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 BACK << -|- >> HOME <<)

채송년

최근 수정 시각:
1
편집
현재 사용중인 아이피가 ACL그룹 IDC #12915에 있기 때문에 편집 권한이 부족합니다.
만료일 : 무기한
사유 : IDC(AS26496)
토론 역사
[ 세가(世家) ]
1·2권
3권
4·5권
태조 · 혜종 · 정종定宗 · 광종 · 경종
6권
7·8·9권
10권
정종靖宗
11·12·13·14권
15·16·17·18·19·20권
21권
22·23·24권
25·26·27권
28·29·30·31·32권
33·34·35권
36권
37권
38·39·40·41·42·43·44권
133·134·135·136·137권열전
45·46권
[ 지(志) ]
47·48·49권 「천문(天文)」 / 50·51·52권 「역(曆)」 / 53·54·55권 「오행(五行)」 / 56·57·58권 「지리(地理)」 / 59·60·61·62·63·64·65·66·67·68·69권 「예(禮)」 / 70·71권 「악(樂)」 / 72권 「여복(輿服)」 / 73·74·75권 「선거(選擧)」 / 76·77권 「백관(百官)」 / 78·79·80권 「식화(食貨)」 / 81·82·83권 「병(兵)」 / 84·85권 「형법(刑法)」
[ 후비·종실·공주 열전(列傳) ]
원정왕후 김씨 · 원화왕후 최씨 · 원성태후 김씨 · 원혜태후 김씨 · 원용왕후 유씨 · 원목왕후 서씨 · 원평왕후 김씨 · 원순숙비 김씨 · 원질귀비 왕씨 · 귀비 유씨 · 궁인 한씨 · 궁인 이씨 · 궁인 박씨
경성왕후 김씨 · 경목현비 왕씨 · 효사왕후 김씨 · 이씨 · 유씨
용신왕후 한씨 · 용의왕후 한씨 · 용목왕후 이씨 · 용절덕비 김씨 · 연창궁주 노씨
상회공주 · (유씨 소생 공주)
애상군 왕방 · 낙랑후 왕경 · 개성후 왕개 · 도애공주
인평왕후 김씨 · 인예순덕태후 이씨 · 인경현비 이씨 · 인절현비 이씨 · 인목덕비 김씨
대각국사 왕후 · 상안공 왕수 · 도생승통 왕탱 · 금관후 왕비 · 변한후 왕음 · 낙랑후 왕침 · 총혜수좌 왕경 · 조선공 왕도 · 부여후 왕수 · 진한후 왕유 · 적경궁주 · 보령궁주
정의왕후 왕씨 · 선희왕후 김씨 · 장경궁주 이씨
정신현비 이씨 · 사숙태후 이씨 · 원신궁주 이씨
-
한산후 왕윤 · 경화왕후 · (사숙태후 소생 공주) · 수안택주
경화왕후 이씨 · 문경태후 이씨 · 문정왕후 왕씨 · 숙비 최씨
상당후 왕필 · 원명국사 징엄 · 대방공 왕보 · 대원공 왕효 · 제안후 왕서 · 통의후 왕교 · 대령궁주 · 흥수궁주 · 안수궁주 · 복령궁주
[ 열전(列傳) ]
92권
93권
94권
95권
96권
97권
98권
99권
100권
101권
102권
103권
104권
105권
106권
107권
108권
109권
110권
111권
112권
113권
114권
121권
「양리(良吏)」
유석 · 왕해 · 김지석 · 최석 · 정운경
홍관 · 고보준 · 정의 · 문대 · 조효립 · 정문감
「효우(孝友)」
문충 · 석주 · 최루백 · 위초 · 서릉 · 김천 · 황수 · 정유 · 조희참 · 정씨 · 손유 · 권거의 노준공 · 신씨 · 윤구생 · 반전 · 군만
122권
133·134·135·136·137권

蔡松年
? ~ 1251년(고종 38)

1. 개요2. 생애3. 가족관계4. 대중매체에서

1. 개요[편집]

고려의 인물. 동주 평강현(오늘날의 강원도 평강군) 출신으로 시호는 경평(景平)이다. 평강 채씨의 중시조이다.

2. 생애[편집]

고려 명종 때 어전의 행수(行首)로 낭장에 임명되나 본인의 직함은 바꾸지 않은 채로 둔다. 최충헌이 왜 새 직함으로 바꾸지 않았느냐고 물어도 대답하지 않는다. 곁에 있던 사람이 "그의 아버지는 지금 참직(6품 이상 벼슬)에 임명되지 않았는데, 만약 직함을 바꾸고 조로(朝路)에 나가면 그 아버지가 멀리서 보다가 아들인 줄 모르고 하마해 피해갈 것을 염려하는 것입니다."(其父今未拜叅, 若改銜出朝路, 恐乃父望見, 不知其子而下馬避走耳.)라고 대신 그 이유를 답한다. 고려시대의 법제에는 두 관료가 말을 타고 가다 길에서 마주치면 벼슬이 더 낮은 쪽이 말에서 내리거나 피해가야 하는 피마(避馬)의 규정이 있었다. 그 말을 들은 최충헌은 채송년이 의로운 사람이라고 여겨 그 부친에게 참직의 벼슬을 주는데 채송년의 손자 채인규의 묘지명에 따르면 종5품 벼슬인 태묘서령. 채송년 본인도 최충헌 덕에 고위 관직을 두루 역임한다.

고종 15년(1228) 병마사에 있을 때 압록강가의 청새진(淸塞鎭)이 용주(龍州, 평안북도 용천군)와 더불어 반란을 일으키려 한 정황을 조사한다. 채송년이 추궁한 끝에 청새진의 호장이 반란을 부추기는 동요를 만든 정황이 드러나 호장을 처형한다. 고종 17년(1230) 최충헌의 막내아들 최향이 정권 탈취를 위한 반란을 일으킨다. 병마사 채송년은 지병마사 왕유, 부사 김의열과 함께 파견돼 10영(領)(1영=1,000명이니 10영은 약 1만여명)의 군사를 이끌고 토벌한다. 최향은 북산으로 도망갔다가 끝내 잡혀 옥에 갇힌다.

고종 18년(1231) 몽골의 제1차 침입에 대항하기 위해 북계병마사로 임명된다. 집권자 최우의 집에서 열린 재상 회의에서 결정된 안건으로, 채송년은 9월에 각도(道)에서 삼군을 모집해 출병한다. 삼군은 음력 10월에 구주(龜州) 안북성(安北城)에 주둔해 농성한다. 안북성 전투에서 후군진주 대집성 등이 활약 트롤링 하나 결국 참패한다.

고종 23년(1236) 승선(承宣)직에 있을 때 내전에서 연회가 열린다. 채송년은 고종에게 복야 송경인이 처용무를 잘 춘다고 아뢰는데, 송경인은 부끄러운 내색 없이 춤을 춘다. 둘은 이 해에 같이 추밀원부사에 임명된다.

고종 38년(1251) 음력 윤10월 28일, 양력 12월 12일에 죽는다. 사망 당시 관직은 중서시랑평장사였다.

3. 가족관계[편집]

  • 부: 채영
  • 모: 무주 지씨[1]
    • 본인: 채송년
      • 아들: 평장사 채정
      • 며느리: 상장군 유창서의 여식 유씨
        • 손자: 도첨의중찬 채인규
        • 손부: 최영(崔瑛)의 여식 우봉 최씨
          • 증손자: 삼사사 채우
          • 증손자부: 감찰시승 이병의 여식 연안 이씨
채송년의 부친 채영(蔡泳)은 시(試)태묘서령을 지낸다. 아들 채정은 감문위 상장군 유창서(劉昌緖)의 딸과 결혼한다.

4. 대중매체에서[편집]

실제 역사에서는 동선령 전투에서 승리한 명장이나, 드라마 무신에서는 이상하게도 졸장으로 나왔다.[2]
[1] 견훤의 사위인 지훤의 후손.[2] 동선령 전투도 패한 것으로 각색됨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
이 저작물은 CC BY-NC-SA 2.0 KR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단, 라이선스가 명시된 일부 문서 및 삽화 제외)
기여하신 문서의 저작권은 각 기여자에게 있으며, 각 기여자는 기여하신 부분의 저작권을 갖습니다.

나무위키는 백과사전이 아니며 검증되지 않았거나, 편향적이거나, 잘못된 서술이 있을 수 있습니다.
나무위키는 위키위키입니다. 여러분이 직접 문서를 고칠 수 있으며, 다른 사람의 의견을 원할 경우 직접 토론을 발제할 수 있습니다.

  •  
  •  
  •  
  •  
  •  
  •  
  •  
  •  
  •  
  •  
  •  
  •  
  •  
  •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