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 BACK << -|- >> HOME <<)

RBS 15

최근 수정 시각:
1
편집
현재 사용중인 아이피가 ACL그룹 IDC #12915에 있기 때문에 편집 권한이 부족합니다.
만료일 : 무기한
사유 : IDC(AS26496)
토론 역사
1. 개요2. 제원3. 개발4. 상세5. 형식
5.1. Mk.15.2. Mk.25.3. Mk.35.4. Mk.4
6. 파생형7. 운용국
7.1. 스웨덴7.2. 핀란드7.3. 독일7.4. 폴란드7.5. 불가리아7.6. 크로아티아7.7. 태국7.8. 알제리
8. 미디어
8.1. 게임
9. 둘러보기

1. 개요[편집]

스웨덴의 표준 대함 미사일. 1984년부터 배치되었고, 40여년간 꾸준한 개량을 받아 최신형은 300km 이상의 사거리를 자랑한다.

하푼이나 엑조세급의 베스트셀러 미사일은 아니지만 7개국에 수출이 성사되었고, 지금도 한창 판촉중인 상업적으로 꽤 성공을 거둔 미사일이다.

2. 제원[편집]

RBS 15
Robotsystem 15
RBS 15 1
종류
개발국가
개발사
사브-보포스 다이나믹스
제조사
사브-보포스 다이나믹스
딜 디펜스
제원
구분
Mk.1
Mk.2
Mk.3
Mk.4
중량
660kg (발사중량)
850kg (부스터 포함시)
650kg[1]
전장
4.35m
직경
50cm
날개폭
1.4m
최고속력
1,110km/h (마하 0.9)
최대사거리
70km
150km
200km
300km
최저고도
약 15m 이하
탄두
관통 고폭탄두 (APHE)
탄두중량
200kg
기폭방식
충돌신관
유도방식
중간단계: 관성항법/GPS 유도
종말단계: J밴드 능동 레이더 호밍
추진 기관
마이크로터보 TRI-60 터보제트 엔진
불명
마이크로터보 TRI-60-5 터보제트 엔진
불명

3. 개발[편집]

소련은 1950년대 후반부터 양산된 P-15 테르밋을 발트 함대에도 대량으로 배치했다. 이에 스웨덴 해군은 1966년 할란드급 구축함에 자국산 Rb 08 대함 미사일을 탑재하여 대응하였다.

한편, 스웨덴 해군에 대한 1958년 국방계획 검토 결과 소련과의 전쟁을 대비해 수상함 전력 전반을 미사일 고속정과 같은 소형함으로 대체해서 해안 동굴기지 등에 격납하고 히트 앤 런 전술 구사로 생존성을 높이는 반면, 구축함급 이상의 중대형함은 조달을 중단하는 것이 결의되었다.

그러나 기존 사용하던 Rb 08 미사일은 발사용 레일과 하부 미사일 격납 공간이 필요했기에 공간을 엄청나게 잡아먹어서 소형함에서는 사용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게다가, 각 미사일은 발사대에 개별적으로 장전되어야 했고 단 두 발의 미사일만 동시에 발사 레일에 적재될 수 있었다. 이에 비해 라이벌 격인 소련의 P-15는 즉시 발사할 수 있도록 갑판의 개별 컨테이너에 보관해서 Rb 08이 열세에 있었다.

그래도 해군은 1960년대 플레야드급 고속정 선수에 Rb 08 한 세트를 설치해 테스트를 해봤지만 위의 문제점들 때문에 소용이 없었다. 그러다 1980년대가 다가오고 할란드급이 퇴역하는 시기가 되자 해군은 미사일 탑재 함선이 부족했다. 스웨덴군은 간극을 메우기 위해 1978년부터 취역한 후긴급 고속정에 노르웨이제 펭귄 대함 미사일 (스웨덴 제식명 Rb 12)을 조달해 장착했다.

그러나 펭귄 미사일은 소형 미사일이어서 사거리가 상당히 짧고 탄두가 작기 때문에 스웨덴 해군 입장에서 펭귄은 빠르게 대체되어야 할 대상이었다. 하여 해군은 차기 함급인 노르셰핑급 고속정에서 운용하기 위해 미국제 하푼 미사일 구입할 것을 진지하게 검토했다.

실제로 군은 1978년 사브가 자국산 공대함 미사일인 Rb 04의 터보제트 장착형 도입을 제안하려고 했을 때 이미 군은 국방부와 참모부로부터 하푼 미사일 도입에 대한 내부적 승인을 받았던 상태였다.

하지만 중립국인 관계로 국산 무기체계 정책을 고수하던 스웨덴 정치권의 압력과 사브 측의 설득으로 군은 하푼 도입을 포기하고 사브가 제안했던 Rb 04 터보제트형을 다듬기로 한다. Rb 04 개조형의 설계는 점진적으로 개선되었으며, 그 결과 새로운 이름인 RBS 15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1979년, 스웨덴 국방물자조달청(FMV)은 RBS 15의 개발 및 양산을 위해 SBMC[2]와 협상하고, 계약을 체결했다. 사브社는 기존의 미사일을 활용해 개발하는 만큼, 비교적 짧은 개발 기간을 거친 후 1984년 6월부터 최초 양산분 미사일을 해군에 인도하기 시작했다.

4. 상세[편집]

RBS 15 내부도
RBS 15의 내부 구조도

여느 대함미사일과 마찬가지로 선두부에는 레이더 시커와 전자장비가 탑재되어 있고, 중간 부분에 200kg급 탄두부가 있다. 그 뒤로는 구동부인데, RBS 15는 프랑스의 사프란 그룹 산하 터보메카의 자회사인 마이크로터보社의 터보제트 엔진을 장착하고 있다. 그리고 미사일 동체 밑부분에 큰 공기흡입구 하나가 나있다.

추가로 함대함 및 지대함 버전에는 초기 가속 단계에서 높은 추력을 내기 위해 2개의 부스터 모터가 장착되어 있다.

5. 형식[편집]

1989년부터 운용을 개시한 사거리 70km~80km급인 첫 버전. 9GR400 J밴드 레이더 시커를 탑재했다. 이 시커는 방위각 ±30°, 고저각 ±15° 범위로 가동할 수 있으며 65~100kW 정도의 펄스 출력을 낸다. 펄스 지속 시간은 0.2~1마이크로초이고, 펄스 반복 빈도는 초당 1000~4000펄스 정도이다. 추진기관은 TRI-60 터보제트 엔진으로, 3.73kN (830lbf)의 추력을 낸다.
Mk.1을 대폭 개량한 버전. 발사 중량이 증가했고, 새 터보제트 엔진 덕에 사거리가 150km로 늘어났다. 항법 시스템이 개선되어 종말 돌입 시 90° 꺾기식의 급기동도 가능하다. 1994년에 개발 계약이 체결되었고, 1998년에 시험발사를 마쳤다.
1995년 싱가포르 IMDEX에서 대중에게 처음 공개된 Mk.3은 스텔스 특성과 기동성을 향상시킨 버전으로, 1997년부터 개발이 시작되었다.

스텔스 성능을 위해 레이더 반사면적과 적외선 검출량을 줄이고, 밀리와트 대역의 주파수 연속변조파[3] 저피탐 레이더가 장착되었다. 이 레이더는 기존의 RWR을 무력화시키기 위해 목표물에 가까워질수록 트랜스미터의 전력이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특성이 있다.

거기에 더해 4.4kN (990lbf) 추력을 내는 TRI-60-5 터보제트 엔진의 장착, 고밀도 연료인 JP-10 채택, 805kg으로 증량된 발사중량 덕에 기동성은 8G로, 사거리는 200km 이상으로 늘어났다.[4]

추가로 항법 시스템이 디지털화되어 빗나간 타겟에 대하여 재공격을 감행할 수도 있고, 새로운 고도계를 채택하여 해수면 상태에 따라 2m 고도까지 저고도 비행이 가능하게 되었다. 내장된 GPS 수신기 덕분에 지상 표적에도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스웨덴 국방물자조달청은 2017년 초에 RBS 15 Mk4 미사일 개발을 위해 사브와 3억 5,850만 달러 규모의 계약을 체결했고, 사브는 딜 디펜스와 합작으로 개발을 진행중이다.

이 버전의 미사일은 유도부에 레이더-적외선 이중 탐색기를 장착하고, 레이더의 저피탐 탐색 모드가 더 큰 스펙트럼 분산을 통해 개선될 예정이다. 만약 GPS 수신이 방해되거나 왜곡되는 경우 지형대조 항법을 통해 궤적을 수정하는 기능과. 양방향 데이터 링크도 설치될 것으로 보인다.

Mk.4는 궁니르(Gungnir)라는 별칭을 부여받고 2018년 영국 판버러 에어쇼에서 대중 앞에 처음 전시되었다.

개발국들의 계획에 따르면 비스뷔급 초계함과 바덴-뷔르템베르크급용 함대함형, 그리고 그리펜 E/F 발사용 공대함 버전이 도입될 예정이다.

6. 파생형[편집]

  • Mk.1
    • RBS 15M - 최초로 주문된 미사일 고속정용 함대함 기본형
    • RBS 15F - Mk.1에 기반을 둔 공대함 파생형. 공중에서 투하되기 때문에 미사일 양 옆의 부스터는 빠졌다. 사거리는 약 150km이다.
    • RBS 15KA - 지대함 파생형
  • Mk.2
    • RBS 15SF - Mk.2 버전의 핀란드 수출형. 핀란드군 무기 명명법에 의해 현지에선 MTO 85[5]라는 형식명이 붙었다.
  • Mk.3
    • RBS 15SF-3 - Mk.3의 핀란드 수출형. MTO 85M 이라는 제식명을 받았다.
    • RBS 15F-ER - Mk.3의 공대함 버전

7. 운용국[편집]

7.1. 스웨덴[편집]

7.2. 핀란드[편집]

  • 핀란드 해군 - 하미나급, 라우마급 탑재용과 지대함 버전 Mk.2 SF를 MTO 85라는 제식명으로 도입했고, 추후 Mk.3 지대함형도 MTO 85M이라는 제식명으로 도입했다. 총 생산발수 228발.

7.4. 폴란드[편집]

7.5. 불가리아[편집]

7.6. 크로아티아[편집]

7.8. 알제리[편집]

8. 미디어[편집]

9. 둘러보기[편집]

[ 펼치기 · 접기 ]
탑재형
기갑차량
MELLS | BGM-71D TOW-2R | HOT-(2/3)R
공대지
회전익기
HOT 3 | PARS-3LR
고정익기
AGM-65(B/D) 매버릭R
지대지
DM702 (155mm, PzH2000) | 불카노 155 (155mm, PzH2000) | {아세가이} (155mm, PzH2000)
함대지
유도로켓
지대지
GMLRS (227mm, MARS II)
공대지 (ALCM)
지대지 (GLCM)
{JFS-M}
함대함
공대함
경어뢰
중어뢰
DM2(A3/A4) 제헥트 | DM2A1 제알R | DM1 제슐랑에R
단거리
중거리
장거리
개함방공
함대방공
단거리
중장거리
유도폭탄
※ 윗첨자R: 퇴역 무장
※ {중괄호}: 도입 예정 무장
※ 아랫첨자(괄호): 포탄 구경 또는 대표 발사 플랫폼
[ 펼치기 · 접기 ]
탑재형
공대지
유도로켓
지대지
GMLRS (227mm, HIMARS)
지대지
WB 워메이트
공대지 (ALCM)
함대함
지대함
경어뢰
중어뢰
TEST-71ME | SAET-60M | Tp 617R | 53-65KER
보병
PPZR 피오룬 | PPZR 그롬
차량
피오룬 (SPZR 포프라트) | 그롬 (ZSU-23-4MP 비아와)
단거리
중거리
장거리
개함방공
단거리
중장거리
유도폭탄
※ 윗첨자R: 퇴역 무장
※ {중괄호}: 도입 예정 무장
※ 아랫첨자(괄호): 포탄 구경 및 대표 발사 플랫폼
[ 펼치기 · 접기 ]
탑재형
기갑차량
빅커스 비질런트R
공대지
고정익기
AS.11R
지대지
공대지 (ALCM)
함대함
{가브리엘 V} | RBS 15 Mk.(2/3) | P-15UR
지대함
RO 06 | MTO 85(M) | MTO 66R | RO 63R
경어뢰
{Tp 47 SLWT} | Tp 45
보병
ItO 15 | ItO 05M | ItO 86(M)R | ItO 78R
차량
ItO 05 (유니목 ASRAD)
단거리
중거리
장거리
개함방공
단거리
중장거리
유도폭탄
※ 윗첨자R: 퇴역 무장
※ {중괄호}: 도입 예정 무장
※ 아랫첨자(괄호): 포탄 구경 및 대표 발사 플랫폼
[1] 발사중량. 부스터 포함시 810kg[2] Saab-Bofors Missile Corporation, 사브-보포스 미사일 회사[3] Frequency Modulated Continous Wave, FMCW[4] 최대 사거리 추정치는 250km이라는 주장도 있다.[5] MeriTorjuntaOhjus 85: 85년식 해안방어 미사일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
이 저작물은 CC BY-NC-SA 2.0 KR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단, 라이선스가 명시된 일부 문서 및 삽화 제외)
기여하신 문서의 저작권은 각 기여자에게 있으며, 각 기여자는 기여하신 부분의 저작권을 갖습니다.

나무위키는 백과사전이 아니며 검증되지 않았거나, 편향적이거나, 잘못된 서술이 있을 수 있습니다.
나무위키는 위키위키입니다. 여러분이 직접 문서를 고칠 수 있으며, 다른 사람의 의견을 원할 경우 직접 토론을 발제할 수 있습니다.

  •  
  •  
  •  
  •  
  •  
  •  
  •  
  •  
  •  
  •  
  •  
  •  
  •  
  •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