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 BACK << -|- >> HOME <<)

최춘명

최근 수정 시각:
편집
현재 사용중인 아이피가 ACL그룹 IDC #12915에 있기 때문에 편집 권한이 부족합니다.
만료일 : 무기한
사유 : IDC(AS26496)
토론 역사
[ 세가(世家) ]
1·2권
3권
4·5권
태조 · 혜종 · 정종定宗 · 광종 · 경종
6권
7·8·9권
10권
정종靖宗
11·12·13·14권
15·16·17·18·19·20권
21권
22·23·24권
25·26·27권
28·29·30·31·32권
33·34·35권
36권
37권
38·39·40·41·42·43·44권
133·134·135·136·137권열전
45·46권
[ 지(志) ]
47·48·49권 「천문(天文)」 / 50·51·52권 「역(曆)」 / 53·54·55권 「오행(五行)」 / 56·57·58권 「지리(地理)」 / 59·60·61·62·63·64·65·66·67·68·69권 「예(禮)」 / 70·71권 「악(樂)」 / 72권 「여복(輿服)」 / 73·74·75권 「선거(選擧)」 / 76·77권 「백관(百官)」 / 78·79·80권 「식화(食貨)」 / 81·82·83권 「병(兵)」 / 84·85권 「형법(刑法)」
[ 후비·종실·공주 열전(列傳) ]
원정왕후 김씨 · 원화왕후 최씨 · 원성태후 김씨 · 원혜태후 김씨 · 원용왕후 유씨 · 원목왕후 서씨 · 원평왕후 김씨 · 원순숙비 김씨 · 원질귀비 왕씨 · 귀비 유씨 · 궁인 한씨 · 궁인 이씨 · 궁인 박씨
경성왕후 김씨 · 경목현비 왕씨 · 효사왕후 김씨 · 이씨 · 유씨
용신왕후 한씨 · 용의왕후 한씨 · 용목왕후 이씨 · 용절덕비 김씨 · 연창궁주 노씨
상회공주 · (유씨 소생 공주)
애상군 왕방 · 낙랑후 왕경 · 개성후 왕개 · 도애공주
인평왕후 김씨 · 인예순덕태후 이씨 · 인경현비 이씨 · 인절현비 이씨 · 인목덕비 김씨
대각국사 왕후 · 상안공 왕수 · 도생승통 왕탱 · 금관후 왕비 · 변한후 왕음 · 낙랑후 왕침 · 총혜수좌 왕경 · 조선공 왕도 · 부여후 왕수 · 진한후 왕유 · 적경궁주 · 보령궁주
정의왕후 왕씨 · 선희왕후 김씨 · 장경궁주 이씨
정신현비 이씨 · 사숙태후 이씨 · 원신궁주 이씨
-
한산후 왕윤 · 경화왕후 · (사숙태후 소생 공주) · 수안택주
경화왕후 이씨 · 문경태후 이씨 · 문정왕후 왕씨 · 숙비 최씨
상당후 왕필 · 원명국사 징엄 · 대방공 왕보 · 대원공 왕효 · 제안후 왕서 · 통의후 왕교 · 대령궁주 · 흥수궁주 · 안수궁주 · 복령궁주
[ 열전(列傳) ]
92권
93권
94권
95권
96권
97권
98권
99권
100권
101권
102권
103권
104권
105권
106권
107권
108권
109권
110권
111권
112권
113권
114권
121권
「양리(良吏)」
유석 · 왕해 · 김지석 · 최석 · 정운경
홍관 · 고보준 · 정의 · 문대 · 조효립 · 정문감
「효우(孝友)」
문충 · 석주 · 최루백 · 위초 · 서릉 · 김천 · 황수 · 정유 · 조희참 · 정씨 · 손유 · 권거의 노준공 · 신씨 · 윤구생 · 반전 · 군만
122권
133·134·135·136·137권
고려국 자주부사
최춘명
이름
춘명(椿命)
본관
해주 최씨 (海州 崔氏)
사망지
생몰연도
? ~ 1250년 9월 8일(음력 8월 11일)

1. 개요2. 상세3. 대중매체

1. 개요[편집]

최춘명(崔椿命)은 고려의 군인, 장군이다.

2. 상세[편집]

고려의 대명문인 해주 최씨 가문 출신으로, 여몽전쟁당시에 장군으로 참전하였다.

고종 18년 몽골의 제1차 침입 당시 자주(慈州)에서 서쪽 25리 근방에 위치한 자모산성에는 자주부사(慈州副使) 최춘명(崔椿命)이 성을 포위한 몽골군에 맞서 항전했다. 최춘명을 중심으로 고려 백성들과 고려군이 완강하게 저항하였고 몽골군이 쉽게 점령하지 못하고 있었다. 그러나 1231년 12월 살리타이가 이끄는 군대가 개경을 포위하자 고려 조정은 몽골군에게 항복하고 내시낭중(內侍郞中) 송국첨(宋國瞻)을 보내 최춘명에게도 항복할 것을 권유했으나 최춘명은 명을 받아들이지 않았다. 이후 살리타이와 회안공(淮安公) 왕정(王侹)이 강화 협상을 진행하던 중에 살리타이가 왕정에게 "자모성만 항복 안 하고 뻐기고 있으니 사람을 보내서 항복시키시죠."라고 하자, 왕정은 대집성(大集成)과 몽골 관리를 자모성으로 보낸다. 대집성은 최춘명에게 "좋은 말 할 때 빨리 항복해라!!"하지만 최춘명은 역시나 항복하지 않았다. 자신의 말을 듣지 않는 최춘명에게 화가 난 대집성은 다시 조정으로 돌아가서 당시 최고 권력자였던 최이(崔怡)에게 최춘명을 모함했고, 이를 들은 최이는 최춘명에게 사형을 내리는 걸 허락했다. 신하들은 할 수 없이 최이의 말에 수긍했지만, 유승단(兪升旦)은 결코 최춘명을 죽여선 안 된다며 반대를 했다. 하지만 최이는 이를 무시하고 내시(內侍) 이백전(李白全)을 보내 최춘명을 처형하게 한다. 최춘명은 성문을 열고 나와 어명을 받고 항복했으나 죽음이 코앞에 다가왔는데도 얼굴빛과 행실이 하나도 변하지 않았다. 이를 본 몽골 관리는 "이 자가 우리 명령을 어겼으나 당신들에게는 충신이니 죽이지 않겠다. 그대들이 우리와 화친을 약속했으니 성의 충신들을 죽이는 게 옳겠는가?"라며 오히려 최춘명을 석방할 것을 요구한다. 결국에는 석방되었다. 이후 논공행상에서 1등공신이 되었고, 추밀원 부사로 발탁되었다. 1250년에 사망했고 관직은 위위경(衛尉卿)까지 올랐다.

3. 대중매체[편집]

드라마 무신에서도 등장했다. 배우는 임종윤.

드라마에서는 본래 이장용과 함께 최향 휘하의 장수로, 최향 실각 당시 김경손의 간청으로 이장용과 함께 살아남았다. 몽고와의 전쟁 중 화의를 맺어서 휴전이 되었음에도 몽고군에게 성문을 열지 않아 왕명을 거역한 죄로 사형을 선고 받았으나 아이러니하게 살리타이"몽고에게는 거역했지만 고려에게는 충신이므로 죽이지 말라"며 구해줬다.[1] 이후로는 이장용과 함께 고종 편에 선 사람으로 나오다가 최항 집권기에 식사하다가 급체해서 사망한다.

박시백의 고려사에서는 중간 페이지에서 박서와 "항복? 그게 뭐지? 자넨 아나?"/"처음 들어보는 말인데요."라는 만담을 주고 받는다.
[1] 해당 내용은 드라마상 내용이며, 실제는 최우가 사람을 시켜 서경에서 그를 처형하려고 하는데, 마침 지나가던 몽고 관리가 드라마 상 살리타이가 한 말과 비슷한 말을 하여 살아났다고 한다.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
이 저작물은 CC BY-NC-SA 2.0 KR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단, 라이선스가 명시된 일부 문서 및 삽화 제외)
기여하신 문서의 저작권은 각 기여자에게 있으며, 각 기여자는 기여하신 부분의 저작권을 갖습니다.

나무위키는 백과사전이 아니며 검증되지 않았거나, 편향적이거나, 잘못된 서술이 있을 수 있습니다.
나무위키는 위키위키입니다. 여러분이 직접 문서를 고칠 수 있으며, 다른 사람의 의견을 원할 경우 직접 토론을 발제할 수 있습니다.

  •  
  •  
  •  
  •  
  •  
  •  
  •  
  •  
  •  
  •  
  •  
  •  
  •  
  •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