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 BACK << -|- >> HOME <<)

NSM

최근 수정 시각:
2
편집
현재 사용중인 아이피가 ACL그룹 IDC #12915에 있기 때문에 편집 권한이 부족합니다.
만료일 : 무기한
사유 : IDC(AS26496)
토론 역사
external/quwa.or...
LimaKOngs


1. 개요2. 제원3. 상세4. 파생형
4.1. 지대함4.2. NSM-SL4.3. 헬리콥터 탑재형4.4. JSM
5. 운용국6. 기타7. 둘러보기

1. 개요[편집]

노르웨이콩스버그가 2012년 개발한 아음속 대함 미사일. 동사(同社)가 만들었던 기존의 펭귄 대함 미사일처럼 적외선 열영상 유도방식을 채택했으며, 몸체는 스텔스 형상이다.

2. 제원[편집]

Naval Strike Missile[1]
중량
410kg
길이
3.95m
탄두중량
125kg
추진체계
고체로켓 부스터 + 터보제트 엔진
유도체계
적외선 영상유도(종말단계) + 관성유도지형대조항법
사거리
185km(비행 패턴에 따라 다름)

3. 상세[편집]

NSM 대함미사일은 높은 기동성을 가지고 있는데 '파고 적응형 시스키밍' 기술은 수면의 높낮이를 따라 좀 더 저고도로 진입이 가능해 적 함선에의 피탐지거리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발사할 때에는 자동 또는 수동으로 목표물을 지정할 수 있으며, 이 조종은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할 수 있다. 종말 돌입시 자체 열영상 시커로 30km 밖에서 표적을 잡을 수 있는데, 보통 레이더로 적을 추적하는 다른 대함미사일들과는 달리 영상추적이라 RWR같은 역탐지 장비에 걸릴 위험이 없다. 탐지하려면 레이더 등의 장비로 직접 탐지해야 하는데, NSM 대함미사일의 크기가 작고 스텔스 형상을 하고 있어서 탐지 가능성이 낮다. 종말 유도시 ATR(Autonomous Target Recognition) 기술로 적외선 열영상 시커만으로도 정확하게 타겟을 판별하여 타격할 수 있으며, 무작위 경로를 택해서 적이 대응하기 힘들게 한다. 또한 미사일의 머리 부분을 양옆으로 돌아가게끔 설계하여 몸체의 기동에 상관없이 시커가 항상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만들었다.

NSM은 처음부터 북해의 혹독한 해상 기후조건 및 스칸디나비아의 복잡한 피요르드 해안에서 작전하는데에 적합하도록 설계되어, 지형추적능력이 뛰어나며 탐지/유도장치도 지상 표적을 인식할 수 있어 대함 임무는 물론 대지 임무면에서도 잠재력이 큰 것으로 알려져 있다.

탄두는 기존의 펭귄 대함 미사일과 같은 125kg 그대로 유지되어 대표적인 서방제 대함 미사일인 하푼의 절반을 조금 넘는 정도이지만, 고성능 신관과 탄두를 사용해서 탄두중량하고 관계없이 파괴력이 강하며 취약점을 공격할 수 있기에 큰 문제가 되지는 않는다. 사거리도 180km 이상으로 펭귄 대함 미사일보다 늘려서 하푼보다도 더 길어졌고 크기가 작아 소형 플랫폼에서도 여러 발 운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활용도가 높다. 가격은 BGM-109 토마호크와 비슷한 수준. 중량은 3할, 탄두중량은 20% 수준이지만 본래 유도무기의 가격은 화력이 아니라 유도성능과 기동성, 그리고 생산량에 좌우된다.

NSM의 성능은 세계적으로 매우 높은 평가를 받고 있으며, 점차 엑조세하푼에 이어 서방 표준 대함 미사일로 자리 잡고 있다.# 미국 역시 LCS[2]와 차기 프리깃컨스텔레이션급 호위함의 전용 대함 미사일로 채택하였고, 미 육군에도 HEMTT 트럭(정확히는 HEMTT 트럭의 10륜형인 PLS)에 탑재한 지대함 NSM을 도입하였다.[3]

현재 NSM의 후계 미사일로 3SM 티르빙이 개발되는 중이다.

4. 파생형[편집]

4.1. 지대함[편집]

mizokami nsm

11389532953 a3ef...

NSM의 지대함 버전은 폴란드 육군 연안 미사일 연대가 처음으로 도입하여 약 240km의 탐지거리를 가진 TRS-15M Odra 레이더와 조합해 운용하고 있다.

한편 미 육군이 2016년부터 추진하고 있는 다중 영역 전투(Multi Domain Battle)[4] 개념에 따라 인도-태평양 방면 미 육군도 도입하게 되었는데, 이는 미국 군대에 지대함 미사일이 도입된 최초의 사례이다.#

흥미로운 점은 미군이 NSM의 지대함 버전을 도입하는 데 기여한 인물 가운데 한 명이 미군 태평양사령부의 사령관이었던 해리 해리스(전임 주한미국대사) 제독이라는 것이다. 그는 2016년에 자신이 해군 제독 출신임에도 "이제 태평양에서는 육군도 적 해군을 공격할 수 있는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고 역설하여 지대함 미사일 도입에 힘을 실어주었던 것이다. 림팩 2018이 한참 진행 중이던 2018년 7월 12일에는 지상형 NSM과 일본의 12식 지대함 유도탄이 함께 발사 훈련을 하기도 했다. 해당기사

미군에 정식으로 제식화되면서 RGM-184A라는 미국식 무장 코드명을 받게되었다. 2021년에는 레이시온이 NMESIS라는 명칭으로 발사대가 무인화된 시스템을 선보였다.

수정됨 E0FVLB3XoAEz...
9e5ca6930587f23e...
2018년 일본 국제항공우주방위회에 전시된 모형

잠수함 발사형으로, 통상 어뢰발사관을 통해 발사하는 방식이다.

4.3. 헬리콥터 탑재형[편집]

nsm mh60r 00
2019년 SAS(Sea Air Space) 박람회에 전시된 모형

또한 초계 헬리콥터 탑재형 미사일도 만들어졌는데 이는 인도 해군을 위한 MH-60R용 대함미사일로 처음 채택되었다.#
315efd5c7da55050...
상세 내용 아이콘   자세한 내용은 JSM 순항 미사일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 운용국[편집]

6. 기타[편집]

  • AGM-84E SLAM만큼은 아니지만 웃는 외형으로 인해 웃는 미사일이라고 불린 적이 있다.
  • 2022년, 노르웨이 정부는 K-2 흑표 전차 구매에 대한 절충교역으로 대한민국군이 NSM 혹은 JSM을 도입할 것을 희망하고 있다. 아닌게 아니라, 위 도입국들을 보면, 한국제 무기를 도입한 국가들이 여럿 존재한다. 차라리 이들과 연대하고, 노르웨이 역시 FA-50을 도입하거나 훈련을 폴란드에서 하고, FA-50이 NSM이나 JSM을 장착하는 패키지 방향도 성사할 가능성도 점칠 수 있다. 방위사업청도 군에 JSM 등의 수요를 조사할 것을 요청했다.
    그러나 노르웨이가 K-2 대신 레오파르트 2A7을 선택하면서 NSM/JSM 도입은 없던 일이 되었다.

7. 둘러보기[편집]

[ 펼치기 · 접기 ]
탑재형
기갑차량
MELLS | BGM-71D TOW-2R | HOT-(2/3)R
공대지
회전익기
HOT 3 | PARS-3LR
고정익기
AGM-65(B/D) 매버릭R
지대지
DM702 (155mm, PzH2000) | 불카노 155 (155mm, PzH2000) | {아세가이} (155mm, PzH2000)
함대지
유도로켓
지대지
GMLRS (227mm, MARS II)
공대지 (ALCM)
지대지 (GLCM)
{JFS-M}
함대함
공대함
경어뢰
중어뢰
DM2(A3/A4) 제헥트 | DM2A1 제알R | DM1 제슐랑에R
단거리
중거리
장거리
개함방공
함대방공
단거리
중장거리
유도폭탄
※ 윗첨자R: 퇴역 무장
※ {중괄호}: 도입 예정 무장
※ 아랫첨자(괄호): 포탄 구경 또는 대표 발사 플랫폼
[ 펼치기 · 접기 ]
탑재형
공대지
유도로켓
지대지
GMLRS (227mm, HIMARS)
지대지
WB 워메이트
공대지 (ALCM)
함대함
지대함
경어뢰
중어뢰
TEST-71ME | SAET-60M | Tp 617R | 53-65KER
보병
PPZR 피오룬 | PPZR 그롬
차량
피오룬 (SPZR 포프라트) | 그롬 (ZSU-23-4MP 비아와)
단거리
중거리
장거리
개함방공
단거리
중장거리
유도폭탄
※ 윗첨자R: 퇴역 무장
※ {중괄호}: 도입 예정 무장
※ 아랫첨자(괄호): 포탄 구경 및 대표 발사 플랫폼
[ 펼치기 · 접기 ]
루마니아군 (1991~현재)
Forțele Armate Române
탑재형
공대지
회전익기
스파이크-ER
고정익기
AGM-65K 매버릭 | Kh-23R
함대함
지대함
경어뢰
중어뢰
TEST-71 | 53-65K
단거리
중거리
장거리
CIWS
단거리
중장거리
유도폭탄
GBU-38 JDAM | GBU-12 페이브웨이 II | IAI 그리핀 | 엘빗 오퍼(Opher) | MAM-L
※ 윗첨자R: 퇴역 무장
※ {중괄호}: 도입 예정 무장
※ 아랫첨자(괄호): 포탄 구경 및 대표 발사 플랫폼
[1] Nytt sjømålsmissil[2] 함선과 동시에 개발하던 신형 다목적 미사일이 실패하는 바람에 마땅한 장거리 대함전력이 없던 LCS였고, 헬파이어 개량형 같은 걸 쓰자니 사거리가 너무 짧았다. 이러니 높은 스텔스 성능과 더불어 낮은 피탐지 성능을 자랑하는 NSM이 곁들여져 드디어 어느 정도 제 역할을 할 수 있게 되었다며 미 해군에서 굉장히 만족해하였다.[3] 바이 아메리칸 법에 따라 레이시온에서 라이선스 생산된다.[4] 중국의 반접근 전력으로 인해 미국의 해-공군 전력이 태평양에 순조롭게 투입되지 못할 경우를 대비하여, 이 지역에 배치된 미 육군 및 미 해병대 전력만으로도 중국의 강화된 해-공군력을 견제, 대응할 수 있는 전력을 확보, 운용하는 것을 골자로 한다. 말하자면 중국에 대한 '역 반접근' 전략인 셈.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
이 저작물은 CC BY-NC-SA 2.0 KR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단, 라이선스가 명시된 일부 문서 및 삽화 제외)
기여하신 문서의 저작권은 각 기여자에게 있으며, 각 기여자는 기여하신 부분의 저작권을 갖습니다.

나무위키는 백과사전이 아니며 검증되지 않았거나, 편향적이거나, 잘못된 서술이 있을 수 있습니다.
나무위키는 위키위키입니다. 여러분이 직접 문서를 고칠 수 있으며, 다른 사람의 의견을 원할 경우 직접 토론을 발제할 수 있습니다.

  •  
  •  
  •  
  •  
  •  
  •  
  •  
  •  
  •  
  •  
  •  
  •  
  •  
  •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