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 BACK << -|- >> HOME <<)

순서 관계

최근 수정 시각:
5
편집
현재 사용중인 아이피가 ACL그룹 IDC #12915에 있기 때문에 편집 권한이 부족합니다.
만료일 : 무기한
사유 : IDC(AS26496)
토론 역사
수학기초론
Foundations of Mathematics
[ 펼치기 · 접기 ]
다루는 대상과 주요 토픽
정리
기타
1. 준순서2. 부분순서3. 순부분순서4. 전순서5. 정렬 순서6. 용어7. 예시8. 순서동형
8.1. 재미있는 결과

1. 준순서[편집]

집합 AA에서 다음 두 조건을 만족하는 이항 관계 \leq[1]를 준순서(quasi-order) 혹은 원순서(preorder)라 한다.
  1. xA(xx)\forall x \in A \,(x \le x) (반사관계)
  2. x,y,zA((xyyz)xz)\forall x, y, z \in A \,((x \le y \wedge y \le z) \to x \leq z) (추이관계)

일반적으로 순서관계라고 하면 준순서가 아닌, 아래의 부분순서 관계를 뜻한다.

2. 부분순서[편집]

집합 AA에서 다음 세 조건을 만족하는 이항 관계 \leq를 부분 순서(partial order)라고 하고 (A,)\left(A, \leq \right)를 부분 순서 집합(partially ordered set, poset)이라고 한다:
  1. xA(xx)\forall x \in A \left(x\leq x \right) (반사관계)
  2. x,yA((xyyx)x=y)\forall x, y \in A \left(\left(x\leq y \wedge y\leq x \right) \to x = y \right) (반대칭관계)
  3. x,y,zA((xyyz)xz)\forall x, y, z \in A ((x\leq y \wedge y\leq z) \to x\leq z) (추이관계)

부분순서가 주어진 유한 집합에 대해 하세 다이어그램이라는 그래프로 나타내는 방법이 있다.

3. 순부분순서[편집]

집합 AA에서 정의된 이항 관계 <<가 다음을 만족할 때, 이를 A의 순부분순서(strict partial order)라고 한다:
  1. xA(¬(x<x))\forall x \in A \left(\neg(x<x)\right) (비반사관계)
  2. x,y,zA((x<yy<z)x<z)\forall x, y, z \in A ((x<y \wedge y<z) \to x<z) (추이관계)

사실상 순부분순서와 부분순서는 거의 같은 것이다. 즉, <를 정의하면 \le를 자연스럽게 정의할 수 있고, 반대도 마찬가지다.
(x<y)def(xyxy) \left(x<y\right) \overset{\mathrm{def}}{\Longleftrightarrow} \left( x\leq y \wedge x\neq y \right)

4. 전순서[편집]

집합 AA에서의 이항 관계 \leq가 다음을 만족하면, 이를 전순서(total order) 또는 선형순서(linear order)라 하고, (A,)\left(A, \leq \right)를 전순서 집합(totally ordered set, toset) 또는 선형 순서 집합(linearly ordered set)이라 한다:
  1. x,yA(xyyx)\forall x, y \in A \left(x\leq y \lor y \leq x \right) (항상 비교 가능)
  2. x,yA((xyyx)x=y)\forall x, y \in A \left(\left(x\leq y \wedge y\leq x \right) \to x = y \right) (반대칭관계)
  3. x,y,zA((xyyz)xz)\forall x, y, z \in A ((x\leq y \wedge y\leq z) \to x\leq z) (추이관계)

부분순서 집합과의 차이점은 1번 조건에 따라 모든 원소들이 서로 비교가능하다는 것이다. 따라서 원소들을 일렬로 배치하는 모형을 생각할 수 있고, 이런 점에서 부분순서 집합의 부분집합인 전순서 집합을 사슬(chain)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이와 비슷하게 부분순서 집합을 그물이라 부르는 경우도 있다.

흔히 교재에 따라 부분 순서 관계와의 연관성을 강조하기 위해 반사성 조건을 집어넣는 경우가 있는데, 사실 이는 1번 조건으로부터 연역 가능하다.

xA(xxxx)xA(xx)\begin{aligned} \forall x&\in A(x \leq x \lor x \leq x) \\ \therefore\forall x&\in A(x \leq x) \\ \end{aligned}

따라서 1번 조건을 만족시킨다면 자연스럽게 반사성도 만족하기 때문에 정의에 포함하지 않아도 상관이 없다.

5. 정렬 순서[편집]

전순서 집합 AA의 임의의 부분집합이 최소원소를 가지면, AA를 정렬집합(well-ordered set)이라 하고, 그 전순서를 정렬 순서(well-ordering)이라 한다.

정렬 집합은 어떤 서수(ordinal)에 대해 순서 동형이다. 즉, ONON을 서수의 고유 모임이라고 하면, 임의의 정렬 집합 AA에 대하여 x,yA,x<y    f(x)<f(y)x,\:y\in A,\:\:x<y\iff f(x)<f(y)인 전단사함수 f:Aαf:A\to\alpha가 존재하는 서수 αON\alpha\in ON가 존재한다.

선택공리를 가정하면, 임의의 집합에 정렬순서를 줄 수 있는게 보장된다. 이를 정렬 정리(well-ordering theorem)라고 하는데, ZF 하에서 선택공리와 동치인 대표적인 명제이다.

6. 용어[편집]

  • 비교 가능성(comparability)
    부분순서집합 (A,)\left(A, \leq \right)가 주어졌을 때, 집합 AA의 두 원소 a,ba, baba \leq b이거나 bab \leq a이면 a와 b는 비교 가능하다(comparable)고 하며, 그렇지 않으면 a와 b는 비교 불가능하다(incomparable)고 한다.
  • 극대 원소, 극소 원소
    부분순서집합 (A,)\left(A, \leq \right)가 주어졌을 때, 집합 AA의 모든 원소 xx에 대하여 Mx    x=MM \leq x \implies x=M을 만족시키는 집합 AA의 원소 MM을 집합 AA극대 원소(Maximal element)라고 하며, 반대로 집합 AA의 모든 원소 xx에 대하여 xm    x=mx \leq m \implies x=m을 만족시키는 집합 AA의 원소 mm을 집합 AA극소 원소(Minimal element)라고 한다.
    극대, 극소 원소는 한 부분순서집합 내에서 여러 개가 존재할 수도 있고, 아예 존재하지 않을 수도 있다.
  • 최대 원소, 최소 원소
    부분순서집합 (A,)\left(A, \leq \right)가 주어졌을 때, 집합 AA의 모든 원소 xx에 대하여 xMx \leq M을 만족시키는 집합 AA의 원소 MM을 집합 AA최대 원소(Greatest element)라고 하며, 반대로 집합 AA의 모든 원소 xx에 대하여 mxm \leq x를 만족시키는 집합 AA의 원소 mm을 집합 AA최소 원소(Least element)라고 한다.
    최대, 최소 원소의 개념의 핵심은 부분순서집합의 모든 원소가 그 원소에 대하여 비교 가능해야 한다는 것이다. 만약 비교 가능하지 않은 원소가 하나라도 존재한다면 최대, 최소 원소가 될 수 없다. 최대, 최소 원소는 아예 존재하지 않을 수도 있지만, 한 부분순서집합 내에서 둘 이상 존재할 수 없다. 또한 모든 최대, 최소 원소는 각각 극대, 극소 원소가 된다.
    한편 모든 유한한 전순서관계는 최대 원소와 최소 원소를 갖지만 어떤 부분순서집합이 최대, 최소 원소를 갖는다고 해서 반드시 전순서집합이 되는 것은 아니다. 왜냐하면 최대, 최소 원소를 제외한 다른 원소들 사이에 비교 가능하지 않은 원소의 쌍이 존재할 수 있기 때문이다.
  • 상계, 하계, 상한, 하한
    실수 체계에서의 정의와 유사하다. 부분순서집합 (A,)\left(A, \leq \right)와 집합 AA의 부분집합 EE가 주어졌을 때, 집합 EE의 모든 원소 xx에 대하여 xMx \leq M을 만족시키는 집합 AA의 원소 MM을 집합 EE상계(Upper Bound)라고 하며, 반대로 집합 EE의 모든 원소 xx에 대하여 mxm \leq x를 만족시키는 집합 AA의 원소 mm을 집합 AA하계(Lower Bound)라고 한다. 집합 EE의 상계 집합의 최소 원소를 집합 EE상한(Supremum) 또는 최소 상계(Least Upper Bound)라 하고, 하계 집합의 최대 원소를 하한(Infimum) 또는 최대 하계(Greatest Lower Bound)라 한다.
    실수 집합의 경우 완비성 공리(Completeness Axiom)에 의해서 상계(하계)를 가지면 상한(하한)을 반드시 가졌다. 하지만 일반적으로는 상계와 하계를 갖는다고 해서 상한과 하한이 반드시 존재하는 것은 아니다. 유리수 집합의 부분집합으로 '제곱이 2보다 작은 수의 집합'을 생각해 보자. 이 집합의 상계는 1.5, 2, 3, 100 등 수도 없이 많이 존재하지만, 상한은 없다.

7. 예시[편집]

  • 수 체계의 부등호
    순서 관계 중에서도 전순서에 해당한다. 어찌 보면 순서 관계라는 개념 자체가 수 체계에서만 사용하던 원소들 간의 대소 비교를 모든 종류의 원소로 확장시킨 개념이라 말할 수 있다. a가 b보다 작다는 것을 a가 b에 대하여 순서상 앞에 위치한다(precede)고 해석할 수 있기 때문이다.
  • 집합 사이의 포함 관계
    반사성과 추이성을 만족하고, 반대칭성은 아예 집합의 상등의 정의와 동일하므로 부분순서관계에 해당한다. 하지만 완전한 포함 관계에 있지 않은 집합의 쌍이 존재하므로 전순서관계는 아니다. 최소 원소는 공집합(\emptyset)이며, 최대 원소는 존재하지 않는다.
  • 자연수의 나누어떨어짐 관계(|)
    나누어떨어짐 관계 역시 반사성, 반대칭성, 추이성을 모두 만족시키므로 부분순서관계에 해당한다. 최소 원소는 1이며, 최대 원소는 존재하지 않는다.
    • 모든 자연수는 자기 자신을 나누어떨어뜨릴 수 있으므로 반사성을 만족한다.
    • 어떤 두 자연수 a,ba, b에 대하여 aba|b이고 bab|a라 가정하자. 그러면 b=amb=am, a=bna=bn을 만족시키는 두 정수 m,nm, n이 존재하며, a,ba, b가 자연수이므로 m,nm, n 역시 자연수이다. a=bn=(am)n=a(mn)a=bn=\left(am\right)n=a\left(mn\right)이므로 m=n=1m=n=1이고, 결과적으로 a=ba=b라는 결론을 얻는다. 따라서 반대칭성도 만족한다.
    • 어떤 세 자연수 a,b,ca, b, c에 대하여 aba|b이고 bcb|c라 가정하자. 그러면 b=amb=am, c=bnc=bn을 만족시키는 두 정수 m,nm, n이 존재한다. 그러면 c=a(mn)c=a\left(mn\right)이므로 aca|c이다. 따라서 추이성도 만족한다.
    다만 이 관계 역시 8, 12처럼 서로 나누어떨어지지 않는 관계에 있는 자연수의 쌍이 존재하기 때문에 전순서관계가 아니다.
    만약에 수의 범위를 정수로 확장할 경우 반대칭성을 만족하지 못해 부분순서관계가 되지 못한다. 반대칭성을 만족하지 못하는 반례로 2와 -2를 들 수 있다. 둘은 서로를 나누어떨어뜨리지만 222 \neq -2이다.
  • 양자역학에서 측정의 결과값들로 만들어지는 상태공간이 부분순서를 따른다고 설명하기도 한다. 고전적인 측정은 '예'와 '아니오'의 결과값이 나오며 결정론적인 명제 논리학을 따르지만 양자역학의 측정은 비결정론적 특성을 보였기 때문에 1936년 버크호프와 폰 노이만힐베르트 공간에서의 부분순서로 구성된 양자 논리학을 만들었다.
  • 족보개족보가 아니라면 부자 관계로 순서관계를 줄수 있다.

8. 순서동형[편집]

x,yA(x<1yf(x)<2f(y))\forall x, y \in A (x <_1 y \leftrightarrow f(x) <_2 f(y))를 만족하는 일대일대응 f:ABf:A \to B가 존재할 때 ff를 순서동형사상이라 하고, 두 순서집합 (A,<1)(A, <_1)(B,<2)(B, <_2)는 순서동형이라고 한다.

8.1. 재미있는 결과[편집]

  • 끝점이 없고 가산이며 조밀한 모든 전순서집합은 서로 순서동형이다. (따라서 유리수만 보면 된다.)
  • 모든 가산인 전순서집합은 유리수의 부분집합과 순서동형이다.

[1] 본 문서에서는 초등학교 때부터 가르치는 평범한 부등호를 사용하였으나, 순서관계를 다루는 집합론, 해석학, 위상수학 등의 수학기초론 교과서에서는 흔히 쓰이는 부등호 대신 \prec, \preceq, \succ, \succeq라는 살짝 휘어진 기호를 쓰기도 한다.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
이 저작물은 CC BY-NC-SA 2.0 KR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단, 라이선스가 명시된 일부 문서 및 삽화 제외)
기여하신 문서의 저작권은 각 기여자에게 있으며, 각 기여자는 기여하신 부분의 저작권을 갖습니다.

나무위키는 백과사전이 아니며 검증되지 않았거나, 편향적이거나, 잘못된 서술이 있을 수 있습니다.
나무위키는 위키위키입니다. 여러분이 직접 문서를 고칠 수 있으며, 다른 사람의 의견을 원할 경우 직접 토론을 발제할 수 있습니다.

  •  
  •  
  •  
  •  
  •  
  •  
  •  
  •  
  •  
  •  
  •  
  •  
  •  
  •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