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 BACK << -|- >> HOME <<)

한종유

최근 수정 시각:
편집
현재 사용중인 아이피가 ACL그룹 IDC #12915에 있기 때문에 편집 권한이 부족합니다.
만료일 : 무기한
사유 : IDC(AS26496)
토론 역사
[ 펼치기 · 접기 ]
고려 초기
(918~981)
광평시중
문벌귀족기
(981~1170)
문하시중
무신정권
(1170~1270)
원 간섭기
(1270~1356)
(도)첨의중찬 · 도첨의시중 · 도첨의정승
여말선초
(1356~1392)
문하시중 · 도첨의정승 · 도첨의시중

[ 세가(世家) ]
1·2권
3권
4·5권
태조 · 혜종 · 정종定宗 · 광종 · 경종
6권
7·8·9권
10권
정종靖宗
11·12·13·14권
15·16·17·18·19·20권
21권
22·23·24권
25·26·27권
28·29·30·31·32권
33·34·35권
36권
37권
38·39·40·41·42·43·44권
133·134·135·136·137권열전
45·46권
[ 지(志) ]
47·48·49권 「천문(天文)」 / 50·51·52권 「역(曆)」 / 53·54·55권 「오행(五行)」 / 56·57·58권 「지리(地理)」 / 59·60·61·62·63·64·65·66·67·68·69권 「예(禮)」 / 70·71권 「악(樂)」 / 72권 「여복(輿服)」 / 73·74·75권 「선거(選擧)」 / 76·77권 「백관(百官)」 / 78·79·80권 「식화(食貨)」 / 81·82·83권 「병(兵)」 / 84·85권 「형법(刑法)」
[ 후비·종실·공주 열전(列傳) ]
원정왕후 김씨 · 원화왕후 최씨 · 원성태후 김씨 · 원혜태후 김씨 · 원용왕후 유씨 · 원목왕후 서씨 · 원평왕후 김씨 · 원순숙비 김씨 · 원질귀비 왕씨 · 귀비 유씨 · 궁인 한씨 · 궁인 이씨 · 궁인 박씨
경성왕후 김씨 · 경목현비 왕씨 · 효사왕후 김씨 · 이씨 · 유씨
용신왕후 한씨 · 용의왕후 한씨 · 용목왕후 이씨 · 용절덕비 김씨 · 연창궁주 노씨
상회공주 · (유씨 소생 공주)
애상군 왕방 · 낙랑후 왕경 · 개성후 왕개 · 도애공주
인평왕후 김씨 · 인예순덕태후 이씨 · 인경현비 이씨 · 인절현비 이씨 · 인목덕비 김씨
대각국사 왕후 · 상안공 왕수 · 도생승통 왕탱 · 금관후 왕비 · 변한후 왕음 · 낙랑후 왕침 · 총혜수좌 왕경 · 조선공 왕도 · 부여후 왕수 · 진한후 왕유 · 적경궁주 · 보령궁주
정의왕후 왕씨 · 선희왕후 김씨 · 장경궁주 이씨
정신현비 이씨 · 사숙태후 이씨 · 원신궁주 이씨
-
한산후 왕윤 · 경화왕후 · (사숙태후 소생 공주) · 수안택주
경화왕후 이씨 · 문경태후 이씨 · 문정왕후 왕씨 · 숙비 최씨
상당후 왕필 · 원명국사 징엄 · 대방공 왕보 · 대원공 왕효 · 제안후 왕서 · 통의후 왕교 · 대령궁주 · 흥수궁주 · 안수궁주 · 복령궁주
[ 열전(列傳) ]
92권
93권
94권
95권
96권
97권
98권
99권
100권
101권
102권
103권
104권
105권
106권
107권
108권
109권
110권
111권
112권
113권
114권
121권
「양리(良吏)」
유석 · 왕해 · 김지석 · 최석 · 정운경
홍관 · 고보준 · 정의 · 문대 · 조효립 · 정문감
「효우(孝友)」
문충 · 석주 · 최루백 · 위초 · 서릉 · 김천 · 황수 · 정유 · 조희참 · 정씨 · 손유 · 권거의 노준공 · 신씨 · 윤구생 · 반전 · 군만
122권
133·134·135·136·137권
1. 개요2. 생애3. 용재총화 속 일화4. 기타

1. 개요[편집]

한종유(韓宗愈, 1287년~1354년)는 충숙·충혜·충목왕 때 벼슬을 한 고려 후기의 문신이다. 호는 복재(復齋)이고 본관은 청주로, 한양에서 태어났다.

2. 생애[편집]

심왕 왕고(瀋王暠)의 무고[1]로 사촌 충숙왕이 원나라로 불려가 유폐되자, 한종유는 이조년(李兆年)과 함께 왕의 환국을 요청하는 글을 원나라에 올렸다.

왕이 귀국한 후 그 공을 인정받아 좌부대언(左副代言)에 임명되었다.

하지만 왕고의 모함으로 충숙왕은 재위 내내 원나라에 압송되었다 풀려났다를 반복했고, 왕고는 스스로 고려왕을 자칭하기도 하는 등의 지속적인 괴롭힘에 왕은 차츰 정치에 싫증을 느껴 한때 왕위를 심양왕에게 넘겨주려 했으나 한종유(韓宗愈)와 대신들의 반대로 이를 취소되었다.

1330년 충혜왕에게 양위하고 원나라에 갔고, 한반도 역사상 최악의 폭군으로 기록되는 충혜왕의 막장짓을 보다못한 원나라는 2년만에 충혜왕을 폐위시킨뒤 충숙왕이 복권되나, 정사에 흥미를 잃은 충숙왕은 8년만에 별세한다.

충혜왕이 다시 왕위에 오르자 조적이 왕고와 작당하여 난을 일으키는데, 한종유, 김륜 등이 이 난을 평정하는데 큰 공을 세웠으며, 이후 원나라에 끌려간 충혜왕을 변호하러 시종의 신분으로 같이 원나라 조정에 가서 그를 변호한다. 이로 인해 그는 공신이 된다.

하지만 곧 충혜왕은 원나라 순제의 명으로 강제로 압송당했고, 귀양가던 중 악양(岳陽)에서 급사한다. 충혜왕의 폭정과 악명에도 귀향길을 따라간 신하는 한종유와 이조년 정도였다.

1344년 원나라의 조칙으로 아직 8살이었던 충목왕을 모시고 귀국하였고, 한종유는 정사를 보필하며 좌정승에 제수된다. 하지만 곧 충목왕이 12살에 요절하고 충정왕이 즉위한다.

한종유는 한양부원군(漢陽府院君)에 봉해지지만, 어린 충목왕 재위 말때부터 심각해진 환관과 외척의 전횡에 질려버린 한종유는 조정에서 물러났다.

한종유는 저자도에 별장을 두고 노후를 보냈으며, 이때 저서로 '복재집(復齋集)'[2] 짓는다.

공민왕 1년(1352)에 서연(書筵)에 들어가니 왕이 예우하였고, 2년뒤 68세에 세상을 떠나자, 공민왕이 문절공(文節公)이라는 시호를 내려주었다.

3. 용재총화 속 일화[편집]

고려 정승 한종유(韓宗愈)는 어렸을 때에, 방탕불기(放蕩不羈)하여 수십 명과 무리를 짜고 언제나 무당들이 노래하고 춤추는 데에 가서 음식을 빼앗아 취하도록 포식하고는 손벽을 치며 양화(楊花) 노래를 부르니, 그때 사람들이 양화도(楊花徒)라고 불렀다. 일찍이 공은 양손에 칠을 하고 밤에 남의 집 빈소로 들어갔다. 그 집 부인이 빈전(殯前)에 와서 곡을 하는데, “임이여, 임이여, 어디로 가셨습니까.” 하자, 공이 장막 사이로 검은 손을 내밀며 가는 소리로, “내 여기 있소.” 하니, 부인은 놀랍고 무서워 달아나고, 공은 제상(祭床)7에 차려놓은 것을 모두 가지고 돌아오는 이런 미친 행동이 많았다. 상국(相國)이 되어 공명(功名)과 사업이 당세에 빛나고, 만년에는 물러나 고향에서 노년을 보냈는데 지금의 한강 상류의 저자도(樗子島)이다. 일찍이 시를 짓기를,

10리 평호에 보슬비 지나고 / 十里平湖細雨過
한 줄기 긴 피리소리 갈대꽃 너머로 들린다 / 一聲長笛隔蘆花
금솥에 국 요리하던 손을 가지고 / 却將金鼎調羹手
한가로이 낚싯대 잡고 해저문 모래밭을 내려간다 / 閑把漁竿下晩沙

하고, 또

검은 사모에 짧은 갈옷으로 지당을 돌아서니 / 烏紗短褐遶池塘
버드나무 언덕 시원한 미풍이 얼굴에 스친다 / 柳岸微風酒面凉
천천이 걸어 돌아오니 산 위엔 달이 떴고 / 緩步歸來山月上
장두에선 아직도 연꽃 향기 스며온다 / 杖頭猶襲藕花香
하였다.

한종유는 시문이 매우 뛰어나기로 유명했고, 위의 시는 동문선(東文選)」에도 한양촌장(漢陽村莊)이란 이름으로 실려있다.

4. 기타[편집]

본래 이 항목은 재차의[3]라는 항목 이름으로 기술되어 있었다.

'되살아난 시체'라는 요괴의 이름을 기술하며 위의 용재총화를 근거로 제시하고 있었으나, 이야기를 읽어보면 알겠지만 '되살아난 시체'에 관한 이야기는 단 한 구절도 보이지 않는다. 그저 한종유(韓宗愈)가 어린시절 무덤에서 사람들을 상대로 장난을 치며 남이 차려놓은 제삿밥을 훔쳐먹은 이야기만 있을 뿐이다.

이 '폰' 요괴 이야기는 영화 방법: 재차의의 제작에 강력한 모티브를 주었다.(..)

[1] 심왕 항목에도 실려있지만, 그의 할머니인 정화궁주제국대장공주에게 심한 괴롭힘을 받았다. 또 허울 뿐인 심양의 왕 보단 고려 왕위에 욕심을 냈다.[2] 구한말 고종 때 출판된 이도자의 이름이 같은 저서가 있으나, 500년의 격차가 있다.[3] 在此矣, '여기있다'의 한역(漢譯)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
이 저작물은 CC BY-NC-SA 2.0 KR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단, 라이선스가 명시된 일부 문서 및 삽화 제외)
기여하신 문서의 저작권은 각 기여자에게 있으며, 각 기여자는 기여하신 부분의 저작권을 갖습니다.

나무위키는 백과사전이 아니며 검증되지 않았거나, 편향적이거나, 잘못된 서술이 있을 수 있습니다.
나무위키는 위키위키입니다. 여러분이 직접 문서를 고칠 수 있으며, 다른 사람의 의견을 원할 경우 직접 토론을 발제할 수 있습니다.

  •  
  •  
  •  
  •  
  •  
  •  
  •  
  •  
  •  
  •  
  •  
  •  
  •  
  •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