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 BACK << -|- >> HOME <<)

구용서

최근 수정 시각:
1
편집
현재 사용중인 아이피가 ACL그룹 IDC #12915에 있기 때문에 편집 권한이 부족합니다.
만료일 : 무기한
사유 : IDC(AS26496)
토론 역사
정부상징
산업통상자원부장관
[ 펼치기 · 접기 ]
상공자원부장관 (1993~1994)
초대
김철수
통상산업부장관 (1994~1998)
제2대
박재윤
제3대
안광구
제4대
임창열
제5대
정해주
산업자원부장관 (1998~2008)
초대
박태영
제2대
정덕구
제3대
김영호
제4대
신국환
제5대
장재식
제6대
신국환
제7대
윤진식
제8대
이희범
제9대
정세균
제10대
김영주
지식경제부장관 (2008~2013)
초대
이윤호
제2대
최경환
제3대
최중경
제4대
홍석우
산업통상자원부장관 (2013~현재)
초대
윤상직
제2대
주형환
제3대
백운규
제4대
성윤모
제5대
문승욱
제6대
이창양
제7대
방문규
제8대
안덕근
역임한 직위
[ 펼치기 · 접기 ]
대한석탄공사 엠블럼
대한석탄공사
역대 사장
[ 펼치기 · 접기 ]
초대
허정
2대
김성호
3대
김훈
5대
임송본
6대
정인욱
7대
김의창
8대
김성호
9대
김상복
10대
유흥수
11대
하상용
12대
이상규
17대
최주철
18대
김덕엽
19대
이근양
20·21대
이훈섭
22·23대
고광도
27대
서생현
28대
이상윤
29대
이병길
32대
김지엽
36대
김현태
37대
권혁수
38대
백창현

한국산업은행 심볼
한국산업은행
역대 회장
[ 펼치기 · 접기 ]
한국산업은행 총재 (1954~2008)
초대·제2대
구용서
제3대
김영찬
제4대
김호진
제5대
김영휘
제6대
서병수
제7대
나익진
제8대
김세련
제9대
서진수
제10대
박동규
제11대
홍승희
제12대
이정환
제13대
김영휘
제14대
김민호
제15·16대
김원기
제17대
김준성
제18대
하영기
제19대
최창락
제20대
정춘택
제21대
김흥기
제22대
정영의
제23대
이동호
제24·25대
이형구
제26대
김시형
제27대
김영태
제28대
이근영
제29대
엄낙용
제30대
정건용
제31대
유지창
제32대
김창록

산은금융지주 회장 (2008~2014)
초대
민유성
제2대
강만수
제3대
홍기택

통합 한국산업은행 회장 (2015~현재)
초대
홍기택
제2대
이동걸
제3·4대
이동걸
제5대
강석훈

대한민국 제10대 상공부장관
구용서
具鎔書 | Gu Yong-seo
구용서 한국은행 총재
출생
사망
1984년 4월 24일 (향년 84세)
본관
재임기간
초대 한국은행 총재
제10대 상공부 장관
[ 펼치기 · 접기 ]
학력
경성중학교 (졸업)
도쿄상과대학 (학사)
경력
1. 개요2. 생애3. 둘러보기

1. 개요[편집]

대한민국의 전 관료이다. 아버지가 을미사변에 협조하고 일제강점기에 경찰 간부를 지닌 구연수(具然壽)이며, 처조부가 친일반민족행위자 송병준(宋秉畯)이다.[2] 창씨개명 명칭은 구하라 이치로(具原一郞)이다. 본관은 창원[3]이다.

2. 생애[편집]

1899년 대한제국 경상남도 동래부(현 부산광역시)에서 출생했다고 본인은 주장하나 아버지를 따라 망명하여 일본에서 태어났을 것이라는 것이 학계의 정설이다.[4][5] 경성부 경성중학교 (서울고등학교 모태), 일본 도쿄상과대학 (현 히토츠바시대학) 졸업 후, 1925년부터 조선은행에서 근무하였다. 이 당시는 조선은행이 구조조정을 당하여 경성본점이 폐쇄되는 시기였고 공채도 없었던 시기였는데 유일하게 일본 본토에서 특채되었고 그 이후 10년간 신입행원이 없었다고 한다. 따라서 해방 이후에는 몇 안되는 금융통일 수 밖에 없었다.

1942년에는 조선인 최초로 조선은행의 지점장(여수)이 되었다. 그러나 직원 중 하나가 편지에서 무심코 "여수에도 곧 일본 해군의 비행장이 생긴다더라"고 적은 것이 검열에 걸려 당사자는 구속되고, 구용서는 대리로 강등되어 오사카 출장소로 좌천당했다.#

8.15 광복이승만 정부가 출범하자 초대 한국은행 총재, 제4대 대한석탄공사 총재, 초대 한국제지공업연합회 회장, 초대 한국산업은행 총재, 제10대 상공부장관을 역임했다.

3. 둘러보기[편집]

[ 펼치기 · 접기 ]
직위
명단

[1] 부사공파 부산동래문중 20세.[2] 송병준이 구용서의 외할아버지라고 언급하는 기사가 있는데, 정확히는 아내의 할아버지다. 구용서의 아내는 송병준 아들인 송종헌의 딸이었다.[3] 항렬자를 쓰지 않았으나, 구용서 묘비에 "一愚昌原具公鎔書之墓 配恩津宋氏智惠子 祔左(일우창원구공용서지묘 배은진송씨지혜자 부좌)"라고 써져 있으며, 보명(譜名)이 20세손 옥(鈺)자 항렬을 써서 구용옥(具鎔鈺, 출처 사진.)인 것을 보아 창원 구씨인 것이 확실하다.[4] 한국 근대사의 흐름만 제대로 이해만 하고 있어도 부산광역시 출생설은 새빨간 거짓말이라는 것을 알 수 있는데 을미사변때 세워진 친일내각도 1896년 고종의 아관파천과 함께 붕괴되고 친러내각으로 교체되었다. 그리고 을미사변에 가담한 조선인 시해범들은 대역죄인으로 지목되었고 이들은 일본으로 망명할 수 밖에 없다. 고종은 일본으로 망명한 을미사변 시해범들을 제거하기 위해 자객들을 보냈으며, 을미사변 시해범들 중 한명이었던 우범선은 결국 고영근의 손에 암살당했다.[5] 구용서의 아버지 구연수는 을미사변때 명성황후 시해에 가담했을 뿐만아니라 우범선의 명령으로 시신까지 소각하는데 가담한 역적인데 1899년 친러내각이 정권을 잡고 있던 조선에서 태어난다는 것 자체가 말이 안된다.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
이 저작물은 CC BY-NC-SA 2.0 KR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단, 라이선스가 명시된 일부 문서 및 삽화 제외)
기여하신 문서의 저작권은 각 기여자에게 있으며, 각 기여자는 기여하신 부분의 저작권을 갖습니다.

나무위키는 백과사전이 아니며 검증되지 않았거나, 편향적이거나, 잘못된 서술이 있을 수 있습니다.
나무위키는 위키위키입니다. 여러분이 직접 문서를 고칠 수 있으며, 다른 사람의 의견을 원할 경우 직접 토론을 발제할 수 있습니다.

  •  
  •  
  •  
  •  
  •  
  •  
  •  
  •  
  •  
  •  
  •  
  •  
  •  
  •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