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 BACK << -|- >> HOME <<)

실버 브리지 붕괴사고

최근 수정 시각:
4
편집
현재 사용중인 아이피가 ACL그룹 IDC #12915에 있기 때문에 편집 권한이 부족합니다.
만료일 : 무기한
사유 : IDC(AS26496)
토론 역사
주의. 사건·사고 관련 내용을 설명합니다.

이 문서는 실제로 일어난 사건·사고의 자세한 내용과 설명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1. 개요2. 실버 브리지3. 사고 전개4. 사망자와 생존자5. 사고 이후6. 둘러보기

실버 대교 붕괴1

1. 개요[편집]

The Siver Bridge Disaster

1967년 12월 15일 미국 오하이오 강의 실버 브리지가 무너진 사고.

2. 실버 브리지[편집]

실버 대교
실버 브리지는 1백만 달러를 들여 1928년 5월에 건설을 시작해 1928년에 완공된 530m 길이의 대교로, 53번 국도와 연결되어 있었다. 옆에는 철교가 따로 있어 두 다리가 오하이오 강을 가로지르고 웨스트버지니아주의 포인트 플레선트(Point Pleasant)와 오하이오주의 갈리폴리스(Galipolis)를 이어 줬다. 알루미늄으로 만들어져 은색 빛을 띄어서 이름을 실버 브리지라고 지었다. 두 개의 큰 기둥을 기반으로 지어진 트러스트교로, 다리가 그 사이에 연결된 형태였다.

다리를 디자인한 사람은 American Bridge Company의 존 에드윈 그레이너(John Edwin Greiner)였는데 원래는 만들면서 기둥과 트러스트교를 잡아줄 역할로 강철 케이블을 쓰려고 했으나 돈 문제로 아이바 체인#을 사용했는데 쉽게 생각해서 자전거 체인에서 체인 길이를 엄청 늘린 것이라고 보면 된다.[1] 만드는 데 쓰인 아이바의 두께는 2인치(5cm), 길이는 16m와 13m 짜리 2개였다. 일반적으로 아이바 체인을 쓸 때는 아이바 여러개를 겹치고 연결해야 했으나 실버 대교는 2개씩만 연결했다. 문제는 아이바 공법은 아이바 하나가 끊기면 다른 아이바들이 막아주는 형식으로 붕괴를 막았는데 2개만 연결하면 남은 1개가 다리의 무게를 버텨야 했기 때문에 매우 위험한 방식이었다는 점이다.

만들어질 당시엔 차량 자체가 그리 무겁지 않았으나 시대가 지나면서 차량도 발달했고 차량들도 그만큼 많이 무거워졌다. 다리 제작 당시 일반적인 승용차였던 포드 모델 T의 무게가 680kg, 가장 무거운 트럭이 9톤이었지만 점차 시간이 흐르면서 승용차는 평균 1.8톤으로, 트럭은 최대 27톤으로 무게가 무거워졌다. 다리가 처음 지어질 때는 도로를 나무와 아스팔트로 만들었으나 1940년대에 들어서야 철근 콘크리트로 바꾸었다. 그렇게 다리는 아슬아슬한 상태로 유지되면서 점차 무거워지는 차량들을 간신히 버텨내야 했다.

3. 사고 전개[편집]

실버 대교 붕괴2

사고 당일 오후 5시 경 러시 아워 시간대라 차가 몰리는 가운데 다리가 갑자기 굉음을 내면서 아이바 하나가 끊어졌다. 3mm 정도의 작은 금이 가 있었는데 39년간 이어진 충격을 버티다가 결국 이 작은 금이 옆으로 이어졌고 이것이 원인이 되어 다리와 차량의 무게를 이기지 못하고 끊어졌다. 그렇게 아이바 하나가 끊어지고 뒤이어 수많은 아이바들이 끊어지더니 철근이 휘고 결국 다리 전체가 무너졌다. 목격자 중 한 명은 "카드 탑이 무너진 것 처럼 다리가 무너졌다." 고 회상했다.

당시 위에 있던 1대의 차량은 다리가 흔들림을 느끼고 핸들을 돌려 다리를 빠져나와 극적으로 사고에 휘말리지 않았지만 차량 32대는 미처 피하지 못한 채 섭씨 6도의 차가운 겨울 강으로 떨어졌다. 신고를 받고 구조대가 출동했고 구조대는 보트를 끌고 와 강에 떠내려가던 사람들을 구조했다. 그렇게 구조된 21명은 간신히 목숨을 건졌고 이 중 9명은 중상이었으며 46명은 목숨을 잃었다. 잠수부와 바지선이 동원되어 강 밑으로 가라앉은 차량과 시신을 최대한 찾아냈으나 2명의 시신은 찾지 못했다. 이 사고는 미국 역사상 가장 많은 사람의 목숨을 앗아간 교량 사고로 기록되었다.

4. 사망자와 생존자[편집]

  • 샤를린 우드(Charlene Wood)는 사고 당시 임신 중이었다. 자신의 1967년식 폰티악 승용차를 운전하면서 다리가 흔들리기 시작하는 것을 느꼈고 강배의 선장이었던 아버지가 이야기한 붕괴 전조 증상이 따올라 불안함에 핸들을 돌려 빠져나왔다. 우드가 다리를 나온 지 60초 만에 다리가 붕괴되었다. 이때 우드의 차는 붕괴지점으로부터 겨우 4피트(20cm) 떨어진 곳에 서 있었다.
  • 18세의 여성 마조리 보그스(Marjorie Boggs)는 남편 하워드(Howard Boggs)와 17개월 된 딸을 태우고 실버 브리지를 건너는 중이었다. 마조리의 차는 무너지는 다리와 함께 강으로 추락했다. 차에서 탈출한 하워드는 구조선에 의해 가장 첫 번째로 구조되었으나 마조리와 딸은 미처 빠져나오지 못했고 모녀는 6주 후 잔해 속의 부서진 차 안에서 시신으로 발견되었다.
  • 트럭기사 빌 니덤(Bill M. Needham)은 사고 후 깨진 창문을 통해 차안에서 빠져나왔고 짐칸에 실린 상자를 이용해 물 위에 떠서 버틴 끝에 15분만에 구조되었다. 안타깝게도 그의 동료인 로버트 토우(Robert Towe)는 트럭 안에서 탈출하지 못했다.
  • 마가렛 캔트렐(Margaret Mae Cantrell)은 남편 멜빈 캔트렐(Melvin Cantrell)과 친구 세실 카운트스(Cecil Clyde Counts)와 함께 시내로 향하던 중 이었다. 차는 마가렛이 운전 중이었고 다리가 무너지는 순간 강철 빔이 차에 찍히면서 그들의 차는 강으로 떨어지지 않고 다리의 무너지지 않은 부분에 걸려 있었다. 이 사고로 조수석에 앉은 멜빈 캔트렐과 뒷좌석에 앉은 세실 카운트스는 사망했으나 마가렛 캔트렐은 극적으로 목숨을 건져 구조되었다.
  • 노스캐롤라이나에 살던 38세의 트럭기사 윌리엄 에드먼슨(William Edmondson)은 가장 먼저 다리에서 떨어진 트럭의 운전자였다. 깨진 창문으로 빠져나와 실려있던 천들과 화물을 잡고 10여분을 버틴 끝에 구조되었다.
  • 미들포트에 거주하던 52세의 폴 스콧(Paul A. Scott)은 동료 프레더릭 딘 밀러(Frederick "Dean" Miller)와 제임스 풀린(James Pullen)을 태우고 운전하던 중이었다. 스콧은 탈출했으나 제임스 풀린과 프레더릭 밀러는 이 사고로 숨졌다.
  • 리 도크 샌더스(Lee "Doc" Otto Sanders) 지역에서 택시기사로 일하던 사람이었다. 그날이 일하는 날이 아니었지만 동료 기사의 부탁으로 포인트 플레전스로 향하던 승객 로널드 진 무어(Ronald Jean Moore)를 태워 포인트 플레전스로 가던 길이었다. 샌더스의 차는 강으로 떨어지진 않았지만 다리의 강철 빔이 두 사람의 택시를 덮쳤고 샌더스와 무어 모두 현장에서 숨졌다.
  • 토마스 엘린 캔트렐(Thomas Allen Cantrell)[2]은 신문 배달원으로, 사건 당일 마지막 배달을 마치고 일을 그만둔 뒤 만화가가 되겠다는 꿈을 가진 청년이었다. 그는 포인트 플레전스로 마지막 배달을 나갔다가 갈리폴리스로 열쇠를 반납하러 돌아가던 길이었고 사고에 휩쓸려 사망했다.
  • 로널드 심스(Ronald Robert Sims)는 공장에서 디자이너로 일하던 남성이었다. 동료 바비 헤드(Bobby Head)를 집에 데려다 주기 위해 기다렸다가 늦게 퇴근하였다. 다리가 무너질 때 그들은 다리 위에 있었으며 모두 이 사건으로 사망했다.
  • 힐다 브루스(Hilda Byus)는 10살 된 딸 캐서린 루슬리 브루스(Catherine Lucille Byus)와 2개월 된 딸 킴벌리 브루스(Kimberly Byus)를 데리고 자전거를 타고 가던 길이었다. 이 사고로 세 모녀는 모두 숨졌다. 힐다와 킴벌리의 시신은 얼마 뒤 강 하류에서 발견되었지만 캐서린 루슬리의 시신은 현재까지도 발견되지 않았다.
  • 포인트 플레전트에 살던 맥신 터너(Maxine Turner)는 남편 빅터(Victor Turner)와 함께 조카딸을 데리러 갈리폴리스에 갔다가 사고에 휩쓸렸다. 남편 빅터와 조카의 시신은 얼마 후에 수습되었으나 맥신의 시신은 끝내 발견되지 않았다.

5. 사고 이후[편집]

사고 이후 같은 방식으로 지어진 다리들을 검사했는데 몇몇 다리는 아예 철거하고 다시 지어야 했다.

1969년에 다리가 다시 지어졌는데 다리 이름은 실버 매모리얼 브릿지가 되어 희생자를 기리고 있다. 원래 위치보다 1.6km 남쪽에 위치한 장소에 건설되었고 이 다리를 지나던 36번 국도도 시가지를 우회하는 선형으로 건설되었다.

포인트 플레선트에는 현재 사고를 기리는 추모비가 설치되어 있다.# 포인트 플레선트강 박물관에 이 다리의 모형이 전시되어 있었으나 2018년 7월에 일어난 화재사고로 휴관 중이다. 피해는 적어서 모형을 비롯한 대부분의 전시물이 온전하고 장소를 이전해서 재개관할 계획이라고 한다.

이 사고로부터 50년 후 실버 브리지 조각이 강바닥에서 발견되기도 했다.#

여담으로 사고 당시 모스맨을 목격했다는 루머가 떠돌았고 관련 괴담도 많이 떠돌았다. 모스맨 하면 함께 나오는 "모스맨이 목격된 다리가 무너졌다." 에서 말하는 다리가 무너진 사고가 바로 이 사고다. 실제로 실버 브리지가 연결해 주던 마을인 포인트 플레선트는 모스맨으로 유명한 곳으로, 해마다 모스맨 축제가 열리며 미스 모스맨을 선발하기도 한다.

6. 둘러보기[편집]

[ 2020년대 ]
발생일
사건명
2023년 8월 8일 ~ 8월 11일
101
2022년 6월 27일
53
2022년 5월 24일
22
2022년 1월 23일
39
2021년 6월 24일
98
[ 2010년대 ]
[ 2000년대 ]

[ 1990년대 ]
발생일
사건명
1999년 10월 31일
217
1999년 5월 9일
23
1998년 8월 7일
224
1997년 8월 6일
228
1997년 3월 26일
39
1997년 1월 9일
29
1996년 11월 21일
33
1996년 7월 17일
230
1996년 5월 11일
110
1996년 4월 3일
35
1995년 12월 20일
159
1995년 9월 22일
24
1995년 4월 19일
168
1994년 10월 31일
68
1994년 9월 8일
132
1994년 7월 2일
37
1994년 3월 23일
24
1993년 9월 22일
47
1993년 2월 28일 ~ 4월 19일
86
1992년 3월 22일
27
1991년 10월 19일 ~ 10월 23일
25
1991년 10월 16일
24
1991년 9월 3일
25
1991년 4월 5일
23
1991년 3월 3일
25
1991년 2월 1일
35
1990년 3월 25일
87
1990년 1월 25일
73
[ 1980년대 ]
발생일
사건명
1989년 10월 23일
23
1989년 9월 21일
21
1989년 7월 19일
111
1989년 4월 17일
47
1989년 2월 8일
144
1988년 12월 21일
270
1988년 5월 14일
27
1987년 12월 7일
43
1987년 11월 15일
28
1987년 8월 16일
156
1987년 5월 17일
37
1987년 4월 23일
28
1986년 12월 31일
97
1986년 8월 31일
82
1986년 6월 18일
25
1986년 5월 30일
21
1985년 12월 12일
256
1985년 9월 6일
31
1985년 8월 2일
137
1985년 6월 25일
21
1985년 1월 21일
70
1985년 1월 1일
29
1984년 12월 19일
27
1984년 7월 18일
21
1983년 10월 23일
307
1983년 6월 2일
23
1983년 4월 18일
63
1983년 2월 10일
31
1982년 9월 4일
25
1982년 7월 9일
153
1982년 1월 13일
78
1981년 7월 17일
114
1981년 1월 9일
20
1980년 12월 4일
26
1980년 11월 21일
85
1980년 9월 12일
34
1980년 6월 5일
20
1980년 5월 9일
35
1980년 1월 28일
23
[ 1970년대 ]
발생일
사건명
1979년 5월 25일
273
1978년 11월 18일
918
1978년 9월 25일
144
1978년 4월 27일
51
1978년 1월 28일
20
1977년 12월 13일
29
1977년 11월 6일
39
1977년 7월 19일
40
1977년 6월 26일
42
1977년 5월 28일
165
1977년 3월 27일
583
1976년 10월 20일
78
1976년 6월 4일
46
1976년 5월 21일
29
1976년 4월 27일
37
1976년 3월 9일, 3월 11일
26
1976년 1월 30일
23
1976년 1월 10일
20
1975년 11월 10일
29
1975년 6월 24일
113
1974년 12월 1일
92
1974년 9월 11일
72
1974년 9월 8일
88
1974년 6월 30일
24
1974년 4월 22일
107
1974년 4월 4일
72
1973년 7월 31일
88
1973년 7월 23일
38
1973년 7월 22일
78
1973년 6월 24일
32
1973년 3월 22일
32
1973년 2월 10일
40
1972년 12월 29일
101
1972년 12월 8일
45
1972년 10월 30일
45
1972년 9월 24일
22
1972년 6월 9일
238
1972년 5월 2일
91
1972년 2월 26일
125
1971년 9월 14일
111
1971년 9월 9일 ~ 9월 13일
43
1971년 6월 7일
28
1971년 6월 6일
50
1971년 2월 3일
29
1970년 12월 30일
39
1970년 12월 20일
29
1970년 11월 27일
79
1970년 10월 2일
31
1970년 11월 14일
75
1970년 5월 2일
23
1970년 3월 20일
20
[ 1960년대 ]
발생일
사건명
1969년 9월 9일
83
1969년 6월 3일
74
1969년 2월 18일
35
1969년 1월 18일
38
1969년 1월 14일
28
1968년 12월 27일
28
1968년 12월 24일
20
1968년 12월 12일
51
1968년 12월 2일
39
1968년 11월 20일
78
1968년 10월 25일
32
1968년 8월 14일
21
1968년 5월 27일
99
1968년 5월 22일
23
1968년 5월 3일
85
1968년 4월 6일
41
1967년 12월 15일
46
1967년 11월 20일
70
1967년 7월 29일
134
1967년 7월 19일
82
1967년 6월 23일
34
1967년 6월 8일
34
1967년 3월 9일
26
1967년 3월 5일
38
1967년 2월 7일
25
1966년 10월 26일
44
1966년 8월 6일
42
1966년 6월 16일, 6월 28일
37
1966년 4월 22일
83
1965년 11월 11일
43
1965년 11월 8일
58
1965년 8월 24일
59
1965년 8월 16일
30
1965년 8월 9일
53
1965년 2월 8일
84
1965년 1월 16일
30
1964년 11월 23일
50
1964년 11월 15일
29
1964년 7월 9일
39
1964년 5월 11일
79
1964년 5월 7일
44
1964년 3월 1일
85
1964년 2월 25일
58
1963년 12월 29일
22
1963년 12월 8일
81
1963년 11월 23일
63
1963년 11월 18일
25
1963년 10월 31일
81
1963년 9월 17일
32
1963년 6월 3일
101
1963년 4월 10일
129
1963년 2월 12일
43
1962년 11월 30일
25
1962년 10월 3일
23
1962년 7월 22일
27
1962년 5월 22일
45
1962년 3월 16일
107
1962년 3월 1일
95
1961년 11월 8일
77
1961년 9월 17일
37
1961년 9월 1일
78
1961년 1월 15일
28
1960년 12월 17일
52
1960년 12월 16일
134
1960년 10월 29일
22
1960년 10월 4일
62
1960년 9월 19일
80
1960년 3월 17일
63
1960년 2월 25일
61
1960년 1월 18일
50
[ 1950년대 ]
발생일
사건명
1959년 12월 1일
25
1959년 11월 16일
42
1959년 10월 30일
26
1959년 9월 29일
34
1959년 6월 28일
23
1959년 5월 12일
31
1959년 3월 5일
21
1959년 2월 3일
65
1958년 12월 1일
97
1958년 11월 18일
33
1958년 9월 15일
48
1958년 8월 15일
25
1958년 4월 21일
49
1958년 4월 6일
47
1958년 3월 19일
24
1958년 2월 28일
27
1957년 11월 8일
44
1957년 2월 17일
72
1957년 3월 22일
67
1957년 2월 1일
20
1956년 10월 10일
59
1956년 6월 30일
127
1956년 4월 1일
22
1956년 1월 22일
30
1955년 11월 1일
44
1955년 10월 6일
66
1955년 8월 11일
66
1955년 8월 4일
30
1955년 2월 12일
29
1955년 3월 22일
66
1954년 5월 26일
103
1953년 9월 16일
28
1953년 7월 17일
43
1953년 6월 18일
129
1953년 3월 27일
21
1953년 2월 14일
46
1952년 12월 20일
87
1952년 11월 22일
52
1952년 8월 4일
50
1952년 4월 29일
28
1952년 4월 26일
176
1952년 4월 11일
52
1952년 2월 11일
33
1952년 1월 22일
23
1951년 12월 29일
26
1951년 12월 21일
119
1951년 12월 16일
58
1951년 9월 1일
45
1951년 8월 24일
50
1951년 6월 30일
50
1951년 4월 25일
43
1951년 3월 23일
53
1951년 2월 6일
85
1950년 11월 22일
78
1950년 8월 31일
55
1950년 8월 25일
23
1950년 6월 23일
58
1950년 5월 25일
34
1950년 2월 17일
32
1950년 1월 26일
32
[ 1940년대 ]
발생일
사건명
1949년 11월 29일
28
1949년 11월 1일
55
1949년 7월 12일
35
1949년 6월 7일
53
1949년 4월 4일
74
1948년 12월 28일
32
1948년 10월 27일 ~ 10월 31일
26
1948년 8월 29일
37
1948년 6월 17일
43
1948년 3월 12일
30
1948년 1월 28일
32
1947년 10월 23일
52
1947년 7월 24일
27
1947년 6월 13일
50
1947년 5월 30일
53
1947년 5월 29일
43
1947년 4월 16일
581
1947년 3월 25일
111
1946년 12월 7일
119
1946년 7월 19일
25
1946년 6월 5일
61
1946년 4월 25일
45
1945년 8월 9일
34
1945년 8월 9일
372
1944년 12월 31일
50
1944년 10월 20일
131
1944년 8월 23일
61
1944년 8월 4일
47
1944년 7월 17일
320
1944년 7월 6일
167
1944년 5월 21일
163
1944년 2월 10일
24
1944년 1월 6일
115
1944년 1월 3일
138
1943년 12월 18일
34
1943년 12월 16일
74
1943년 9월 7일
55
1943년 9월 6일
79
1943년 8월 30일
29
1943년 7월 28일
20
1943년 6월 12일
42
1943년 2월 27일
75
1942년 11월 28일
492
1942년 6월 5일
46
1942년 1월 24일
48
1941년 6월 19일
33
1940년 9월 12일
52
1940년 8월 31일
25
1940년 7월 31일
43
1940년 7월 15일
63
1940년 4월 23일
209
1940년 4월 19일
31


[1] 차들이 지나는 대교의 케이블을 자전거 체인 두께의 줄을 쓴다는 것 자체부터 문제였다.[2] 앞서 다리에서 숨진 멜빈 캔트렐(Melvin Canterll)과는 관계 없는 인물이다.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
이 저작물은 CC BY-NC-SA 2.0 KR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단, 라이선스가 명시된 일부 문서 및 삽화 제외)
기여하신 문서의 저작권은 각 기여자에게 있으며, 각 기여자는 기여하신 부분의 저작권을 갖습니다.

나무위키는 백과사전이 아니며 검증되지 않았거나, 편향적이거나, 잘못된 서술이 있을 수 있습니다.
나무위키는 위키위키입니다. 여러분이 직접 문서를 고칠 수 있으며, 다른 사람의 의견을 원할 경우 직접 토론을 발제할 수 있습니다.

  •  
  •  
  •  
  •  
  •  
  •  
  •  
  •  
  •  
  •  
  •  
  •  
  •  
  •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