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 BACK << -|- >> HOME <<)

청평호 버스 추락 사고

최근 수정 시각:
4
편집
현재 사용중인 아이피가 ACL그룹 IDC #12915에 있기 때문에 편집 권한이 부족합니다.
만료일 : 무기한
사유 : IDC(AS26496)
토론 역사
주의. 사건·사고 관련 내용을 설명합니다.

이 문서는 실제로 일어난 사건·사고의 자세한 내용과 설명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1. 개요2. 상세3. 둘러보기

1. 개요[편집]

사고 사진 1 (열람시 버스 내의 시신도 나오니 주의) [ 펼치기 • 접기 ]
청평호 1
사고 사진 2 [펼치기 • 접기 ]
청평호 2

1971년 5월 10일 경기도 가평군 설악면 청평 저수지에서 발생한 버스 추락 사고.

2. 상세[편집]

당시 설악면에서 출발해서 서울로 가던 이 시외버스는 1970년부터 노선이 운용됐는데 하루에 2회만 다니고 정원 한계는 53명이었다. 사람이 많아 언제나 과적 운용했는에 경찰은 단속을 잘 안 했다. 사고 당일에도 학생들과 군장병, 방생기도를 하러 가던 스님, 신체검사를 하러 가던 청년들을 포함해 무려 94명이 버스에 타고 있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버스는 1970년에도 차량 한 대가 추락한 적이 있는 청평호를 지나는 폭 4.5m의 위험한 커브길을 달리다 미끄러져 높이 11m 아래로 떨어져 깊이 20m의 청평호로 가라앉았다.

당시 청평호엔 300여대의 배가 있었으나 이 중 수상경찰 배는 보트 1대만 있어서 구조작업이 늦어졌다. 버스에서 스스로 빠져나온 사람들만 구할 수 있었는데 탑승객 중 구출된 사람은 겨우 14명 뿐이었고 다른 승객 80명은 버스에서 빠져나오지 못하고 목숨을 잃었다. 한국 역사상 가장 많은 목숨을 앗아간 교통사고다.

사고 현장은 청평댐에서 동쪽으로 약 1km 떨어진 곳이었는데, 평소에도 유원지를 찾는 관광객 차량이 많이 다녔으나 도로 폭은 좁고 포장도 되어 있지 않았고 위험표시조차 없어 이전부터 위험 지역으로 소문났다. 1971년 3월 5일 전국 도로 교통안전진단을 실시해 전국 3만 4천km 가운데 비탈길, 커브 등 고로 사정이 나쁜 곳이 6천개가 있고 그 중 이 사고 장소를 포함한 560곳에 안전시설을 설치해야 한다고 경고했고 군수와 시장에게 그런 곳에 위험지역표시를 하라고 지시했으나 지켜지지 않았고 여기에 정원의 거의 2배에 달하는 인원이 탑승했는데도 제대로 단속을 하지 않은 경찰의 나태함이 큰 참변을 불렀다. 또 운전자가 10일 넘게 퇴근을 못해 생긴 피로, 차량 정비 불량도 사고 원인으로 지목됐다.[1] 정원초과가 잦다 보니 승객들로부터 유리를 보호하기 위해서 쇠로 된 줄이 창가에 쳐져 있었기 때문에 탈출이 더욱 어려웠던 것도 희생자 수를 늘린 원인 중의 하나로 꼽히기도 했다. 이런 쇠줄은 다른 곳에서도 일상이었는지 여객 회사들의 요청으로 조립업체들에서 나올 때부터 장착되는 일도 많았다고 한다. #

분노한 유가족 300여명은 시신 50여구를 실고와 시위를 벌였고, 기동경찰 500여명이 출동해 유가족과 마찰을 빚은 끝에 다음날 강제로 해산되는 일도 있었다.#

사고 당시 방생기도를 하러 가다 사고를 당했지만 생존한 일성스님은 대전의 금강사에서 수행을 하면서 희생자들을 위해 사십구재를 손수 지내고 불공을 드렸다. 또 2000년 동국대에서 신입생 오리엔테이션을 가던 버스가 미시령에서 전복되어 7명이 숨지는 참사#가 일어나자 당시의 악몽이 되살아나 괴로웠다며 평생 모은 돈 2,000만원을 성금으로 내면서 동국대 불교 종합병원 건립에 써 달라고 부탁했다. # 일성 스님이 구한 생존자 중에는 태어난 지 80일 정도였던 신생아가 있었는데 의료법 위반으로 구치소에 있던 남편을 면회하러 가던 엄마 품에 있다가 사고를 만나 엄마를 잃고 홀로 살아남았다. 이에 아이의 아빠는 판사의 직권으로 보석으로 풀려나 아이를 양육할 수 있게 되었다.#

해당 사고 당시의 사진을 검색하면 저수지에 빠진 사고 차량을 크레인으로 끌어올리는 뉴스 사진이 뜨는데, 버스 안의 시신이 그대로 사진에 찍혀 있으니 주의하자.

3. 둘러보기[편집]

[ 2020년대 ]
[ 2010년대 ]
발생일
사건명
2019년 5월 29일
27
2018년 1월 26일
51
2017년 12월 21일
29
2014년 12월 1일
27
2014년 5월 28일
21
2014년 4월 16일
299
2010년 12월 13일
22
2010년 3월 26일
46
[ 2000년대 ]
발생일
사건명
2008년 1월 7일
40
2003년 2월 18일
192
2002년 4월 15일
130
2001년 9월 25일
25
2001년 7월 24일
20
2000년 10월 27일
22

[ 1990년대 ]
[ 1980년대 ]
발생일
사건명
1989년 9월 17일
24
1989년 7월 27일
79
1988년 3월 25일
22
1987년 11월 29일
115
1987년 8월 29일
32
1987년 6월 16일
29
1986년 7월 30일
21
1985년 1월 11일
38
1984년 1월 14일
38
1983년 10월 9일
25
1983년 9월 1일
269
1983년 4월 18일
25
1982년 6월 1일
53
1982년 4월 26일
62
1982년 2월 5일
53
1981년 11월 22일
33
1981년 5월 14일
55
1981년 2월 28일
24
1980년 6월 5일
23
[ 1970년대 ]
발생일
사건명
1979년 10월 27일
26
1979년 4월 14일
44
1978년 7월 23일
33
1977년 11월 11일
59
1976년 10월 28일
34
1976년 5월 18일
23
1976년 2월 28일
32
1974년 11월 3일
88
1974년 6월 28일
28
1974년 2월 22일
159
1973년 8월 12일
32
1973년 5월 16일
22
1972년 12월 24일
30
1972년 12월 2일
53
1972년 8월 1일
26
1971년 12월 25일
166
1971년 10월 13일
20
1971년 5월 10일
80
1971년 5월 10일
31
1970년 12월 15일
326
1970년 11월 5일
31
1970년 10월 14일
46
1970년 8월 21일
25
1970년 4월 8일
33

[ 1960년대 ]
발생일
사건명
1969년 9월 17일
37
1969년 1월 31일
41
1968년 10월 30일
48
1968년 1월 8일
41
1967년 10월 16일
42
1967년 9월 15일
29
1967년 4월 8일
80
1967년 1월 19일
39
1967년 1월 14일
93
1967년 1월 1일
41
1966년 1월 18일
22
1964년 7월 29일
95+
1963년 10월 23일
49
1963년 6월 25일
70
1963년 1월 18일
140
1962년 9월 7일
36
1960년 3월 2일
62
1960년 1월 26일
31
[ 1950년대 ]
발생일
사건명
1959년 7월 17일
67
1956년 1월 12일
66
1955년 3월 2일
42
1953년 11월 27일
29
1953년 1월 31일
56
1953년 1월 25일
66
1953년 1월 9일
330
1951년 7월 11일
94
1951년 7월 11일
30+
[ 1940년대 ]
발생일
사건명
1949년 10월 5일
71
1949년 8월 18일
51
1947년 8월 19일
23
1946년 11월 13일
42
1946년 10월 22일
59
1945년 9월 29일
73
1945년 8월 24일
549​~​5,000+

[1] 참고로 사고 차량은 하동환뻐스다.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
이 저작물은 CC BY-NC-SA 2.0 KR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단, 라이선스가 명시된 일부 문서 및 삽화 제외)
기여하신 문서의 저작권은 각 기여자에게 있으며, 각 기여자는 기여하신 부분의 저작권을 갖습니다.

나무위키는 백과사전이 아니며 검증되지 않았거나, 편향적이거나, 잘못된 서술이 있을 수 있습니다.
나무위키는 위키위키입니다. 여러분이 직접 문서를 고칠 수 있으며, 다른 사람의 의견을 원할 경우 직접 토론을 발제할 수 있습니다.

  •  
  •  
  •  
  •  
  •  
  •  
  •  
  •  
  •  
  •  
  •  
  •  
  •  
  •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