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 BACK << -|- >> HOME <<)

신봉승

최근 수정 시각:
3
편집
현재 사용중인 아이피가 ACL그룹 IDC #12915에 있기 때문에 편집 권한이 부족합니다.
만료일 : 무기한
사유 : IDC(AS26496)
토론 역사
[ 펼치기 · 접기 ]
현재 회원
[분과별 예술 분야]
문학분과: 소설, 시, 아동문학, 평론
미술분과: 건축, 공예, 동양화, 서양화, 서예, 조각, 태피스트리
음악분과: 국악, 바이올린, 성악, 작곡, 지휘, 첼로, 피아노
연극분과: 극작, 무대미술, 연기, 연출
영화분과: 감독, 시나리오, 연기
무용분과: 무용
문학분과
미술분과
음악분과
연극·영화·
무용분과
유종호
전뢰진
안형일
김정옥
이신자
황영금
최종태
이경숙
조흥동
윤명로
이재숙
최청자
이종상
서계숙
서정인
유희영
한명희
김숙자
박광진
박노경
윤대성
김후란
김숙진
나덕성
김주연
강찬균
정승희
오세영
최의순
이경숙
김민희
정상화
김민
윤승중
이영자
손진책
정연희
홍석창
조정현
장혜원
김형대
김성길
신달자
이철주
윤미용
-
정진우
천양희
-
이만방
-
김우진
김긍수
최동호
-
-
-
권영민
-
-
-
-
-
-
작고 회원
문학분과
미술분과
음악분과
연극·영화·
무용분과
안종화
조연현
이주환
김성태
배렴
오영진
윤백남
윤효중
김영의
서항석
이헌구
노수현
김원복
이광래
도상봉
정훈모
박진
배길기
임원식
김정환
곽종원
김생려
이진순
김세형
조택원
신석초
이혜구
유한철
박영준
이병규
이상춘
장우성
이원경
김경승
김자경
이순석
김기수
김소동
박민종
김종영
전봉초
차범석
최정희
박영선
김성진
박득순
정희석
송범
홍원기
이유태
황병덕
유영국
정회갑
최금동
임옥인
류경채
김순열
임성남
김원
김순애
손소희
이성천
이종무
김충현
이인영
박현숙
이준
백낙호
허건
권오성
강성희
김윤성
김지헌
박연희
권옥연
백문기
이규도
이병복
정한숙
문학진
신동집
백성희
이대원
박조열
박양균
권순형
송수남
이광노
김학자
전숙희
윤영자
홍윤숙
권영우
손동진
민경갑
조수호
김요섭
이수덕
문덕수
한도용
송영방
권창윤
성찬경
박희진
신봉승의 주요 수훈 및 수상 이력
[ 펼치기 · 접기 ]

문화보관
연도
1998년
이름
신봉승
분야
시나리오

백상예술대상로고(1)
baeksangartsawar...
TV부문 대상
제21회
(1985년)
제22회
(1986년)
제23회
(1987년)
한국의 나비
TV부문 극본상
제21회
(1985년)
제22회
(1986년)
제23회
(1987년)
김상렬
(갈매기)

역대 bluedragonfilmaw...
bluedragonawards...
각본상
제4회
(1966년)
제5회
(1967년)
제6회
(1969년)
한우정
(군번없는 용사)
신봉승
(산불)
이상현
(수학여행)
제6회
(1969년)
제7회
(1970년)
제8회
(1971년)
이상현
(수학여행)
신봉승
(봄·봄)
김수현
(필녀)

역대 daejongfilmaward...
daejongawards
시나리오상
제11회
(1972년)
제12회
(1973년)
제13회
(1974년)
김하림
(쥐띠 부인)
신봉승
(수선화)
오재호
(야녀)
신봉승
(辛奉承, Shin, Bong-seung)
신봉승 작가
출생
강원특별자치도 강릉
초당(艸堂), 취영(璻影), 한월당(閑月堂)
본관
사망
2016년 4월 19일 (향년 82세)
학력
종교
무종교불교 (법명 : 법련거사)

1. 개요2. 생애3. 작품4. TV 드라마 극본5. 신봉승 사단6. 영화 시나리오

1. 개요[편집]

대한민국소설가이자 극작가. 본관은 영월(寧越), 호는 초당(草堂), 취영(璻影), 한월당(閑月堂). 종교는 원래는 무종교였으나, 후에 불교에 귀의해서 불교이며, 법명은 법련거사이다.

2. 생애[편집]

1933년 5월 23일(음력 4월 29일) 강원도 강릉군(현 강릉시) 옥계면 현내3리에서 중농 집안의 종손으로서 만주국 황실 소속 사진 기자로 근무하던 아버지 신만선(辛萬善, 1912 ~ 1981. 5. 31)과 어머니 강릉 최씨 최정애(崔貞愛, 1911 ~ 2001. 3. 7)[3] 사이의 1남 2녀 중 외아들로 태어났다.# 일찍이 유학을 숭상하던 조부 신재문(辛在文, 1884 ~ 1950. 1. 1) 아래에서 한문을 수학하여 4살 때부터 천자문암송할 줄 알았다고 한다. 당초 강릉농업고등학교(現 강릉중앙고등학교)에 입학했으나 강릉사범학교(現 강릉원주대학교)에 편입해 졸업했고, 경희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한 뒤 1983년 경희대학교 대학원에서 국어국문학 석사 학위를 취득했다.

경희대학교 졸업 후 1960년에 문단에 등장하였고(황순원의 제자), 1961년 영화 <돌아온 산하>의 시나리오 현상 모집에 당선된 것을 계기로 극작가로도 활약했다. 극작가 활동 초반에는 동양방송에서 활약했으며, 김재형(PD)가 제작했던 '이조여인 5백년사' 등의 사극을 집필한다. 그의 대표적인 작품은 MBC조선왕조 오백년KBS1풍운. 전자는 1980년 당시의 철저한 고증과 연려실기술을 참조한 대표작으로 손꼽히며, 후자는 흥선 대원군을 소재로 만든 드라마.

조선 왕조 500년을 집필하면서 세조 ~ 연산군 연간과 개화기 시대를 아주 좋아해서 이후로도 다른 소설들이나 드라마에서도 이 시대를 다룬다. 신봉승이 조선왕조 500년을 쓰면서 가장 어려웠던 건 여러 문중 가문의 공격이었다고 한다. 애착을 보이는 대표적인 캐릭터는 한명회인수대비. 신봉승의 대표 소설이 한명회이다.

꽤 오래된 필력과 사극 극본을 맡은 것을 계기로 역사소설을 쓰기도 했고 역사 관련 저서도 저술하기도 해서 역사학자로 착각하기 쉬우나, 그는 엄연히 소설가이자 극작가이지 절대로 역사학자가 아니다. 아마추어 역사학자, 아마추어 역사 연구자라고 부를 수는 있겠다. 1972년부터 한국시나리오작가협회장, 1974년부터 한국방송작가협회 이사를 역임했고, 1991년에는 한국역사문학연구소를 개업해 대표에 취임하기도 했다.

처음에야 조선왕조실록도 보면서 비교하기도 했으나, 결국 연려실기술 수준으로 후퇴했다. 물론 실록이 한국어로 번역되지 않은 시대였음을 상기하자.[4] 결국 조선 시대 역사를 바탕으로 한 학술서 수준을 칭하는 아리까리한 에세이들을 몇권 내놓았다.

오랫동안 사극 극본을 맡은 경험 때문인지, 쪽대본에 대해 굉장히 부정적이라고 한다.# 정동진역에 남아있는 시비도 그의 작품이다.

이 외에도 한양대학교, 경희대학교, 동국대학교 등에서 극영화에 대한 강의를 맡기도 했고, 2008년부터 추계예술대학교 문화예술경영대학원 영상시나리오학과 석좌교수를 역임했다.

1996년 대한민국 예술원 영화(시나리오) 분과 회원에 가입했고, 1998년 보관문화훈장을 수훈받았다. 한국소설가협회 최고위원을 지내기도 했다.

2016년 4월 19일 오전 9시 30분에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자택에서 폐암으로 별세하였다. 향년 84세.

3. 작품[편집]

4. TV 드라마 극본[편집]

  • 이조여인 오백년사 시리즈 (TBC)
  • 꽃사슴 (MBC)[5]
  • 타국 (MBC)
  • 옥녀 (MBC)
  • 연지 (MBC)
  • 하얀민들레 (MBC)[6]
  • 안국동아씨 (MBC)
  • 고운님 여의옵고 (MBC)
  • 간양록 (MBC)
  • 교동마님 (MBC)
  • 풍운 (KBS1)
  • 유심초 (SBS)
  • 한명회 (KBS2)
  • 장희빈 (KBS2) : 강태완이란 가명으로 집필하였다. 소재가 소재이니 만큼 신봉승 작가가 이전에 썼던 조선왕조 500년 - 인현왕후에서 나온 장면들을 상당수 그대로 가져다 썼다.
  • 너희가 나라를 아느냐

5. 신봉승 사단[편집]

6. 영화 시나리오[편집]


[1] #. 부원군파(府院君派) 32세 승(承) 항렬.[2] 석사 학위 논문 : 역사소설 연구 : "단종애사"와 "춘원연구"를 중심으로(1983).[3] 최진태(崔鎭泰)의 딸이다.[4] 김별아에 따르면 <조선왕조 오백년>(1983년부터 1990년까지 방영) 집필할 당시 부족한 자료를 구하기 위해 서울특별시 용산구 후암동 서울특별시립 남산도서관 앞 나무 그늘 밑에 모여서 바둑 두고 계신 노인(어렸을 때부터 한학을 배워서 한문을 거의 네이티브 수준으로 읽을 줄 알았던)들에게 탁주 몇 사발, 담배 몇 갑을 선물로 드리면 <조선왕조실록>의 한문 원문들을 술술 풀어주셨다고.경향 신문 칼럼[5] 그동안 사극을 집필한 것과 다르게 현대물을 집필하였다.[6] 그 동안 사극을 집필한 것과 다르게 현대물을 집필하였다.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
이 저작물은 CC BY-NC-SA 2.0 KR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단, 라이선스가 명시된 일부 문서 및 삽화 제외)
기여하신 문서의 저작권은 각 기여자에게 있으며, 각 기여자는 기여하신 부분의 저작권을 갖습니다.

나무위키는 백과사전이 아니며 검증되지 않았거나, 편향적이거나, 잘못된 서술이 있을 수 있습니다.
나무위키는 위키위키입니다. 여러분이 직접 문서를 고칠 수 있으며, 다른 사람의 의견을 원할 경우 직접 토론을 발제할 수 있습니다.

  •  
  •  
  •  
  •  
  •  
  •  
  •  
  •  
  •  
  •  
  •  
  •  
  •  
  •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