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 BACK << -|- >> HOME <<)

김태영(성우)

최근 수정 시각:
1
편집
현재 사용중인 아이피가 ACL그룹 IDC #12915에 있기 때문에 편집 권한이 부족합니다.
만료일 : 무기한
사유 : IDC(AS26496)
토론 역사
KBS 성우극회 로고
KBS 성우극회
소속 성우
[ 펼치기 · 접기 ]
기수 및 연도
성우
특기
(1948)
남해연†, 박현숙†, 백금녀†, 복혜숙†, 이혜경†, 장서일
제1기
(1954)
김수일, 박용기†, 신원균†, 심영식, 오승룡†, 이창환
고은정, 김소원, 김소희, 윤미림†, 최옥순
1955
김기갑, 김재형†, 이우영†, 주상현
김복희, 김옥희, 서계영, 정은숙†, 천선녀
제2기
(1956)
김성원†, 김영배, 김인태†, 김현직†, 남성우†, 류기현†, 심완기, 정근우, 최길호†, 최을선
1957
김형진†, 이승길
제3기
(1958)
남일우†, 박병오, 박신호, 오정환, 우한수, 최응찬
1960
제4기
(1961)
김민규, 김장환, 이강식정철호, 최흘
고경미, 김선희, 김순원, 김순자, 김용림, 오해영, 이광자, 이은주, 이혜영, 정연옥, 최난희, 추영순
제5기
(1961)
김경호, 김계원†, 김인배, 민대식, 신세인, 양충, 이기명, 임종국†, 채동식
제6기
(1962)
마옥자, 박민아, 박향자, 이승옥, 현혜정
1963
김규상, 김무생†, 김영식, 박웅, 이봉우, 이완호†, 진성만, 홍계일
권미혜, 김선희, 김수희, 김인순, 김훈미, 남미라, 박정자, 박찬옥, 사미자, 손유진, 송영숙, 양구자, 오경자, 이경애, 이정선, 장미자, 전원주, 전윤희, 최지숙
제7기
(1964)
제8기
(1965)
박상일†, 유재덕, 원한묵
1966
박영남, 박윤아, 방유성, 이민자, 이주실, 홍금숙
제9기
(1967)
김용식, 김진동†, 김태연†, 박상규, 박춘일, 이광세, 이성주, 이영래, 장건일†, 정기항, 조달호†, 차재완
김순환, 김을동, 노명순, 마혜진, 명순희, 문옥현, 송도순, 이소연, 최희정
제10기
(1968)
권영희, 김숙, 김정희, 나병옥, 이경자, 이민숙, 이정은, 임수아, 정영숙, 주희
제11기
(1969)
박광남†, 송두석, 양지운, 오필탁, 유만준, 이정환, 이종임, 주호성, 탁원제
제12기
(1970)
제13기
(1971)
제14기
(1972)
남현경, 이민정
1973
1975
김용채, 조동희
장미선, 최복금, 한수경
1976
제15기
(1977)
강미형, 고선형, 김성희, 김정애, 박신영, 성병숙, 안경진, 유명숙, 이연수, 이진화, 정경애†, 한명희, 한인숙, 허경림, 현숙희, 황복희
1978
1979
제16기
(1980)
제17기
(1982)
제18기
(1983)
제19기
(1984)
제20기
(1986)
제21기
(1988)
제22기
(1990)
제23기
(1992)
제24기
(1994)
제25기
(1995)
제26기
(1997)
제27기
(1999)
제28기
(2000)
제29기
(2002)
제30기
(2003)
제31기
(2005)
제32기
(2006)
제33기
(2008)
제34기
(2009)
제35기
(2010)
제36기
(2011)
제37기
(2012)
제38기
(2013)
제39기
(2014)
제40기
(2015)
제41기
(2016)
제42기
(2017)
제43기
(2018)
제44기
(2019)
제45기
(2020)
제46기
(2021)
제47기
(2022)
제48기
(2023)
제49기
(2024)
타 성우극회: 대교방송 · 투니버스 · CBS · EBS · 대원방송 · MBC · PBC
※ 송백경 성우를 포함 회색은 문서가 없는 성우이고, 최연소 성우는 아랫줄로, 최고령 성우는 볼드체로 은퇴한 성우나 제명되거나 사망한 성우는 가운뎃줄로 한다.
[ 펼치기 · 접기 ]
기수 및 년도
제1기(1995)
제2기(1996)
제3기(1998)
제4기(2000)
제5기(2007)
제6기(2014)
제7기(2016)
제8기(2018)
제9기(2020)
제10기(2022)
제11기(2024)
타 성우극회: 대원방송 · 투니버스 · CBS · EBS · KBS · MBC · PBC
취소선: 사망 및 탈퇴, 제명
김태영
Kim Tae-yeong
김태영 성우
출생
부산직할시 (현 부산광역시)
국적
신체
186cm, 82kg
소속
활동 시기
DBC: 2007년 ~ 2008년
KBS: 2008년 ~ 2010년
프리랜서: 2011년 ~ 현재
링크
네이버 블로그 아이콘

1. 개요2. 특징3. 출연작
3.1. 내레이션3.2. 라디오 드라마/낭독3.3. 애니메이션3.4. 외화3.5. 게임
4.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대한민국의 성우. 2007년 대교방송 성우극회 5기로 입사했다가 2008년 KBS 성우극회 33기로 재입사하였으며 2011년부터 프리랜서로 활동 중이다. 김목용, 이문희, 전승화, 정성훈, 조규준, 강보라, 배진홍, 안찬이, 양유진, 조세령, 최정현과 동기.

2. 특징[편집]

주로 내레이션이나 CM 부문에서 활동하며 밝고 달달한 목소리가 특징. 성우들 중에서도 음색 하나 만큼은 상당히 좋은 편이란 평가가 많다.

록맨 에그제의 제로 역할은 무난하게 잘했지만 이후 애니맥스에서 방영한 블리치 3기에서 우르키오라 시파 역을 맡았을 때는 성우팬들에게 쓴소리를 들어야 했다.[1][2]

하지만 당시 성우 팬들의 주 평가 대상인 외화 더빙에서는 이클립스의 제이콥 블랙 역은 정형석에드워드 컬렌안찬이이사벨라 스완보다는 그나마 나았다는 평이 있었다. 때문에 아직 성우로서 경력이 짧기도 하고 애니맥스판 블리치는 PD와 제작진들의 날림 연출 때문에 김태영 뿐만 아니라 거의 모든 배역들이 혹평을 심하게 들었던지라 발전될 가능성을 기대한 팬들도 있었다.[3] 일단 위의 제로 역할이 무난히 잘 뽑혔고 성우 본인의 목소리도 매우 빼어났기 때문.

이후 KBS캐리비안의 해적 시리즈에서 윌 터너 역을 맡았는데, 타 배역들이 주로 경력 있는 베테랑이나 연기력 좋은 신인들에게 돌아갔기에 김태영이 중요 배역을 덜컥 맡았다는 것에서부터 우려가 나왔다. 배우의 연기력[4][5]에 맞춘거냐며 쓴소리를 들었을 정도.

사실 언더성우로 활동하던 시기에는 평이 좋았다. 일례로 처음 샘플을 녹음했을때 다른 녹음실에도 샘플이 퍼져나갔을 정도.[6] 실제로 다른 성우의 증언에 따르면 지하철 에서도 대본 연습을 하는 연습벌레 였다고 한다. 또한 선배 성우 고재균과의 인터뷰를 보면 지망생 시절에도 어마어마한 연습벌레였다는 걸 알 수 있다.#

리그 오브 레전드에서 특유의 대사덕에 컬트적인 인기를 구사하던 문도 박사자르반 4세의 성우가 자신임을 밝혔는데 여기저기서 꽤나 놀랍다는 반응이 나왔다. 자르반 4세 쪽은 성우가 공개되기 전부터 딱딱하고 부정확한 발음때문에 좋지 못한 평을 받았던 연기였지만 문도 박사의 경우는 캐릭터와 완벽히 부합하는 연기를 함으로서 안 좋은 평을 듣던 배역 중 사실상 유일하게 대호평을 받는 연기가 되었다. 다만 룬테라 자르반 더빙 작업이 크게 혹평받은 것이 문제가 됐는지 문도 박사 리메이크 버전의 성우로 발탁되지 못했다.

위에서 지적들은 던전앤파이터의 다크나이트에서도 드러났다. 그래도 시간이 지나면서 나아진건지 진 자각 음성은 확연하게 나아졌다.

3. 출연작[편집]

※ 가나다순 정렬.

3.1. 내레이션[편집]

3.2. 라디오 드라마/낭독[편집]

  • 연속낭독(KBS) - 이재강 <인도 끓다> (낭독)

3.3. 애니메이션[편집]

4. 관련 문서[편집]

[1] 물론 일판 성우 나미카와 다이스케 역시 카리스마 있는 모습을 살리지 못하고 기합을 질러야 할 부분에서도 조용한 목소리로 말하는 등 기복 변화가 심해서 한일 양국을 가리지 않고 혹평이 많았다. 그래도 나미카와는 그래도 20년 동안 활동했던 베테랑인지라 발음까지 뭉게지진 않았고, 무뚝뚝하면서도 카리스마 있는 연기라도 나타냈는데다, 애니맥스에서 방영한 블리치 더빙판에서는 연출조차 엉망으로 나온 영향으로 상대적 평가는 김태영 쪽의 평가가 더욱 안 좋다.[2] 김태영 성우 본인은 블로그에서 "근래 엄청난 고민을 안겨주고 있는 캐릭터.. 블리치 3기의 우르키오라. 개인적으로 애니메이션 더빙은 처음이라 캐릭터의 중요성을 알고난 뒤 혼란이 왔던.. 하지만 우르키오라라는 캐릭터를 알아보고 난 뒤 정말 잘 해보고 싶다는 욕심이 생겼다. 그만 큰 매력을 지닌 녀석!"이라고 밝혔다.[3] 이후 세븐나이츠 콜라보에서 개선되었지만 김기철의 그림죠에 비하면 한참 못 미친다는 반응.[4] 올랜도 블룸도 당시엔 할리우드에서 연기를 못하는 배우로 취급받았다.[5] 차라리 원래 성우인 김영선이나 레골라스를 맡은 유동균을 기용했어야 했다는 의견이 많다.[6] 직접 언더성우로 녹음실에 샘플을 따본 사람은 알겠지만 녹음실에서 샘플이 채택된다는 것은 일반적으로는 짧아도 1~2개월이 걸려야 될까 말까한 일이다. 그런데 처음으로 녹음한 샘플이 다른 녹음실에도 채택이 될 정도라면...[7] 양석정 후임으로 2013년 5월 부터 맡고 있다.[8] 2010년 프랑스에서 제작된 3부작 다큐. 2013년 6월 12일 부터 6월 19일까지 방영.[9] 장민혁이 맡은 배역으로 잘못 나왔으나, 실제로는 김태영이 맡았다. 물론 배역에 대한 평가는 우르키오라와 우키타케 쥬시로 보단 평가가 좋다.[10] 노년 시절은 유강진.[11] 진각성패치 이전까지 전체적인 평은 좋지 않았지만. 진각성패치 이후로 일취월장한 연기력을 보여주었다.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
이 저작물은 CC BY-NC-SA 2.0 KR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단, 라이선스가 명시된 일부 문서 및 삽화 제외)
기여하신 문서의 저작권은 각 기여자에게 있으며, 각 기여자는 기여하신 부분의 저작권을 갖습니다.

나무위키는 백과사전이 아니며 검증되지 않았거나, 편향적이거나, 잘못된 서술이 있을 수 있습니다.
나무위키는 위키위키입니다. 여러분이 직접 문서를 고칠 수 있으며, 다른 사람의 의견을 원할 경우 직접 토론을 발제할 수 있습니다.

  •  
  •  
  •  
  •  
  •  
  •  
  •  
  •  
  •  
  •  
  •  
  •  
  •  
  •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