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 BACK << -|- >> HOME <<)

서울 버스 9707

최근 수정 시각:
10
편집
현재 사용중인 아이피가 ACL그룹 IDC #12915에 있기 때문에 편집 권한이 부족합니다.
만료일 : 무기한
사유 : IDC(AS26496)
토론 역사
IMG 10

1. 노선 정보2. 개요3. 역사4. 특징
4.1. 일평균 승차인원
5. 연계 철도역6. 둘러보기

1. 노선 정보[편집]

서울특별시 휘장 White 서울특별시 광역버스 9707번
[ 지도 노선도 보기 ]
서울 9707 노선도
기점
경기도 고양시 일산서구 가좌동(가좌동종점)
종점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영등포동4가(CM충무병원)
종점
첫차
05:00
기점
첫차
06:05
막차
00:00
막차
01:00~05
평일배차
6~16분
주말배차
토요일 7~20분 / 공휴일 8~20분
운수사명
인가대수
22대(예비 1대)[1]
노선
가좌동종점 - 만자고개 - 덕이상가 - 농수산물도매시장후문 - 일산서부경찰서 - 대화역 - 주엽역 - 일산동구청 - 마두역 - 백석동우체국 - 백석역.고양종합터미널 - 섬말다리 - 삼성당 - 능곡역 - 능곡화원 - 행주산성입구.행주내동 - 북로JC - 자유로 - 강변북로 - 난지한강공원 - 강변북로 - 양화대교 - 당산역.삼성래미안아파트 - 영등포시장역 - CM충무병원

2. 개요[편집]

선진운수에서 운행하는 광역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65.8 km다. 전체 정류장 목록

3. 역사[편집]

  • 구 914번 심야좌석버스(일산 가좌동 ~ 영등포) 노선이 전신이다.
  • 2004년 7월 1일 서울특별시 버스체계 개편 때 번호만 9707번으로 변경됐다.
  • 타임스퀘어가 개장한 후 양평로가 혼잡해졌고, 때마침 문래고가차도의 철거가 확정되자 철거를 몇 달 앞두고 2010년 6월 17일에 문래고가차도 하단 U턴 회차에서 영등포소방서.타임스퀘어 정류장 회차로 변경됐다. 이에 따라 영등포역 앞으로 가지 않게 됐다.
  • 광역버스 입석금지 제도에 따른 대책으로 2014년 7월 16일에 '능곡역 - 행주산성입구 - 강변북로 - 난지한강공원 - 강변북로 - 당산역' 구간이 '능곡역 - 소만마을 - 디지털미디어시티역 - 홍대입구역 - 합정역 - 양화대교 - 당산역'으로 바뀌었고, 영등포 첫차가 06:30, 영등포 막차는 02:30으로 조정됐다. 다만 모든 정류장에 정차한 건 아니었고, '서정마을 - 홍대입구역' 구간 중에서 디지털미디어시티역, 가좌역.모래내시장 정류소에만 정차했다. 이때는 고양시 구간 내 백신중학교와 서안아파트, '홍대입구역 - 서교동 예식장타운' 구간에서 921번과 서로 반대 방향으로 운행했다. 관련 공지사항
  • 하지만 수요 감소와 배차간격 증가로, 4주 만인 2014년 8월 14일에 기존 노선으로 환원됐다.
  • 2015년 1월 13일부터 만자고개 정류장(가좌동 방향)에는 정차하지 않는다. 송포백송(백송고) 정류장에는 가좌동 방향만 정차하게 됐다.
  • 2016년 10월 24일에 영등포 방향이 성산대교를 경유하던 것에서 가좌동 방향과 똑같이 양화대교를 거치도록 변경됐다. 관련 공문
  • 2020년 7월 27일을 기해 '난지도하수처리장(ID 35-261)' 정류소가 폐지됨에 따라 무정차 통과한다.관련 공문
  • 2022년 3월 14일부터 2022년 12월 14일까지 삼성당지하차도의 확장 공사로 호수로의 통행을 통제함에 따라, 삼화연립 정류장과 능곡삼거리, 금호아파트 정류장을 삼성당다리 - 대장동입구사거리 - 토당로로 무정차 우회 운행했다. 그리고 12월 15일 0시 부로 본래 노선으로 돌아왔다.
  • 2022년 11월 7일 부로 전일에 걸쳐 인가 운행소요시간이 155분에서 166분으로 11분 늘어남과 동시에 정상운행차량의 대당 일 운행횟수가 감축되면서 1일 총 운행횟수도 평일/토요일 11회씩, 공휴일 10회 감회됐다. 이에 따라 평일/토요일/공휴일 각각 4~10분/5~14분/6~16분이던 배차간격이 6~16분/7~20분/8~20분으로 확대 조정됐다. 관련 공문 1 관련 공문 2
  • 2023년 2월 1일 부로 8701번이 신설되자 2대가 감차됐다.
  • 2023년 11월 6일을 기해 기점/회차지 각각 01:00/02:00이던 막차시간이 1시간 당겨져 00:00/01:00으로 변경됐다. 또한 서울03번 개통을 위해 평일 단축운행차량 3대 중 2대가 감차되었고, 1대는 정상운행차량으로 전환되었다. 이와 함께 평일의 대당 일 운행횟수 감축이 병행되면서 평일의 1일 총 운행횟수가 138회에서 132회로 6회 감회됐다. 다만 이번 운행계통 변경에 따른 최소/최대 배차간격에 대한 변동은 없다. # 막차 조정 안내문
  • 2024년 2월 15일을 기해 9701번이 707번으로 전환됨에 따라, 707번의 증차를 위해 3대가 감차되어 22대로 운행하게 되었다. 이로 인해 전요일의 대당 일 운행횟수는 늘었지만, 전요일 1일 총 운행횟수가 132/123/118회에서 121/106/101회로 11/17/17회 감회되었다. 다만 이번 운행계통 변경에 따른 최소/최대 배차간격에 대한 변동은 없다. #

4. 특징[편집]

  • 현금 승차가 불가능하다.
  • 9408번이 고속터미널로 단축된 이후 6권역을 경유하는 유일한 서울특별시 광역버스가 되었다.
  • 고양시파주시에서 영등포로 가는 다른 광역버스와 마찬가지로 영등포 방향과 가좌동 방향의 도강 경로가 달랐으나, 2016년 10월 24일부터 양 방향 모두 양화대교로 건너는 것으로 변경됐다.
  • 차량 측면에 부착된 행선지 스티커에는 '백석역 - 마두역' 순서로 되어 있는데, 이는 개편 직후부터 20년 넘게 이어져 온 매우 유서 깊은 오류다. '구 914'를 써붙이고 다니던 개편 초기부터 최신 버전까지 모두 틀리게 나와 있다.
  • 전국에서 가장 마지막까지 실사판 타요 버스의 가니 랩핑을 한 차량이 운행했던 노선이다.
  • 난지한강공원을 경유하기 때문에 능곡~영등포 이동 시간이 1082번 비해 약 5분 정도 길어진다. 강변북로 정체시 난지한강공원 정류장으로 잠시나마 우회할 수 있어서 유용하며, 9711번과 더불어 상암동의 공원을 경유하고 있고, 난지한강공원 정류장은 단독으로 정차한다. 그래서 휴일 낮 시간에 일산 방면으로 가는 차량은 당산역에서 승객이 꽉 차서 오며, 난지한강공원에서 많이 하차한다.
  • 능곡 쪽과 백석 이후에서 주로 하차하며 출근 시간에 만자고개-고양예고 구간에서 707번과 같이 여유있게 탈 수 노선으로 교하와 운정에서 내려오는 66번, 70번, 150번은 가축수송이라 고양예고, 백송고에서 내리지 않는 이상 타기 힘들고, 200번은 그나마 간신히 타는 노선이다.
  • 1500번와 함께 일산, 능곡에서 이용 가능하고 능곡역으로 돌아가기 때문에 사람들이 기다려서라도 1500번을 타려고 하지 이 노선을 잘 타려고 하지는 않는다. 능곡 구간은 1082번으로 극초입까지만 커버가 가능하기 때문에, 주로 능곡과 삼성당, 내지는 백석동 일부 지역에서 유용한 노선이다.
  • 707번과 달리 만자고개에서 대화교삼거리로 내려가지 않고 덕이공구상가 쪽으로 꺾은 후, 일산서부경찰서를 통해 대화역으로 들어온다.
  • 일산신도시 조성 이후 개통된 1세대 서울면허 좌석버스 중, 마지막까지 좌석버스로 살아남은 노선이다.[2]
  • 주간 이용률은 저조하다. 능곡을 거치지 않고 고속(화)도로로 바로 들어가는 1500번830번에 비해, 영등포 도착 시간이 늦기에 일산신도시 주민이 잘 이용하지 않기 때문이다.[3] 그래도 가좌동 방향은 당산역에서 나름 승객을 태워 가는 편이다. 강남 지역에서 9호선 급행을 타고 당산역에서 환승하는 승객들이나 난지한강공원 수요가 있기 때문. 그리고 한참 전부터 배차간격이 조금씩 나빠지던 백석동우체국-능곡 구간은 사실상 이 노선밖에 없고, 혼잡 시간의 일산 방향으로는 영등포역, 영등포시장 등지에서 이미 1500번과 수요 분담한다.
  • 영등포에서는 01:00 막차로 심야에 이 노선 이용해서 고양시 관내로 가서 택시를 탈 것을 권장한다. 교하 또는 운정방면으로 가려면 강선마을, 일산동구청이나 백석역에서 773번을 타고 가면 된다. 그래서 주간에 다른 노선의 승객들도 심야에는 주로 이용한다. 게다가 일산, 능곡에서 심야시간에 서울 도착 시 당산역에서 N26번, N51번 외 영등포 오면 N51번, 이외 N64번N16번과 연계되어 서울 시 외곽 등지로 환승해서 이동하기에도 더 좋아졌다.
  • 가좌마을로 미경유하며 057번1100번의 막차가 끊기는 00:45 이전에는 대화역에서 내려 가좌마을행 노선을 이용하면 되고, 막차 통과 이후에는 가좌마을로 들어가기 위해 이 노선을 이용할 수밖에 없는데, 두신마을 정류장에서 내려 10분 정도 시골길을 걸어서 내려가야 해 가좌마을 주민들이 심야 귀가에 있어 큰 불편을 겪었다. 하지만 2019년 12월부터 가좌마을의 송포초교 정류장으로 들어가는 M7646이 개통하여 00:00까지는 운행하면서, 가좌마을 주민들의 심야 귀가편 부재 문제가 해소되었다.
  • 혹여 난지한강공원에 행사가 있을 때 입석을 안 받으면 감당이 안 될 정도가 되는 경우에 한하여 제한적으로 입석을 받는다.

4.1. 일평균 승차인원[편집]

서울특별시 휘장 White 서울특별시 광역버스 9707번
연도
일평균 승차량
전년대비 변동폭
2013년
5,251명
-
2014년
5,021명
▽ 230
2015년
4,903명
▽ 118
2016년
4,374명
▽ 529
2017년
4,126명
▽ 248
2018년
3,982명
▽ 144
2019년
4,015명
△ 33
2020년
3,016명
▽ 999
2021년
3,173명
△ 157
2022년
3,672명
△ 499
2023년
3,783명
△ 111
※ 하차 인원 미포함

5. 연계 철도역[편집]

6. 둘러보기[편집]

1, 2권역 | 의정부, 양주, 구리, 남양주
의정부시
양주시
구리/남양주
수: 수락리버시티아파트 지역만 정차 /담: 남양주 방향 담터고개(구리시 소재)만 정차, 서울 방향 담터고개는 서울시 소재.
3, 4권역 | 하남, 성남, 화성, 광주
성남시
하남시
화성시
광주시
초: 초이동 / 위: 하남시위례도서관 / 청: 청계산옛골 / 효: 효죽동입구(천호역 방면 한정, 마천 방향은 서울시 소재)
4, 5권역 | 안양, 군포, 의왕, 과천
안양시
군포시
의왕시
과천시
교: 경인교육대후문만 정차 / 잔: 잔디마을만 정차 / 한: 한솔테크노타운만 정차 / 석: 석수역만 정차 / 밑줄 : 해당 시 경유 후 타 시 진입
5, 6권역 | 광명, 부천, 김포
광명시
부천시
김포시
철: 철산리버빌아파트 정류장만 정차
7권역 | 고양, 양주, 파주
고양시
양주시
파주시
동: 동산동능모퉁이.한국지역난방공사 정류장만 정차 / 덕/대: 덕은동종점, 대덕동행정복지센터 정류장만 정차
[1] 토요일 19대 / 공휴일 18대 운행[2] 경기면허까지 범위를 넓힌다면 921번 좌석버스가 있으며, 이쪽은 노선번호까지 1996년 이후로 그대로 유지 중이다.[3] 사실 노선 개통 당시(1994년)에는 일산IC가 없던 시절이었기 때문에, 자유로로 진입하려면 장항IC나 행주산성입구 옆에 존재하는 나들목을 이용하는 방법 밖에 없었다. 당시 일산신도시는 이제 막 입주를 하던 시점이었기 때문에 일산신도시만의 수요로는 노선을 신설하기 부족했었다. 그래서 오래전부터 시가지가 형성되었던 능곡지구를 경유하게 되었던 것이다.[A] 4.1 4.2 CM충무병원 하차 후 도보로 약 12분 소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
이 저작물은 CC BY-NC-SA 2.0 KR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단, 라이선스가 명시된 일부 문서 및 삽화 제외)
기여하신 문서의 저작권은 각 기여자에게 있으며, 각 기여자는 기여하신 부분의 저작권을 갖습니다.

나무위키는 백과사전이 아니며 검증되지 않았거나, 편향적이거나, 잘못된 서술이 있을 수 있습니다.
나무위키는 위키위키입니다. 여러분이 직접 문서를 고칠 수 있으며, 다른 사람의 의견을 원할 경우 직접 토론을 발제할 수 있습니다.

  •  
  •  
  •  
  •  
  •  
  •  
  •  
  •  
  •  
  •  
  •  
  •  
  •  
  •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