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 BACK << -|- >> HOME <<)

손재형

최근 수정 시각:
2
편집
현재 사용중인 아이피가 ACL그룹 IDC #12915에 있기 때문에 편집 권한이 부족합니다.
만료일 : 무기한
사유 : IDC(AS26496)
토론 역사
[ 펼치기 · 접기 ]
현재 회원
[분과별 예술 분야]
문학분과: 소설, 시, 아동문학, 평론
미술분과: 건축, 공예, 동양화, 서양화, 서예, 조각, 태피스트리
음악분과: 국악, 바이올린, 성악, 작곡, 지휘, 첼로, 피아노
연극분과: 극작, 무대미술, 연기, 연출
영화분과: 감독, 시나리오, 연기
무용분과: 무용
문학분과
미술분과
음악분과
연극·영화·
무용분과
유종호
전뢰진
안형일
김정옥
이신자
황영금
최종태
이경숙
조흥동
윤명로
이재숙
최청자
이종상
서계숙
서정인
유희영
한명희
김숙자
박광진
박노경
윤대성
김후란
김숙진
나덕성
김주연
강찬균
정승희
오세영
최의순
이경숙
김민희
정상화
김민
윤승중
이영자
손진책
정연희
홍석창
조정현
장혜원
김형대
김성길
신달자
이철주
윤미용
-
정진우
천양희
-
이만방
-
김우진
김긍수
최동호
-
-
-
권영민
-
-
-
-
-
-
작고 회원
문학분과
미술분과
음악분과
연극·영화·
무용분과
안종화
조연현
이주환
김성태
배렴
오영진
윤백남
윤효중
김영의
서항석
이헌구
노수현
김원복
이광래
도상봉
정훈모
박진
배길기
임원식
김정환
곽종원
김생려
이진순
김세형
조택원
신석초
이혜구
유한철
박영준
이병규
이상춘
장우성
이원경
김경승
김자경
이순석
김기수
김소동
박민종
김종영
전봉초
차범석
최정희
박영선
김성진
박득순
정희석
송범
홍원기
이유태
황병덕
유영국
정회갑
최금동
임옥인
류경채
김순열
임성남
김원
김순애
손소희
이성천
이종무
김충현
이인영
박현숙
이준
백낙호
허건
권오성
강성희
김윤성
김지헌
박연희
권옥연
백문기
이규도
이병복
정한숙
문학진
신동집
백성희
이대원
박조열
박양균
권순형
송수남
이광노
김학자
전숙희
윤영자
홍윤숙
권영우
손동진
민경갑
조수호
김요섭
이수덕
문덕수
한도용
송영방
권창윤
성찬경
박희진

external/www.mto...
(孫在馨, 1902년∼1981년)

1. 개요2. 생애3. 세한도를 돌려받다4. 수상

1. 개요[편집]

대한민국서예가. 정치인. 호는 소전(素荃). 본관은 밀양(密陽). 아명은 판돌(判乭).

2. 생애[편집]

1902년 전라남도 진도군 진도읍 교동리에서 출생했다.#

1925년 양정의숙을, 1929년에 외국어학원 독어과를 졸업하고, 어려서부터 할아버지인 손병익(孫秉翼)에게 한학과 서법을 익혔으며, 중국금석학자 나진옥(羅振玉)에게 배웠다. 1924년 제3회 선전(鮮展)에 예서 「안씨가훈(顔氏家訓)」이 첫 입선하고 해마다 거듭 입선한 이후 제10회 선전에는 특선을 하였다.

그해부터 1932년까지 중국의 금석학자 나진옥(羅振玉)[1]에게서 서화와 금석학을 공부하였다.

1930년 조선서화협회에서 특선, 1933년 조선 서도전 심사위원, 1934년 조선 서화협회 이사 및 동전 심사위원을 역임했다. 1945년 조선서화연구회 회장, 1947년 고향에 진도중학교를 설립, 이사장이 되었다. 1947년-1949년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전임 강사를 지냈고 서울시 문화위원이 되었다. 1949년-1959년 국전 심사위원, 1954년 1960년 각각 제1대 및 제2대 예술원 회원을 역임했다. 1958년 제4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무소속으로 전라남도 진도군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고 자유당에 입당하였다. 1962년 한국미술가협회 이사와 5월문예상 심사위원회 부위원장을 역임했고 동년 예술원장 작품상을 수상했다. 1965년 예술인총연합회 이사장이 되었으며 1970년 국전 심사위원장을 역임했다. 1971년 제8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공화당 후보로 전라남도 진도군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서예가로 서예라는 단어를 최초로 만든 인물이다. 이전에는 서도 혹은 서법이라고 했다.

처음에는 행서와 해서를 쓰다가, 이후에 예서와 전서를 쓰면서 독창적인 문체를 만들어냈다. '소전체'라고 하는 문체는 현재까지도 서예인들 사이에서 호평과 비판이 오가고 있다. 좋아하는 사람은 "추사 이후로 한국 최고의 서예가"라고 칭송한다.[2]

3. 세한도를 돌려받다[편집]

external/www.mto...
external/www.mto...
external/dimg.do...
손재형의 소전체 작품들

external/pds.joi...
손재형의 승설암도. 추사의 세한도와 분위기가 비슷하다.

...여기까지라면 보통의 서예가에 지나겠지만, 일본으로 반출된 세한도를 되찾아온 인물로도 유명하다. 일제강점기에 추사의 세한도는 그를 신봉한 일본인 동양철학자 후지츠카 치카시(藤塚隣)가 갖고 있었다.[3] 지카시는 세한도를 제일 좋아했기에 돈을 줘도 팔지 않겠노라고 큰소리를 쳤지만, 손재형이 포기하지 않고 매일 찾아와서 돌려달라고 요청을 하였다.[4] 결국 100일 동안 찾아와 요청을 하는 손재형의 끈기에 손을 든 후지스카는 세한도를 반환하였다. 그리고 얼마 후 도쿄대공습으로 후지스카의 집은 폭격을 당했고, 보관 중이던 추사의 서화와 유품의 대부분이 소실되었다.기사

즉, 손재형이 아니면 현재 국보 180호 세한도도 재가 되었을 가능성이 매우 높았던 것이다.[5]

4. 수상[편집]

  • 1970년 국민훈장 무궁화장
  • 1961년 대한민국 예술원상 작품상
  • 1932년 제1회 조선 서도전 특선
  • 1930년 조선서화협회전 특선
  • 1924년 조선 미술전람회 입선 1회, 특선 2회

[1] 중국에서 최초로 갑골문을 체계적으로 해석한 본좌급 학자다.[2] 여담으로 박정희 전 대통령은 손재형에게 서예를 사사했는데 손재형을 직접 청와대로 초청하면서까지 서예를 배웠다고 한다.[3] 세한도 외에 다른 추사의 서화나 유품을 가지고 있었다. 태평양 전쟁에서 일부가 불타고 나머지는 그의 아들이 한국 정부에 반환했다.[4] 이게 정말 대단한 게, 이때 벌써 미군 폭격기가 이 동네에서 폭탄을 떨구고 다닐 시점이었다. 언제 죽을 지도 모르는데 죽을 것을 각오하고 찾아갔던 것이다.[5] 그 후 손재형은 정치에 투신해 재산을 탕진하자 고리대금업자에게 세한도를 담보로 맡겼는데 돈을 갚을 길이 없자 세한도의 소유권을 포기했다. 그래서 이 작품을 개성 출신 갑부 손세기가 사들였고 아들 손창근에게 넘어갔다가 국립중앙박물관에 기증했다.#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
이 저작물은 CC BY-NC-SA 2.0 KR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단, 라이선스가 명시된 일부 문서 및 삽화 제외)
기여하신 문서의 저작권은 각 기여자에게 있으며, 각 기여자는 기여하신 부분의 저작권을 갖습니다.

나무위키는 백과사전이 아니며 검증되지 않았거나, 편향적이거나, 잘못된 서술이 있을 수 있습니다.
나무위키는 위키위키입니다. 여러분이 직접 문서를 고칠 수 있으며, 다른 사람의 의견을 원할 경우 직접 토론을 발제할 수 있습니다.

  •  
  •  
  •  
  •  
  •  
  •  
  •  
  •  
  •  
  •  
  •  
  •  
  •  
  •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