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 BACK << -|- >> HOME <<)

이인로

최근 수정 시각:
1
편집
현재 사용중인 아이피가 ACL그룹 IDC #12915에 있기 때문에 편집 권한이 부족합니다.
만료일 : 무기한
사유 : IDC(AS26496)
토론 역사

[ 세가(世家) ]
1·2권
3권
4·5권
태조 · 혜종 · 정종定宗 · 광종 · 경종
6권
7·8·9권
10권
정종靖宗
11·12·13·14권
15·16·17·18·19·20권
21권
22·23·24권
25·26·27권
28·29·30·31·32권
33·34·35권
36권
37권
38·39·40·41·42·43·44권
133·134·135·136·137권열전
45·46권
[ 지(志) ]
47·48·49권 「천문(天文)」 / 50·51·52권 「역(曆)」 / 53·54·55권 「오행(五行)」 / 56·57·58권 「지리(地理)」 / 59·60·61·62·63·64·65·66·67·68·69권 「예(禮)」 / 70·71권 「악(樂)」 / 72권 「여복(輿服)」 / 73·74·75권 「선거(選擧)」 / 76·77권 「백관(百官)」 / 78·79·80권 「식화(食貨)」 / 81·82·83권 「병(兵)」 / 84·85권 「형법(刑法)」
[ 후비·종실·공주 열전(列傳) ]
원정왕후 김씨 · 원화왕후 최씨 · 원성태후 김씨 · 원혜태후 김씨 · 원용왕후 유씨 · 원목왕후 서씨 · 원평왕후 김씨 · 원순숙비 김씨 · 원질귀비 왕씨 · 귀비 유씨 · 궁인 한씨 · 궁인 이씨 · 궁인 박씨
경성왕후 김씨 · 경목현비 왕씨 · 효사왕후 김씨 · 이씨 · 유씨
용신왕후 한씨 · 용의왕후 한씨 · 용목왕후 이씨 · 용절덕비 김씨 · 연창궁주 노씨
상회공주 · (유씨 소생 공주)
애상군 왕방 · 낙랑후 왕경 · 개성후 왕개 · 도애공주
인평왕후 김씨 · 인예순덕태후 이씨 · 인경현비 이씨 · 인절현비 이씨 · 인목덕비 김씨
대각국사 왕후 · 상안공 왕수 · 도생승통 왕탱 · 금관후 왕비 · 변한후 왕음 · 낙랑후 왕침 · 총혜수좌 왕경 · 조선공 왕도 · 부여후 왕수 · 진한후 왕유 · 적경궁주 · 보령궁주
정의왕후 왕씨 · 선희왕후 김씨 · 장경궁주 이씨
정신현비 이씨 · 사숙태후 이씨 · 원신궁주 이씨
-
한산후 왕윤 · 경화왕후 · (사숙태후 소생 공주) · 수안택주
경화왕후 이씨 · 문경태후 이씨 · 문정왕후 왕씨 · 숙비 최씨
상당후 왕필 · 원명국사 징엄 · 대방공 왕보 · 대원공 왕효 · 제안후 왕서 · 통의후 왕교 · 대령궁주 · 흥수궁주 · 안수궁주 · 복령궁주
[ 열전(列傳) ]
92권
93권
94권
95권
96권
97권
98권
99권
100권
101권
102권
103권
104권
105권
106권
107권
108권
109권
110권
111권
112권
113권
114권
121권
「양리(良吏)」
유석 · 왕해 · 김지석 · 최석 · 정운경
홍관 · 고보준 · 정의 · 문대 · 조효립 · 정문감
「효우(孝友)」
문충 · 석주 · 최루백 · 위초 · 서릉 · 김천 · 황수 · 정유 · 조희참 · 정씨 · 손유 · 권거의 노준공 · 신씨 · 윤구생 · 반전 · 군만
122권
133·134·135·136·137권

1. 개요2. 생애3. 작품
3.1. 서적3.2. 한시
4. 가족관계5. 대중매체에서


李仁老
(1152 ~ 1220)

1. 개요[편집]

고려의 문인. 초명은 이득옥(李得玉)이고 자는 미수(眉叟)다. 본관은 인천.

2. 생애[편집]

이인로는 어려서부터 부모를 여의고, 큰아버지(大叔)였던 화엄승통 요일(寥一)에게서 자랐다. 영리하고 글을 잘 지었으며 초서예서에 능했다. 의종 24년(1170) 정중부 등이 무신정변을 일으키자 머리를 깎고 승려가 되는데, 정변이 끝나고 정권이 교체된 뒤에 환속했다. 1175년 국자감시, 1176년 고예시(考藝試)에 합격했고 명종 10년(1180) 29세의 나이로 문하평장사 민영모, 국자좨주 윤종성이 주관한 진사시에서 장원으로 급제했다. 장인 최영유를 따라 금나라에 사신으로 다녀왔으며 귀국한 뒤 계양관기로 부임했다. 이후 직사관으로 옮기고 14년동안 사한(史翰)직을 오갔다. 죽림고회의 일원으로 어울리며 신종 때 벼슬이 예부원외랑에 이르렀고, 고종 초 비서감 우간의대부에 임명됐다. 문학 작품으로 명성을 떨친 이인로는 과거 시험을 주관하라는 왕명을 받았으나, 고종 7년(1220) 홍도정(紅桃井) 자택에서 병사함으로 뜻을 이루지 못했다.

3. 작품[편집]

  • 『은대집(銀臺集)』 20권
  • 『후집(後集)』 4권
  • 『쌍명재집(雙明齋集)』 3권
  • 파한집』 3권
  • 섬계승흥(剡溪乘興)
  • 개미(蟻)
  • 소요원(逍遙園)
  • 중구후(重九後)
  • 앵무(鸚鵡)
  • 매화(梅花)
  • 눈(雪)
  • 승원차마(僧院茶磨)
  • 명비 장편(明妃長篇)
  • 제 진부역(題珍富驛)
  • 춘일강행(春日江行)
  • 어양회고(漁陽懷古)

최자가 이인로의 『파한집』을 보안하며 쓴 『보한집』에 이인로가 지은 한시가 여럿 남아있다.

4. 가족관계[편집]

  • 처: 최씨
    • 아들: 이정
    • 아들: 이양
    • 아들: 이온
    • 아들: 이균
    • 아들: 이세황
  • ?
    • 아들: 이아대

이인로는 이오의 증손자[1]다. 또한 이세황이 쓴 파한집의 발문에 따르면 이인로의 장인(氷淸)은 사업(司業) 최영유(崔永濡)다.

고려사 이인로 열전에 따르면 이인로의 세 아들은 모두 과거에 급제했다. 파한집에 따르면 장남 이정은 4등, 차남 이양은 3등, 삼남 이온은 2등으로 급제했다. 고양월사 각훈은 세 아들의 급제를 축하하며 이인로에게 전한 시에서 "항상 용두(장원 급제)를 피하는 것은 노옹(이인로)께 양보하는 것이로구나."[2] 라고 했다.

동국이상국집 14권에 "시랑 이미수가 자기 아들 균(囷)의 동일(冬日) 시를 화답하여 내 아들 함(涵)에게 화답할 것을 명하고 또 함을 시켜 나를 맞이하여 함께 시를 짓고자 하기에 나도 그 시운을 차하여 받들어 부치다(李侍郞眉叟和郞子囷冬日詩。命愚息涵和之。又使涵邀予同賦。故次韻奉寄。)" 라는 시에서 이균이 나온다.
파한집 발문에 따르면 합문지후 이세황은 이인로의 얼자이고, 또한 신종 7년(1204)에 진동(珍洞, 진산군)에 부임한 아대(阿大)라는 아들이 있다.

5. 대중매체에서[편집]

[1] 다만 실제 세대상으로는 본가 기준 5대손 정도 항렬에 해당하는데, 서출을 두 번 정도 낀 것으로 추정된다. 이인로의 어머니가 언급되는 것을 보면 할아버지도 이오의 서자이고 아버지도 할아버지의 서자인 듯. 참고로 파한집에서 이광진의 아들 이유경을 자신(이인로)의 사촌동생이라 했기 때문에, 이광진은 이인로의 숙부이다.[2] 尙避龍頭讓老翁.[3] 태조 왕건에서는 오다련 역, 대조영에서는 계진 역을 맡았던 원로배우다.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
이 저작물은 CC BY-NC-SA 2.0 KR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단, 라이선스가 명시된 일부 문서 및 삽화 제외)
기여하신 문서의 저작권은 각 기여자에게 있으며, 각 기여자는 기여하신 부분의 저작권을 갖습니다.

나무위키는 백과사전이 아니며 검증되지 않았거나, 편향적이거나, 잘못된 서술이 있을 수 있습니다.
나무위키는 위키위키입니다. 여러분이 직접 문서를 고칠 수 있으며, 다른 사람의 의견을 원할 경우 직접 토론을 발제할 수 있습니다.

  •  
  •  
  •  
  •  
  •  
  •  
  •  
  •  
  •  
  •  
  •  
  •  
  •  
  •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