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 BACK << -|- >> HOME <<)

윤소종

최근 수정 시각:
2
편집
현재 사용중인 아이피가 ACL그룹 IDC #12915에 있기 때문에 편집 권한이 부족합니다.
만료일 : 무기한
사유 : IDC(AS26496)
토론 역사
[ 세가(世家) ]
1·2권
3권
4·5권
태조 · 혜종 · 정종定宗 · 광종 · 경종
6권
7·8·9권
10권
정종靖宗
11·12·13·14권
15·16·17·18·19·20권
21권
22·23·24권
25·26·27권
28·29·30·31·32권
33·34·35권
36권
37권
38·39·40·41·42·43·44권
133·134·135·136·137권열전
45·46권
[ 지(志) ]
47·48·49권 「천문(天文)」 / 50·51·52권 「역(曆)」 / 53·54·55권 「오행(五行)」 / 56·57·58권 「지리(地理)」 / 59·60·61·62·63·64·65·66·67·68·69권 「예(禮)」 / 70·71권 「악(樂)」 / 72권 「여복(輿服)」 / 73·74·75권 「선거(選擧)」 / 76·77권 「백관(百官)」 / 78·79·80권 「식화(食貨)」 / 81·82·83권 「병(兵)」 / 84·85권 「형법(刑法)」
[ 후비·종실·공주 열전(列傳) ]
원정왕후 김씨 · 원화왕후 최씨 · 원성태후 김씨 · 원혜태후 김씨 · 원용왕후 유씨 · 원목왕후 서씨 · 원평왕후 김씨 · 원순숙비 김씨 · 원질귀비 왕씨 · 귀비 유씨 · 궁인 한씨 · 궁인 이씨 · 궁인 박씨
경성왕후 김씨 · 경목현비 왕씨 · 효사왕후 김씨 · 이씨 · 유씨
용신왕후 한씨 · 용의왕후 한씨 · 용목왕후 이씨 · 용절덕비 김씨 · 연창궁주 노씨
상회공주 · (유씨 소생 공주)
애상군 왕방 · 낙랑후 왕경 · 개성후 왕개 · 도애공주
인평왕후 김씨 · 인예순덕태후 이씨 · 인경현비 이씨 · 인절현비 이씨 · 인목덕비 김씨
대각국사 왕후 · 상안공 왕수 · 도생승통 왕탱 · 금관후 왕비 · 변한후 왕음 · 낙랑후 왕침 · 총혜수좌 왕경 · 조선공 왕도 · 부여후 왕수 · 진한후 왕유 · 적경궁주 · 보령궁주
정의왕후 왕씨 · 선희왕후 김씨 · 장경궁주 이씨
정신현비 이씨 · 사숙태후 이씨 · 원신궁주 이씨
-
한산후 왕윤 · 경화왕후 · (사숙태후 소생 공주) · 수안택주
경화왕후 이씨 · 문경태후 이씨 · 문정왕후 왕씨 · 숙비 최씨
상당후 왕필 · 원명국사 징엄 · 대방공 왕보 · 대원공 왕효 · 제안후 왕서 · 통의후 왕교 · 대령궁주 · 흥수궁주 · 안수궁주 · 복령궁주
[ 열전(列傳) ]
92권
93권
94권
95권
96권
97권
98권
99권
100권
101권
102권
103권
104권
105권
106권
107권
108권
109권
110권
111권
112권
113권
114권
121권
「양리(良吏)」
유석 · 왕해 · 김지석 · 최석 · 정운경
홍관 · 고보준 · 정의 · 문대 · 조효립 · 정문감
「효우(孝友)」
문충 · 석주 · 최루백 · 위초 · 서릉 · 김천 · 황수 · 정유 · 조희참 · 정씨 · 손유 · 권거의 노준공 · 신씨 · 윤구생 · 반전 · 군만
122권
133·134·135·136·137권


尹紹宗
1345년 ~ 1393년

1. 개요2. 생애3. 여담4. 대중매체에서5. 같이보기

1. 개요[편집]

여말선초의 인물. 자는 헌숙(憲叔). 호는 동정(桐亭). 윤택의 손자. 본관은 무송.

이제현이색의 제자이며 신진사대부로, 고려 대과에 장원급제했고 저술에 큰 재능을 보여 역사 편찬의 업무를 맡아 출사하였고 이후 간관이 되어 황제가 총애하는 신하와 내시들을 극언하는 소를 올렸으나 좌절되었다. 고려에 깊은 회의를 느낀 그는 이후 조준, 정도전과 어울리며 과격함과 과단성으로 태조 이성계의 정치적 돌격대장 역할을 했다. 고려파 사대부권문세가들에게 당여들이 밀릴 때마다 직접 과격한 상소를 올리거나 동지들을 규합해 불리한 조정 여론을 돌파했다. 타협을 모르는 성정으로 정적들이 많았고 태조에게도 정치적 부담을 안기기도 해, 정몽주 등 고려파 사대부들의 참소로 유배를 떠나야 했다. 정몽주 암살 후 돌아왔지만 건강을 크게 해친 후였다.

회군 3등 공신에는 책록됐지만 조선 건국 이듬해 세상을 떠나는 바람에 영화를 다 누리지는 못했다.[1] 경서에도 정밀했다는 평가이다. 집현전 대제학 윤회의 아버지이다.

2. 생애[편집]

총명하고 민첩하면서 학문을 좋아해 20세가 되기 전에 시문에 익숙해 이제현이 기이한 재주라 여겼으며, 공민왕 때 조선의 대과와 같은 예부시에서 을과 1등을 하여 선발되었다. 급제자 중 저술 실력이 가장 뛰어나 춘추수찬(春秋修撰)으로 벼슬을 시작하였으며 이후 좌정언이 되었다. 이때 황제의 총애를 받는 신하인 김흥경과 내시 김사행이 병국해민(病國害民)한다는 극언의 소를 올렸는데 이때부터 말투가 강했다. 황제가 좋아하는 신하들을 두고 그들이 임금의 뜻에만 맞추어 나라를 피폐하게 한다는 주장과 함께, 충렬왕 때부터의 일을 이야기하면서 왕이 놀러다닐 때가 아니라면서 김광대를 참수해 석실 공사를 중지하고 화원을 부숴야 한다는 상소를 올렸는데, 공민왕에게 상소가 올라가기 전에 여러 달 동안 휴가를 내고 직책을 제대로 수행하지 않았다는 핑계로 역으로 탄핵 당하여 파직되었다.

우왕 때 전교시승, 성균관사예, 전의부령, 예문관응교 등을 차례로 역임했고 집안 살림을 돌보지 않아 집이 매우 가난했는데, 이존성이 우왕에게 이야기해 쌀 열 석을 하사받고 전교부령이 되었다.

1388년에 위화도 회군이 일어나고 이성계에게 곽광의 전기인 곽광전을 바쳤고 창왕 때 전교령이 되자 옛 제도를 따르고 축문, 사소와 종묘, 적전의 제사를 왕이 친히 제사를 지내도록 건의했으며, 우사의대부가 되고 이인임의 죄를 논의했다가 등창으로 휴가를 청해 그 틈에 상소가 중지되었다가 대사성으로 승진해 이인임의 죄를 논의하는 상소를 다시 올렸다.

공양왕조준의 천거로 좌상시, 경연감독관이 되었으며, 과거에 조준을 가르친 적이 있었다. 공양왕 때 많은 상소를 올렸다.
  • 이숭인전제개혁에 반대하고 고려파 사대부들과 권문세족을 연합시키려 하자, 영흥군의 옥사를 빌미로 이숭인을 참소.
  • 변안열이 우왕 폐위를 반대하고 반기를 들 낌새가 보이자 처형을 요청하는 상소를 올림.
  • 공양왕에게 정관정요 대신 대학연의[2]를 강의받아야 한다고 상소.[3]
  • 우왕, 창왕을 유배지로 호송한 신하들에게 공신호를 내려주는 것을 반대했지만 거부됨.
  • 승려 찬영을 왕사로 삼으려는 것을 반대. 왕실과 고려 국교였던 불교 기득권 간의 결탁을 끊으려 함.
  • 직접 건의하는 제도를 폐지하자 반대 상소를 올림.
  • 공양왕이 장당현으로 행차할 계획 국고를 낭비하는 대규모 행차 계획을 반대.

장당현으로 행차하는 것에 대한 상소를 올리고 예의판서로 승진했다가 송문중에게 이성계에 대한 이야기를 했는데, 윤소종은 동서 최을의와 노비를 두고 다투다가 반복해에게 청탁해 자기 것으로 만들었고 상시가 되어 시비를 자주 벌여 왕의 미움을 샀다가 위화도 회군의 공으로 과거의 죄를 용서받은 적이 있었다.

그러나 이성계에 대한 이야기를 한 것이 공양왕의 귀에 들어갔으며, 정몽주의 탄핵을 받아 윤소종은 금주로 유배되었다. 이성계는 정몽주를 회유하려 끝까지 노력했지만 소용없었다. 결국 이방원의 손에 정몽주가 죽은 후에야 개경으로 돌아올 수 있었다. 조선이 건국된 후에는 1392년 10월 13일에 병조전서를 지내면서 조준, 정도전, 정충, 박의중과 함께 고려사를 편찬했으며, 1393년 8월 2일에 병으로 사직했다가 9월 17일에 사망했다.

3. 여담[편집]

  • 철저한 유교(성리학) 원리주의자였다. 조선이 성립된 다음, 태조불교에 대해 호의적인 모습을 보이자, 성석린 등과 함께 척불상소를 올려서 불교 척결을 주장하기도 하는 등 쉽게 말해 불교라면 치를 떠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여러가지로 당대 관인들보다는 후대 사림과 비슷하다고 보여질 정도로 철저하게 유교원리주의를 주장한 인물.[4]
  • 지독한 공민왕 바라기였다. 그의 문집인 동정집을 보면 엄청난 양의 공민왕에 관련된 한시들이 나오는데, 공민왕이 살아 있던 시절엔 공민왕을 찬양하던 시들이 있었고, 공민왕 사후 조선에 이르기까지 공민왕을 그리워하는 시들을 많이 남겼다. 동정집의 문헌을 읽어보면, 윤소종의 고려에 대한 태도는 공민왕 생전과 공민왕 사후로 극명하게 갈리는데, 공민왕이 죽은 이후에 전조를 멸망하고 새로운 왕조를 세워야한다는 시를 짓기도 했다. 물론 고려가 멸망하고 조선이 들어선 이후로도 공민왕에 대한 애절한 충심은 변하지 않아서 속에서 공민왕이 나와서 눈물을 흘렸다는 내용의 시도 있는 걸 봐서는 죽을 때까지 공민왕에 대한 충성심은 변하지 않았던 것 같다.
  • 어느 날 고려의 마지막 임금 공양왕정몽주에게 정관정요를 강독하게 했는데, 이때 윤소종이 "군주로서 요순과 삼대[5]를 모범으로 삼아야지 당태종은 따를 것이 못 된다"라며 정관정요 대신 대학연의(大學衍義)를 권했다고 한다. 두 책 모두 군주의 치세를 다루지만, 정관정요는 특히 강한 왕권으로 제국을 이룬 당태종의 제왕학을 다뤄, 공양왕이 이성계의 힘으로 왕위에 오른 주제에 정치적 야심을 보인 데 대한 경고이기도 했다. 윤소종은 아직은 명목상 고려의 신하였고 왕을 능멸한 셈이지만 유교적 이상향인 조선을 세우기 위해서라면 거침없었다.
  • 저서로는 동정집이 있으며, 그의 아들이 세종 때 집현전 대제학인 윤회인데, '구슬 삼킨 거위 때문에 하루 종일 묶여 있었다'는 일화로 유명한 인물이다.

4. 대중매체에서[편집]

  • 1996년 KBS 드라마 <용의 눈물>에서는 배우 박웅[7]이 연기했다. 이 작품은 위화도 회군부터 시작하기는 했지만 고려 말기는 간단히 다루고 조선 건국부터 심도 있게 묘사했는데, 개국 이듬해에 세상을 떠나는 바람에 비중이 별로 없었다. 159부짜리 대작인 관계로 원체 많은 인물들이 등장하는지라 한 사람 한 사람을 자세히 조명하기 어려운 면도 있었다.
  • 2014년 KBS 드라마 <정도전>에서는 배우 이병욱이 연기했다. 꼿꼿한 성격, 독설, 프로 어그로꾼, 아가리 파이터 등의 강렬한 캐릭터로 윤소종의 대중적 인지도를 확 올려줬다. 덕분인지 나무위키에서는 실존 인물로서의 항목보다도 드라마 캐릭터로서의 항목이 먼저 생성되었을 정도인데 각색된 점이 있긴 했지만 실제 성격을 고스란히 묘사한 편이다. 문서 참고.
  • 2015년 SBS 드라마 <육룡이 나르샤>에서는 특정 배역으로 출연하지는 않는다. 위화도 회군 이후 이성계에 의해 성균대사성으로 추천되었다는 언급이 잠깐 나오는 것이 전부. 이후 극이 폭풍 전개되어 1394년 이후로 시점이 바뀌면서 1393년 사망한 그로서는 등장하는 일이 없게 되었다.
  • 2021년 KBS 드라마 <태종 이방원>에서는 배우 박유승이 연기했다. 그런데 1394년 시점인 11회에서도 등장하여 옥에 티 중 하나가 되었다.

5. 같이보기[편집]

[1] 그래서 아이러니하게도 조선이 아닌 고려 공신이다.[2] 중국 송나라 진덕수(眞德秀) 작으로 조선시대에는 세조의 명으로 이석형(李石亨, 1415년 ~ 1477년)이 대학연의집략을 편찬하기도 하였다.[3] 정관정요는 국가를 다스리는 경륜을 담은 책으로 제왕만이 읽을 수 있었다. 세자가 아닌 왕자가 읽으면 역심을 오해받을 정도의 책이었다.[4] 사실 여말선초 당시의 신진사대부들은 일단 국시로 유교를 받아들이긴 했지만, 아직 유교에 대한 이해도는 그리 깊지 않았다. 그래서 세조 때까지만 해도 겉으로는 유교를 주장하면서도 스님이랑 같이 놀거나 유학을 탐구하기보다는 문장을 아름답게 하는데 치중하는 경향이 강했다. 본격적인 유교원리주의의 등장은 성종 이후에서야 나타나기 시작해서 이들이 사림파를 이루게 된다.[5] 고대 중국의 세 왕조 , , 왕조를 이른다.[6] 2000년 KBS 드라마 <태조 왕건>에서는 박지윤 역.[7] 1998년 KBS 드라마 <왕과 비>에서는 정인지 역, 2011년 JTBC 드라마 <인수대비>에서는 양녕대군 역.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
이 저작물은 CC BY-NC-SA 2.0 KR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단, 라이선스가 명시된 일부 문서 및 삽화 제외)
기여하신 문서의 저작권은 각 기여자에게 있으며, 각 기여자는 기여하신 부분의 저작권을 갖습니다.

나무위키는 백과사전이 아니며 검증되지 않았거나, 편향적이거나, 잘못된 서술이 있을 수 있습니다.
나무위키는 위키위키입니다. 여러분이 직접 문서를 고칠 수 있으며, 다른 사람의 의견을 원할 경우 직접 토론을 발제할 수 있습니다.

  •  
  •  
  •  
  •  
  •  
  •  
  •  
  •  
  •  
  •  
  •  
  •  
  •  
  •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