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 BACK << -|- >> HOME <<)

홍륜

최근 수정 시각:
5
편집
현재 사용중인 아이피가 ACL그룹 IDC #12915에 있기 때문에 편집 권한이 부족합니다.
만료일 : 무기한
사유 : IDC(AS26496)
토론 역사
다른 뜻 아이콘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웹툰 플로우의 등장인물에 대한 내용은 홍륜(플로우)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세가(世家) ]
1·2권
3권
4·5권
태조 · 혜종 · 정종定宗 · 광종 · 경종
6권
7·8·9권
10권
정종靖宗
11·12·13·14권
15·16·17·18·19·20권
21권
22·23·24권
25·26·27권
28·29·30·31·32권
33·34·35권
36권
37권
38·39·40·41·42·43·44권
133·134·135·136·137권열전
45·46권
[ 지(志) ]
47·48·49권 「천문(天文)」 / 50·51·52권 「역(曆)」 / 53·54·55권 「오행(五行)」 / 56·57·58권 「지리(地理)」 / 59·60·61·62·63·64·65·66·67·68·69권 「예(禮)」 / 70·71권 「악(樂)」 / 72권 「여복(輿服)」 / 73·74·75권 「선거(選擧)」 / 76·77권 「백관(百官)」 / 78·79·80권 「식화(食貨)」 / 81·82·83권 「병(兵)」 / 84·85권 「형법(刑法)」
[ 후비·종실·공주 열전(列傳) ]
원정왕후 김씨 · 원화왕후 최씨 · 원성태후 김씨 · 원혜태후 김씨 · 원용왕후 유씨 · 원목왕후 서씨 · 원평왕후 김씨 · 원순숙비 김씨 · 원질귀비 왕씨 · 귀비 유씨 · 궁인 한씨 · 궁인 이씨 · 궁인 박씨
경성왕후 김씨 · 경목현비 왕씨 · 효사왕후 김씨 · 이씨 · 유씨
용신왕후 한씨 · 용의왕후 한씨 · 용목왕후 이씨 · 용절덕비 김씨 · 연창궁주 노씨
상회공주 · (유씨 소생 공주)
애상군 왕방 · 낙랑후 왕경 · 개성후 왕개 · 도애공주
인평왕후 김씨 · 인예순덕태후 이씨 · 인경현비 이씨 · 인절현비 이씨 · 인목덕비 김씨
대각국사 왕후 · 상안공 왕수 · 도생승통 왕탱 · 금관후 왕비 · 변한후 왕음 · 낙랑후 왕침 · 총혜수좌 왕경 · 조선공 왕도 · 부여후 왕수 · 진한후 왕유 · 적경궁주 · 보령궁주
정의왕후 왕씨 · 선희왕후 김씨 · 장경궁주 이씨
정신현비 이씨 · 사숙태후 이씨 · 원신궁주 이씨
-
한산후 왕윤 · 경화왕후 · (사숙태후 소생 공주) · 수안택주
경화왕후 이씨 · 문경태후 이씨 · 문정왕후 왕씨 · 숙비 최씨
상당후 왕필 · 원명국사 징엄 · 대방공 왕보 · 대원공 왕효 · 제안후 왕서 · 통의후 왕교 · 대령궁주 · 흥수궁주 · 안수궁주 · 복령궁주
[ 열전(列傳) ]
92권
93권
94권
95권
96권
97권
98권
99권
100권
101권
102권
103권
104권
105권
106권
107권
108권
109권
110권
111권
112권
113권
114권
121권
「양리(良吏)」
유석 · 왕해 · 김지석 · 최석 · 정운경
홍관 · 고보준 · 정의 · 문대 · 조효립 · 정문감
「효우(孝友)」
문충 · 석주 · 최루백 · 위초 · 서릉 · 김천 · 황수 · 정유 · 조희참 · 정씨 · 손유 · 권거의 노준공 · 신씨 · 윤구생 · 반전 · 군만
122권
133·134·135·136·137권
1. 개요2. 생애3. 기타4. 대중매체

1. 개요[편집]

洪倫
(135?[1] ~ 1374)

고려 말기의 인물. 공민왕의 시해범.

남양 홍씨 중 당홍계에 속한다.
그의 조부 홍언박은 공원왕후 홍씨의 조카로 문하시중을 지낸 중신이었고, 흥왕사의 변 때 공민왕을 호종하다가 김용 일파에게 살해당했다.

부친 홍사우는 왜구 토벌에 공을 세운 명장이었다. 홍사우가 아들 홍륜 때문에 처형될 때 경상도전라도에서 눈물을 흘리지 않는 자가 없었다는 기록이 있다. 그만큼 홍사우는 왜구에게 심하게 피해를 입은 경상도, 전라도에서 크게 활약하여 사람들에게 존경받는 인물이었다. 그러나 불행히도 아들의 죄에 연루되어 처형됐다. 한 마디로 충신 가문에 제대로 먹칠을 한 전형적인 호부견자. 실제로 홍사우 본인도 공민왕에게 홍륜을 가까이 하지 말라고 간언을 하였지만 공민왕은 이를 듣지 않았다.

2. 생애[편집]

나이가 젊고 용모가 아름다운 자를 뽑은 자제위(子弟衛)에 소속되어 공민왕을 가까이에서 보필했다. 먼 친척이 되는 공민왕[2]에게 총애를 받았으나 본인 후궁과 간음을 하라는 더럽고 추찹한 명령을 받기도 하거나, 자제위가 된 후로 궁중에 숙직하면서 1년 내내 휴가가 없었고 이 탓에 원한을 품었다.

공민왕은 자제위 소속 청년들에게 자신의 후비들과 간음하라고 지시를 내렸는데, 정비 안씨를 포함한 다른 후비들은 강력히 거부했으나 3비 익비는 공민왕의 협박에 못 이긴 나머지 홍륜과 성관계를 가져 임신까지 하는 지경에 이르게 된다. 공민왕은 자제위와 후비 사이에서 태어날 아이를 자신의 자식으로 속여 후계자로 만들 생각을 품고 있었기에 익비의 임신 소식을 들은 후 아이[3]의 친아버지인 홍륜을 살해하려고 했다.

홍륜은 환관 최만생으로부터 이 사실을 듣고 공민왕이 취한 틈을 타 자제위 일당과 함께 처소에 침입해 그를 시해한다. 그러나 최만생의 옷에 혈흔이 있는 것을 통해 이인임이 의심을 품었고 이에 최만생을 심문한 끝에 그 진상이 드러나면서, 홍륜은 자제위의 동료들과 함께 체포되어 심문을 받고 자백 후 최만생과 함께 나란히 거열형으로 처형당하는 비참한 최후를 맞았다. 칼에 맞아 죽었다는 이야기도 있다.

3. 기타[편집]

  • 임용한 박사의 의견에 따르면 홍륜이 공민왕에게 원한을 품은 데에는 단지 살인멸구와 휴가 문제 뿐만이 아니라 홍륜의 할아버지였던 홍언박이 흥왕사의 변 때 반란군에게 살해당한 것에 대한 분노도 작용했을 것이라고 한다. 임용한은 김용이 일으킨 흥왕사의 변을 공민왕이 김용을 이용해 일으킨 친위 쿠데타로 보고 있으며 정세운, 안우, 김득배, 이방실 등 당대 군부의 실력자들과 함께 홍언박 등 공민왕 본인이 정치적으로 껄끄러워 하는 이들을 김용을 이용해 처리한 후 나중에 최영을 동원해 김용마저 숙청한 것으로 보고 있다. 따라서 홍언박의 죽음은 전적으로 공민왕의 책임이라는 것. 이러한 견해는 드라마 <신돈>에서도 충실히 재현되었고 홍륜 자신도 같은 형태로 제거될 상황이 되자 선수를 친 것이 공민왕 시해라는 해석이다.

4. 대중매체[편집]

  • 2006년 MBC 드라마 <신돈>에서 마지막회에 정사대로 최만생 및 다른 자제위들과 함께 공민왕을 시해한다. 같은 회차에서 공민왕이 한 자제위에게 왕좌와 목숨을 놓고 칼싸움을 한 직후 이기자 약속대로 망설임 없이 죽이는 것을 보고 다른 자제위들과 경악을 금치 못한다. 사서에서는 공민왕이 지시했다고 나오지만 본작에서는 익비 한씨와 불륜을 저질렀다는 식으로 묘사되며, 사통한 사실을 숨기려고 일부러 감기에 걸렸다고 변명을 하고, 익비는 자신의 아들을 세자 자리에 대신 앉히려는 모습이 나온다.
  • 2008년 개봉한 영화 <쌍화점>에서는 홍륜을 모델로 한 '홍림'이 나오는데 실제 역사와는 다르게 익비 한씨를 모델로 한 왕후와의 성관계만 있었다. 또한 좋지 못한 형벌을 당하기도 했다.
  • 2014년 KBS 드라마 <정도전>에서는 공민왕과 최만생을 죽였지만 이인임의 호위 무사 박가에게 제압당했으며 죽기 전에 자신을 사주한 배후의 인물에게 조종당한 것이라 말하지만 그 배후의 인물인 이인임이 눈 앞에 있다는 사실을 모른 채로 처형되었다. 홍륜 참조.
  • 2015년 SBS 드라마 <육룡이 나르샤>에서는 무술 감독이었던 정두홍이 연기했다. 실존 인물인 홍륜을 모티브로 하는데 고려제일검으로 뛰어난 무술 실력을 가지고 있지만 지친 상태에서 길태미에게 순삭당하며 그 자리를 넘겨준다.
[1] 할아버지 홍언박이 1309년생이니 추측일 뿐이다.[2] 명덕태후는 공민왕의 어머니이므로 공민왕에게 홍륜의 할아버지 홍언박은 나이 차이 많이 나는 외사촌형이다. 그러므로 공민왕은 홍륜에게는 친조부의 고종사촌 된다.[3] 익비는 공민왕 사후 홍륜의 딸을 낳았고, 이 때 태어난 딸은 1376년에 역적의 씨를 살려두면 안 된다는 조정 대신들의 요청으로 살해당했다.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
이 저작물은 CC BY-NC-SA 2.0 KR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단, 라이선스가 명시된 일부 문서 및 삽화 제외)
기여하신 문서의 저작권은 각 기여자에게 있으며, 각 기여자는 기여하신 부분의 저작권을 갖습니다.

나무위키는 백과사전이 아니며 검증되지 않았거나, 편향적이거나, 잘못된 서술이 있을 수 있습니다.
나무위키는 위키위키입니다. 여러분이 직접 문서를 고칠 수 있으며, 다른 사람의 의견을 원할 경우 직접 토론을 발제할 수 있습니다.

  •  
  •  
  •  
  •  
  •  
  •  
  •  
  •  
  •  
  •  
  •  
  •  
  •  
  •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