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 BACK << -|- >> HOME <<)

창덕궁 선정문

최근 수정 시각:
편집
현재 사용중인 아이피가 ACL그룹 IDC #12915에 있기 때문에 편집 권한이 부족합니다.
만료일 : 무기한
사유 : IDC(AS26496)
토론 역사
분류
[ 펼치기 · 접기 ]
농포
소요암 옥류천
신선원전 진설청
사가정
천향각
산단
백운사
천성동
태청문
청연각
외삼문
척뇌당
관람정
반도지
부군당
반빗간
태일문
통벽문
우신문
국출신직소
수인문
장양문
장락문
어수당
애련지
불로문
석거문
금마문
영춘문
어수문
부용지
춘당대 서총대
서소
개유와 열고관
창송헌
습취헌
영모당
경훈각 징광루
수랏간
태화당
재덕당
요휘문
경극문
여춘문
병경문
선원전 진설청 내재실
만수문
건중문
영안문
만안문
관광청
건인문
책고
어휘문
연경문
만복문
향실
해당정 수방재
연영합 평원루
취명문
운한문
영의사
서방색
소주방
선화문
자시문
보화문
숭범문
선전관청
영현문
전의사
협문
훈국초관인직소
내삼청
광범문
내반원
훈국초관인직소
문서고
궁방 사옹원
등촉방
대은원
훈국군파수직소
정청
육선루
악기고
상서성
연영문
무예청
장락문
주명문
남소
위장청
+
대청
공상청
누국
수문장청
일영대
결속색
정색
내병조
(창덕궁관리소)
호위청
상서원
배설방
금위군번소
패장직소
별감방
전루
문기수번소
무비사
의장고
전설사
빈청
(어차고)
군옥재
춘방
수문장청
수문장청
교자고
상의원
치미각
계방
등룡문
원역처소
사주문

창덕궁 선정문
昌德宮 宣政門
소재지
건축시기
1405년 (창건)
1608년 (중건)
1647년 (중건)
1908년 (개수)
1990년대 (복원)
창덕궁 선정문1
선정문
1. 개요2. 역사3. 구조

1. 개요[편집]

창덕궁 편전 선정전정문이다. 1층 목조[1]이다.

이름 뜻은 당연히 '선정전의 문'이다. '선정(宣政)' 자체는 선정을 베풀라는 뜻이 아니라[2] '정치와 교육을 널리 펼친다'는 의미이다.

2. 역사[편집]

1405년(태종 5년) 창덕궁 창건 때 편전 조계청(朝啓廳)을 세우면서 같이 건립했다. 1461년(세조 7년) 12월에 세조가 조계청 이름을 선정전으로 바꾸면서 조계청 정문의 이름 역시 선정문으로 개칭했다.

임진왜란 때 불탄 것을 1608년(광해군 원년)에 복구했으나, 인조반정 때 다시 화재를 입어 1647년(인조 25년)에 재건했다.

조선시대 당시 선정전 행각은 남쪽으로 두 겹이 있었다. 현재 선정전 행각 밖에 또 다른 행각이 있었고 그 행각에 선정문이 있었다. 그리고 조선 후기 들어 선정전을 혼전[3]으로 자주 쓰면서 선정전과 선정문 일곽에 복도각을 만들었는데, 선정문의 서쪽 칸과 안쪽 행각 출입문인 돈례문(敦禮門)의 중앙 칸을 복도로 연결시켰다.
동궐도 선정문
〈동궐도〉 선정전 일곽. 붉은 원이 원래의 선정문이고 푸른 원이 현재 선정문이다.
그러나 바깥 행각은 일제가 철거했다. 이후 안쪽 행각을 개조하고 돈례문[4]을 평삼문으로 고친 뒤 그 문에다 선정문 현판을 달았다.
1980년대 선정문
바뀐 선정문. 사진은 1980년대의 모습이다.
안쪽 행각과 돈례문은 1990년대 후반에 조선시대 모습으로 복원했는데 바깥 행각과 본래 선정문은 복원하지 못했다. 안 한 것이 아니고 못 한 것이다. 왜냐하면 선정문 동편에 있는 희정당 권역의 지형이 일제강점기현대를 거치며 조선시대 모습과 완전히 달라졌기 때문에 원래 선정문 자리에 재건할 수 없기 때문이다.
선정문 원래 자리
선정문 원래 자리 추정지(초록색 원 안)[5]
즉, 원래 선정문은 현재 없고, 조선시대 당시 돈례문이 선정문을 대신하는 것이다.

3. 구조[편집]

※ 현재의 선정문을 기준으로 한다.
  • 본채를 따로 만든 것은 아니고 행각의 일부분을 문으로 삼았다. 장대석을 4벌 깐 기단을 놓고 그 위에 행각과 문을 만들었으며 역시 4벌 깐 계단을 각 칸마다 하나씩, 총 3세트를 두었다. 문만 놓고보면 정면 3칸, 측면 2칸으로 좌, 우 협문은 신하들이 다니고 가운데는 이 다니는 어칸(御間)으로 두었다. 현판은 어칸의 외부에 걸려있다.

    어칸의 경우, 이 다니는 이기 때문에 아무래도 좌, 우 칸과 차이가 있다. 지붕을 높여 솟을대문 형식으로 만들었고 칸의 높이 역시 좌, 우 신하들이 다니는 칸보다 높게 지었으며 문 인방 위에 안상의 모양대로 풍혈을 뚫은 7개의 궁판이 놓여있고 그 위에 홍살을 놓았다. 다만, 선정전이 혼전일 때엔 선정문의 어칸은 신이 다니는 이 되기 때문에 과 신하들은 사이좋게 협문으로 다녔다.

    지붕은 맞배지붕으로 용마루의 양쪽 끝에 취두를 놓았고, 처마는 홑처마이며, 공포는 간결한 초익공 양식이다. 주춧돌기둥은 네모난 형태이며 단청은 모로단청으로 칠했다.[6] 천장은 서까래와 구조들이 훤히 보이는 연등천장으로 했다.
[1] 보통 한옥의 경우 1층보다는 단층(單層)으로 말한다.[2] 그 '선정'은 '善政'이다.[3] 魂殿. 임금이나 왕비국장 뒤 3년 동안 신위(神位)를 모시던 전각.[4] 앞서 언급했듯 조선 후기 들어 선정전이 혼전이 되면서 돈례문의 현판을 뗀 듯하다. 19세기에 그려진 《동궐도》엔 이름이 적혀있지 않다.[5] 사진 출처 - 네이버 지도.[6] 부재 끝부분에만 문양을 넣고 가운데는 긋기로 마무리한 단청이다.

CC-white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38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CC-white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38 (이전 역사)
문서의 r4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
이 저작물은 CC BY-NC-SA 2.0 KR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단, 라이선스가 명시된 일부 문서 및 삽화 제외)
기여하신 문서의 저작권은 각 기여자에게 있으며, 각 기여자는 기여하신 부분의 저작권을 갖습니다.

나무위키는 백과사전이 아니며 검증되지 않았거나, 편향적이거나, 잘못된 서술이 있을 수 있습니다.
나무위키는 위키위키입니다. 여러분이 직접 문서를 고칠 수 있으며, 다른 사람의 의견을 원할 경우 직접 토론을 발제할 수 있습니다.

  •  
  •  
  •  
  •  
  •  
  •  
  •  
  •  
  •  
  •  
  •  
  •  
  •  
  •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