가문인 언양 김씨는 고려 초기에 태조의 딸과 결혼하고 사성을 받은 귀족가문이었으나, 이렇다 할 족적은 남기지 못하다가 김취려 덕분에 크게 번성하게 된다.

본인 묘지명의 기록으론 할아버지는 김언량(金彥良)으로, 금오위(金吾衛) 섭낭장(攝郎將) 직을 맡은 무관이었다. 아버지는 김부(金富)로 금오위(金吾衛) 대장군(大將軍) 직을 맡은 무관이었다.

외할아버지는 주지명(朱此明)으로 검교장군(檢校將軍)이었다. 어머니는 대부인(大夫人) 주씨(朱氏)이다.

아내는 부인 조씨(趙氏)로 3남 1녀를 두었다. 장남은 이름 미상이며 전사했다. 아들 김전(金佺)을 두었고 차남인지 3남인지 알수 없다. 김전의 아들은 김양감이고, 그 딸은 충렬왕비인 숙창원비이다.

3. 생애[편집]

묘지명 기록에는 어려서부터 호기심이 많고 마음이 넓었다고 한다. 대장군인 아버지 덕에 음서제로 관직을 얻어 태자의 호위대가 되었다. 태자부 소속 대정(隊正)에서 시작해 국왕의 호위대인 견룡군(牽龍軍) 행수(行首)가 되었고 견룡군 지유(指諭)로 승진했다. 국왕 호위대에 있다가 처음으로 정규군을 맡게 되는데 정4품 장군(將軍) 직을 맡아 동계로 나간다. 동계에서 인심을 끌어모았고 마침내 종3품 대장군(大將軍)이 된다. 강종 대에 서북면 지병마사(西北面 知兵馬事)가 되어 변방을 순찰하니 백성들은 엄격한 일처리에 김취려를 두려워하면서도 존경했다고 한다.

김취려가 활동할 당시 국제 정세는 북조 금나라가 휘청거리고 유목 제국몽골 제국이 흥하던 무렵이었다. 그러자 당시 금나라의 지배를 받던 거란족 잔당은 대요수국(大遼收國)을 세워 독립을 시도했지만 몽골의 공격에 밀려나 고려 북방에 오게 된다. 다급해진 거란은 고려를 공격해 영토와 식량을 얻고자 했으며 결국 1216년 전쟁이 발발하게 된다. 반드시 승리해야 하는 거란은 거세고 빠르게 진격했고 고려는 다급하게 부대를 조성해 정숙첨을 원수, 조충을 부원수로 삼아 파견한다. 그러나 당시 실권자였던 최충헌은 자신의 권력을 유지하기 위해 최정예 사병들을 출정시키지 않아 병력의 질이 좋지 않았다. 이 전쟁에서 김취려는 상당한 승리를 거뒀지만 중요한 전투 하나를 패배하면서 거란은 서경, 황주, 개경 개성부 북쪽까지 침공한다. 이에 김취려는 금오위(金吾衛) 상장군(上將軍)이 되어 5군을 조성해 다시 진격하니 거란은 서경 북쪽 지역까지 밀려난다.

이 때 몽골과 동하가 고려를 돕겠다는 명분으로 뜬금없게 참전하니 몽골의 사령관 카치운을 만나기 위해 몽골 막사에 간 김취려는 그와 의형제를 맺게 된다. 그렇게 몽골, 동하, 고려 연합군은 거란을 패퇴시키고 거란 요수국왕의 시체를 확인한다. 나이상 의동생이 된 카치운은 김취려에게 고려인 포로와 거란인 포로를 보냈고 김취려는 이들을 데리고 귀환한다. 거란과의 전쟁은 정말 길고 치열했는데 김취려는 장남을 잃고 병에 시달리면서 전투에 임했고 이후 많은 사람의 존경을 얻게 된다.
김취려는 신장이 6척 5촌으로 컸으며 수염은 배 아래까지 내려와 매번 복장을 갖출 때는 반드시 두 명의 여종에게 수염을 나누어 들게 한 뒤 띠를 묶었다. 카치운은 그 우람하고 뛰어난 모습을 보고 그 말씨를 듣고는 크게 기이하게 여기고는 인도하여 나란히 앉아 나이가 몇인가를 물었다. 김취려가 말하기를 "근 예순이오."[4]라고 하자 카치운은 "나는 아직 쉰이 못 되었지만 이미 한 집안이 되었으니 그대는 형이 되어 나를 동생으로 삼겠습니까?"라고 하며 김취려로 하여금 동향하여 앉게 하였다. (...) 며칠 뒤 조충이 다시 오자 카치운이 묻기를 "원수의 나이는 형과 비교하여 누가 많소?"라고 하자 김취려는 말하기를, "나보다 나이가 많소."[5]라고 하니 이내 조충을 인도하여 상좌에 앉도록 하고 (...) 좌정한 후 술자리를 베풀고는 즐거워하였다.

<<고려사>> <김취려 열전>

전쟁 이후에 김취려는 반란을 제압하고 추밀원부사에서 추밀원사(樞密院使)가 되었다. 묘지명에는 금자광록대부(紫光祿大夫) - 참지정사(叅知政事) - 판호부사(判戶部事)가 되었고 또 승진해 수태위(守太尉) - 중서시랑평장사(中書侍郎平章事) - 판병부사(判兵部事)가 되었다. 판병부사에서 판이부사(判吏部事)로 승진했고 수태위에서 수태보(守太保)로 승진했다. 계속 승진해 생전 최종 관작이 수태부(守太傅) - 개부의동삼사(開府儀同三司) - 특진(特進) - 문하시랑평장사(門下侍郎平章事) - 주국(柱國)이 되었다. <고려사>에는 김취려가 문하시중까지 되었다고 하는데 본인 묘지명에는 보이지 않는다.

묘지명에 따르면 1234년 2월 2일부터 조금씩 이 안 좋아진 김취려는 결국 1234년 2월 21일 만 62살의 나이로 서거했고 천자(天子)가 이 소식을 듣고 크게 슬퍼했다고 한다. 사후 추증된 마지막 관작은 수태사(守太師) - 개부의동삼사(開府儀同三司) - 문하시랑평장사(門下侍郎平章事) - 상장군(上將軍) - 판이부사(判吏部事) - 위열공(威烈公)이다.

4. 평가[편집]

고려사나 본인 묘지명이나 한결같이 김취려는 철저히 군법을 지키고 남들에게 함부로 대하지 않아 휘하 군인들도 어긋나는 일을 하지 않고 재상이 되고도 재물을 탐내지 않아 사람들이 칭찬했다고 한다. 이를 보면 당시 개판이던 고려를 지켜내고 대들보가 되준 몇 안되는 무신정권 시대의 위인[6]이라 할 수 있겠다.

참고로 그의 자손들도 재상지종에 들어갈 정도로 꽤 번성했다. 현재도 대중 인지도는 낮은 편이지만, 김취려를 '이달의 인물'로 선정하는 등 명장, 호국 위인으로 기리고 있다.

5. 대중매체[편집]

2003년 KBS 대하드라마 무인시대에서는 배우 안성민[7]이 연기하였다. 극중에서는 최충헌 집권 이후 등장하여 박진재를 따르던 인물로 나왔다. 인사에 불만을 품은 이광실이 거병을 제안할 때는 부정적이다가, 박진재도 끌어들일 거라는 말에 함께 설득하러 갔으나, 박진재가 거부하고 김취려에게도 두경승처럼 정치와 거리를 둔 무장이 되라는 충고를 받고는 모의에 가담하지 않는다. 이후 최충헌에게 숙청당하고 귀양가는 박진재를 배웅하면서 그에게 절대 거병하거나 정치에 관여하지 말고, 훗날 북방의 몽골족들이 침입하게 될 것이니 나라를 지키는 소임에 충실하라는 유언을 듣는다. 그래서 조충이 은근히 최충헌을 도모하는 거사를 하라고 권유를 받거나 경대승을 흠모하는 병사들이 나타나 거병을 권유하지만, 자신은 정치에 뜻이 없고, 경대승도 무인의 전횡을 막지 못하고 이의민, 최충헌 같은 난신적자의 거병의 빌미가 되었을 뿐이며, 자기가 거사에 성공한들 또다른 거병이 이어질 것이라 말하며 거절한다. 최충헌 측에서 보기에 강직한 그는 마음에 들 사람은 아니지만, 그래도 능력이 있기에 버리지 않고 상장군까지 승차한다. 작중 초기의 두경승 포지션 정도.

6. 둘러보기[편집]

[ 세가(世家) ]
1·2권
3권
4·5권
태조 · 혜종 · 정종定宗 · 광종 · 경종
6권
7·8·9권
10권
정종靖宗
11·12·13·14권
15·16·17·18·19·20권
21권
22·23·24권
25·26·27권
28·29·30·31·32권
33·34·35권
36권
37권
38·39·40·41·42·43·44권
133·134·135·136·137권열전
45·46권
[ 지(志) ]
47·48·49권 「천문(天文)」 / 50·51·52권 「역(曆)」 / 53·54·55권 「오행(五行)」 / 56·57·58권 「지리(地理)」 / 59·60·61·62·63·64·65·66·67·68·69권 「예(禮)」 / 70·71권 「악(樂)」 / 72권 「여복(輿服)」 / 73·74·75권 「선거(選擧)」 / 76·77권 「백관(百官)」 / 78·79·80권 「식화(食貨)」 / 81·82·83권 「병(兵)」 / 84·85권 「형법(刑法)」
[ 후비·종실·공주 열전(列傳) ]
원정왕후 김씨 · 원화왕후 최씨 · 원성태후 김씨 · 원혜태후 김씨 · 원용왕후 유씨 · 원목왕후 서씨 · 원평왕후 김씨 · 원순숙비 김씨 · 원질귀비 왕씨 · 귀비 유씨 · 궁인 한씨 · 궁인 이씨 · 궁인 박씨
경성왕후 김씨 · 경목현비 왕씨 · 효사왕후 김씨 · 이씨 · 유씨
용신왕후 한씨 · 용의왕후 한씨 · 용목왕후 이씨 · 용절덕비 김씨 · 연창궁주 노씨
상회공주 · (유씨 소생 공주)
애상군 왕방 · 낙랑후 왕경 · 개성후 왕개 · 도애공주
인평왕후 김씨 · 인예순덕태후 이씨 · 인경현비 이씨 · 인절현비 이씨 · 인목덕비 김씨
대각국사 왕후 · 상안공 왕수 · 도생승통 왕탱 · 금관후 왕비 · 변한후 왕음 · 낙랑후 왕침 · 총혜수좌 왕경 · 조선공 왕도 · 부여후 왕수 · 진한후 왕유 · 적경궁주 · 보령궁주
정의왕후 왕씨 · 선희왕후 김씨 · 장경궁주 이씨
정신현비 이씨 · 사숙태후 이씨 · 원신궁주 이씨
-
한산후 왕윤 · 경화왕후 · (사숙태후 소생 공주) · 수안택주
경화왕후 이씨 · 문경태후 이씨 · 문정왕후 왕씨 · 숙비 최씨
상당후 왕필 · 원명국사 징엄 · 대방공 왕보 · 대원공 왕효 · 제안후 왕서 · 통의후 왕교 · 대령궁주 · 흥수궁주 · 안수궁주 · 복령궁주
[ 열전(列傳) ]
92권
93권
94권
95권
96권
97권
98권
99권
100권
101권
102권
103권
104권
105권
106권
107권
108권
109권
110권
111권
112권
113권
114권
121권
「양리(良吏)」
유석 · 왕해 · 김지석 · 최석 · 정운경
홍관 · 고보준 · 정의 · 문대 · 조효립 · 정문감
「효우(孝友)」
문충 · 석주 · 최루백 · 위초 · 서릉 · 김천 · 황수 · 정유 · 조희참 · 정씨 · 손유 · 권거의 노준공 · 신씨 · 윤구생 · 반전 · 군만
122권
133·134·135·136·137권
[1]인천광역시 강화군 양도면 하일리 산71번지[2] 원문엔 6척 5촌이라 했다. 미터법으로 계산하면 195cm 정도 된다.[3] 언양 김문의 시조는 경순왕의 7남 김선이다.[4] 사실 김취려는 이 당시 그보다 한창 젊은 만 47세였다. '아직 50이 못 되었다'고 스스로 밝히는 카치운의 말로 보아 실제로는 카치운과 동년배였거나 오히려 카치운 쪽이 1~2살 정도 더 많았던 것으로 보이며 어떤 이유에서였는지는 알 수 없지만 뻥카를 친 것인데 일종의 기선제압 내지는 카치운에게 얕보이지 않기 위해 나이를 높이 올려서 말한 것으로 보인다.[5] 조충은 김취려보다 1살 더 많았다.[6] 물론 김경손, 최춘명, 박서, 김윤후, 류경, 김방경, 조충 등도 있다.[7] 야인시대에서 박인애의 오빠를 연기한 배우이다.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
이 저작물은 CC BY-NC-SA 2.0 KR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단, 라이선스가 명시된 일부 문서 및 삽화 제외)
기여하신 문서의 저작권은 각 기여자에게 있으며, 각 기여자는 기여하신 부분의 저작권을 갖습니다.

나무위키는 백과사전이 아니며 검증되지 않았거나, 편향적이거나, 잘못된 서술이 있을 수 있습니다.
나무위키는 위키위키입니다. 여러분이 직접 문서를 고칠 수 있으며, 다른 사람의 의견을 원할 경우 직접 토론을 발제할 수 있습니다.

  •  
  •  
  •  
  •  
  •  
  •  
  •  
  •  
  •  
  •  
  •  
  •  
  •  
  •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