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 BACK << -|- >> HOME <<)

북극성-5

최근 수정 시각:
2
편집
현재 사용중인 아이피가 ACL그룹 IDC #12915에 있기 때문에 편집 권한이 부족합니다.
만료일 : 무기한
사유 : IDC(AS26496)
토론 역사
[ 펼치기 · 접기 ]
화성-11라(110km) · KN-02/화성-11(160km) · KN-09/KN-16(180km, 200km)
SCUD-ER(1,000km) · 노동/화성-7(1,300km) · KN-15/북극성-2(2,000km)· 극초음속 2형(2,000km) · 화성-8(극초음속)
KN-27/화살-1(1,500km) · 2023년 공개 SLCM(1,500km) · 화살-2(1,800km) · 불화살-3-31(2,000km) · 화살-1라-3
KN-08, KN-14/화성-13 · KN-20/화성-14(10,000km) · KN-22/화성-15(13,000km) · 화성-17(15,000km) · 화성-18(15,000km)
자칭 인공위성 발사체 및 발사
KN-01[2] · 금성-3[3]
KN-18(대함 탄도탄) · KN-19(금성-3 지대함 버전) · 바다수리-6
퇴역 · 프로토타입
2022 국방백서 미사일 평가...
[ 각주 ]
[ND] 스커드, 화성-7 기반 발사체 | [MS] 화성-7, 화성-10 기반 발사체 | [PE] 백두산 엔진 발사체
[1] S-300, HQ-9 기반 | [2] 실크웜 기반 | [3] Kh-35 기반 | [4] 9M111 Fagot 기반 | [5] 9M113 콘쿠르스 기반
북극성-5
북한 국기 북한 북극성 미사일의 한 종류
북극성-5형
2021년 1월 14일 조선로동당 제8차대회 기념 열병식에서 공개 모습
북한 명칭
《북극성-5》형[1] 혹은 《북극성-5ㅅ》
국방백서 표기
북극성-5ㅅ
없음[2]
최대사거리
3,000km 이하[3]
길이
10.35m[UN]~11.6m[ONN]
지름
2m[UN]~2.05m[ONN]
단 수
2단[UN]
1. 개요2. 상세3. 2022년 12월 엔진시험과의 연관성4. 모형설5. 둘러보기

1. 개요[편집]

북한의 고체연료 잠대지 중거리 탄도 미사일로 2021년 열병식에서 공개되었다.

2. 상세[편집]

2020년 10월 10일[9] 북극성-4가 공개된 데에 이어 불과 3개월만에 추가로 공개한 SLBM이다.북극성-4보다 직경이 더 커진 것으로 보인다. 북극성-4 공개 당시에는 육군의 호위 병력들이 수송차량에 함께 있었으나 북극성-5 공개 시에는 배치되지 않았다.

이처럼 새 SLBM을 공개하는 것은, 이미 개발이 끝난 여러 SLBM들을 하나씩 공개하는 것일수도 있지만, 단순히 북극성-3이나 북극성-4 모형을 크기만 키운 것일 수도 있다.

따라서 실제 진위여부는 SLBM 시험발사를 봐야 알 것이다. 다만 일부 매체에서는 다탄두 SLBM을 예상하기도. # 하는데 가능성이 낮다.

공개 직전 열린 조선로동당 제8차대회에서 김정은이 핵추진 미사일 잠수함(SSBN) 개발을 선포했는데 이 핵잠수함에 탑재될 미사일로 확실시된다.

38노스의 마이클 앨만 연구원은 미국의 UGM-73 포세이돈 SLBM과 유사한 형상으로 분석하고, 2단 고체 추친체로 3,000km의 사정거리를 가질 것으로 추즉했다. #

이후 자위-2021 행사에도 등장했다. 이 때 처음 공개된 KN-23 개량 단거리 SLBM이 실제 발사된 것이 특기할 만 한 사항이다. 즉 북극성-4와 북극성-5의 시험발사만 남은 것이다. 물론 아직 북극성-4도 발사가 이루어지지 않은 상황이기는 하다. 한편 이 때, 전시된 북극성-5 앞에 탄두로 추정되는 사진이 함께 포착되었다.
북극성-5 탄두 관련 주기
행사 당시 각종 미사일과 안내판

이후 2022년 국방백서에서 준중거리 탄도 미사일로 규정되었다.

3. 2022년 12월 엔진시험과의 연관성[편집]

2022년 12월 고체 엔진 ...
고체 엔진 시험의 모습
2022년 12월 공개 고체 ...
엔진 시험장을 참관하는 김정은
2022년 12월 15일, 북한은 동창리 서해위성발사장에서 고체 연료 엔진 시험을 성공시켰다. 출력은 ICBM급은 거뜬히 넘기는 140톤포스에 이른다. 사진속에 등장한 미사일 동체 모양 구조물 등으로 보아, 이 날 시험한 엔진이 사실상 북극성-5 내지는 북극성-4, 조선인민군 2022년 공개 SLBM용 엔진으로 평가된다. 김동엽 교수는 이 미사일의 엔진으로 평가했다. # 류성엽 연구위원도 SLBM 용 엔진으로 평가했다. #

4. 모형설[편집]

다른 북한 무기들처럼 모형설이 제기되었다. UN 안보리 보고서에 따르면 한 구성국가에서 목업임을 주장했다고 한다. 보고서의 p.11 (실제 존재하는 미사일은 따로 잘 있고) 열병식에 목업을 내세웠다는 것이 포인트가 아니라, 대외적으로 북한이 북극성-4-북극성-5-조선인민군 2022년 공개 SLBM로 매 년 SLBM을 내보이고 있는 상황인데 이것들이 모두 개별 모델로 운용되고, 실현화될지에 대한 근본적인 의문 제기이다.

5. 둘러보기[편집]

북한 국기 북한의 핵·WMD 위협과 대한민국의 대응 대한민국 국기
[ 펼치기 · 접기 ]
수중발사 핵전략무기
핵무력 전략
킬체인(Kill Chain)
고정표적: 현무-II, 고위력 현무, KTSSM | 이동표적: F-35, KUS-X, 현무-III, 해성-II, 천룡, KEPD 350 | 북한 잠수함: 백상어, 홍상어, 범상어, 자항기뢰 | 비물리적 공격: 정전탄, 전자기펄스탄, 한국형 전자전기
주한미군: THAAD | 종말단계 상층: L-SAM | 종말단계 하층: 천궁-III, 천궁-II, 패트리어트 | 장사정포: LAMD | 그외: 레이저무기, 상승단계 요격 미사일(KF-21)
감시정찰
기타 억제·대응 전략
[1] 조선신보에서 이렇게 표현함(#)[2] 실제 발사가 이루어지지도, 실전배치가 이루어지지도 않았기 때문에 아직 미부여.[3] 추정치이다.[UN] 4.1 4.2 4.3 출처: UN 안보리 보고서 S/2021/777 부록 18-2-3 PDF 링크[ONN] 5.1 5.2 오스트리아 기반 연구소 ONN의 측정, 해당 보고서[9] 북한의 당 창건 75주년 기념일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
이 저작물은 CC BY-NC-SA 2.0 KR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단, 라이선스가 명시된 일부 문서 및 삽화 제외)
기여하신 문서의 저작권은 각 기여자에게 있으며, 각 기여자는 기여하신 부분의 저작권을 갖습니다.

나무위키는 백과사전이 아니며 검증되지 않았거나, 편향적이거나, 잘못된 서술이 있을 수 있습니다.
나무위키는 위키위키입니다. 여러분이 직접 문서를 고칠 수 있으며, 다른 사람의 의견을 원할 경우 직접 토론을 발제할 수 있습니다.

  •  
  •  
  •  
  •  
  •  
  •  
  •  
  •  
  •  
  •  
  •  
  •  
  •  
  •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