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 BACK << -|- >> HOME <<)

기본군

최근 수정 시각:
2
편집
현재 사용중인 아이피가 ACL그룹 IDC #12915에 있기 때문에 편집 권한이 부족합니다.
만료일 : 무기한
사유 : IDC(AS26496)
토론 역사
[ 펼치기 · 접기 ]
이론
기본 대상
다루는 대상과 주요 토픽
대수적 구조
정리·추측
관련 하위 분야
대수 위상수학
기타 및 관련 문서
[ 펼치기 · 접기 ]
평면기하학에 대한 내용은 틀:평면기하학 참고.
기본 대상
공리
도형
기본 도형
기타
다루는 대상과 주요 토픽
위상도형
주요 성질·정리
기타
정리·추측
분야

1. 개요2. 정의3. 성질4. 기본군의 계산
4.1. 기본군이 자명군인 경우4.2. 기본군이 자명군이 아닌 경우
5. 관련 정리들

1. 개요[편집]

/ Fundamental group

기본군위상공간의 대수적 구조로, 공간에 존재하는 모든 회로들의 집합에 연속변형 동치류를 준 뒤 의 구조를 부여한 것이다. 1895년 앙리 푸앵카레가 도입한 개념이기 때문에 푸앵카레 군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2. 정의[편집]

기본군을 정의하기 전에, 먼저 필요한 개념들을 정리하자. 아래에서 XX는 모두 고정된 위상공간이다.

XX의 두 경로 f,g:IXf, g: I \to X가 주어져 있을 때, 만일 ff의 끝점과 gg의 시작점이 일치한다면[1] 두 경로를 이어서 하나의 경로를 만들 수 있을 것이다. 이를 두 경로의 곱(product)이라고 부르며,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h(t)={f(2t),if 0t12g(2t1),if 12t1h(t) = \begin{cases} f(2t), & \textsf{if }0 \le t \le \dfrac 12 \\ g(2t - 1), & \textsf{if }\dfrac 12 \le t \le 1 \end{cases}

붙임 보조정리를 사용하면 h:IXh: I \to X가 연속인 것은 쉽게 알 수 있고, 따라서 hhXX의 경로가 된다. 두 경로의 곱 hhfgf \cdot g라 표기하기도 한다.

또한 x0Xx_0 \in X에 대하여, 항상 f(t)=x0f(t) = x_0인 함수를 생각할 수도 있다. 이 함수가 연속임은 자명하고, 이는 시작점과 끝점이 같으므로 회로가 된다. 이 회로 f:IXf: I \to X에는 자명 회로(trivial loop)라는 이름이 있으며, 시작점이 x0Xx_0 \in X인 자명 회로를 cx0c_{x_0}라 표시하기도 한다. 마지막으로 경로 f:IXf: I \to X가 있다고 할 때, 이 경로를 역방향으로 따라가는 것 또한 경로가 될 것이다. 이를 역경로(inverse path)라고 하며, g(t)=f(1t)g(t) = f(1 - t)로 정의한다. 이 g:IXg: I \to X가 연속함수(즉, 경로)인 것은 당연하다.

이제 기본군을 정의할 준비가 다 되었다. 군에는 연산이 필요한데, 위에서 정의한 회로의 곱을 그 연산으로 하려고 한다. 그런데 단순히 두 경로의 곱을 연산으로 놓으면, 군의 구조는 커녕 항등원에 해당하는 원소도 존재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그래서 경로보다는 조금 더 좁은 범위인 회로로 생각을 제한하고, 거기에서도 적절한 동치관계를 부여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연속변형류에 관한 이해가 필요하다.
[ 정의 ] 기본군(Fundamental group)

주어진 경로연결 위상공간 XX와 한 점 x0Xx_0 \in X에 대하여, 시작점과 끝점이 모두 x0x_0회로의 집합 F\mathcal F를 생각하고 여기에 연속변형 동치관계 \sim 를 주자. 이제 상집합 F/\mathcal F / \sim 에 다음과 같은 연산  \ \cdot \ 을 정의할 수 있다.
  • [f][g]=[fg]F/[f] \cdot [g] = [f \cdot g] \in \mathcal F / \sim.
위와 같은 연산이 정의된 (F/,  )(\mathcal F / \sim, \ \cdot \ )의 구조를 이룬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이를 위상공간 XX기본군(Fundamental group)라고 하며 기호로는 π1(X,x0)\pi_1(X, x_0)라고 표시한다.
이렇게 정의된 π1(X,x0)\pi_1(X, x_0)이 실제로 군의 구조를 갖는지 확인해 보자. [f],[g],[h]π1(X,x0)[f], [g], [h] \in \pi_1(X, x_0)를 고정하고, 자명 회로 cx0c_{x_0}와 역회로 fˉ\bar f를 생각하자. 이 자명 회로와 역회로는 각각 연산   \ \cdot \ 항등원, 역원이 될 예정이다.
  • 결합 법칙(Associativity): ([f][g])[h]=[f]([g][h])([f] \cdot [g]) \cdot [h] = [f] \cdot ([g] \cdot [h])가 성립.
    이를 보이기 위해서는 연속변형 H:I×IXH: I \times I \to X를 다음과 같이 정의하면 충분하다. 여기서 t1,t2t_1, t_2는 각각 t1=14+14t,t2=12+14tt_1 = \dfrac 14 + \dfrac 14 t, t_2 = \dfrac 12 + \dfrac 14 t로 정의된 값이다.

    H(s,t)={f(st1),if 0st1g(4(st1)),if t1st2h(st21t2),if t2s1H(s, t) = \begin{cases} f \left( \dfrac s{t_1} \right), & \textsf{if }0 \le s \le t_1 \\ g \left(4 \cdot (s - t_1) \right), & \textsf{if }t_1 \le s \le t_2 \\ h \left( \dfrac {s - t_2}{1 - t_2} \right), & \textsf{if }t_2 \le s \le 1 \end{cases}
  • 항등원의 존재(existence of idnetity): [f][cx0]=[f]=[cx0][f][f] \cdot [c_{x_0}] = [f] = [c_{x_0}] \cdot [f]가 성립.
    첫 번째 등식을 보이기 위해서는 연속변형 H:I×IXH: I \times I \to X를 다음과 같이 정의하면 충분하다.[2] 여기서 t1t_1t1=1212tt_1 = \dfrac 12 - \dfrac 12 t로 정의된 값이다.

    H(s,t)={x0,if 0st1f(st11t1),if t1s1H(s, t) = \begin{cases} x_0, & \textsf{if }0 \le s \le t_1 \\ f \left( \dfrac {s - t_1}{1 - t_1} \right), & \textsf{if }t_1 \le s \le 1 \end{cases}
  • 역원의 존재(existence of inverse): [f][fˉ]=[cx0]=[fˉ][f][f] \cdot [\bar f] = [c_{x_0}] = [\bar f] \cdot [f]가 성립.
    첫 번째 등식을 보이기 위해서는 연속변형 H:I×IXH: I \times I \to X를 다음과 같이 정의하면 충분하다.[3] 여기서 t1,t2t_1, t_2는 각각 t1=1212t,t2=12+12tt_1 = \dfrac 12 - \dfrac 12 t, t_2 = \dfrac 12 + \dfrac 12 t로 정의된 값이다.

    H(s,t)={x0,if 0st1f(st1),if t1s12f(t2s),if 12st2x0,if t2s1H(s, t) = \begin{cases} x_0, & \textsf{if }0 \le s \le t_1 \\ f(s - t_1), & \textsf{if }t_1 \le s \le \dfrac 12 \\ f(t_2 - s), & \textsf{if }\dfrac 12 \le s \le t_2 \\ x_0, & \textsf{if }t_2 \le s \le 1 \end{cases}

즉, 위 사실들을 종합하면 π1(X,x0)\pi_1(X, x_0)는 해당 연산에 대한 군의 구조를 가진다.

3. 성질[편집]

기본군의 정의를 생각해 보면, 기본군은 위상공간 XX뿐만 아니라 기준점이 될 x0Xx_0 \in X에도 의존함을 알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단순히 π1(X)\pi_1(X)가 아닌 π1(X,x0)\pi_1(X, x_0)의 표현을 써야 하는데, 이는 상당히 거추장스럽다. 다행스럽게도, 다음 명제에 의해 경로연결공간 한정으로 이를 무시할 수가 있다.
[ 명제 ] 주어진 경로연결 위상공간 XX와 두 점 x0,x1Xx_0, x_1 \in X을 생각하자. XX가 경로연결이므로, 적당한 경로 h:IXh: I \to X에 가 존재하여 h(0)=x0h(0) = x_0, h(1)=x1h(1) = x_1이 성립한다. 이제 시작점을 x1x_1로 하는 회로 ff에 대해 경로의 곱 hfhˉh \cdot f \cdot \bar h를 생각할 수 있고, 이는 시작점이 x0x_0인 회로가 된다. 즉, 다음과 같은 함수 βh:π1(X,x1)π1(X,x0)\beta_h: \pi_1(X, x_1) \to \pi_1(X, x_0)를 생각할 수 있다.

βh([f])=[hfhˉ]\beta_h([f]) = [h \cdot f \cdot \bar h]

이 때, βh\beta_h는 두 기본군 π1(X,x1)\pi_1(X, x_1), π1(X,x0)\pi_1(X, x_0)사이의 동형사상이다.

[ 증명 ]
  • βh\beta_h는 두 군 π1(X,x1)\pi_1(X, x_1), π1(X,x0)\pi_1(X, x_0)사이의 준동형사상이다.
    실제로, [f],[g]π1(X,x1)[f], [g] \in \pi_1(X, x_1)일 때,

    βh([f][g])=[h(fg)hˉ]=[hf(hˉh)ghˉ]=[hfhˉ][hghˉ]=βh([f])βh([g])\begin{aligned} \beta_h([f] \cdot [g]) & = [h \cdot (f \cdot g) \cdot \bar h] \\ & = [h \cdot f \cdot (\bar h \cdot h) \cdot g \cdot \bar h] \\ & = [h \cdot f \cdot \bar h] \cdot [h \cdot g \cdot \bar h] \\ & = \beta_h([f]) \cdot \beta_h([g]) \end{aligned}​

    이므로 βh:π1(X,x1)π1(X,x0)\beta_h: \pi_1(X, x_1) \to \pi_1(X, x_0)는 준동형사상이 된다.

  • βh\beta_h는 전사함수이다.
    임의의 [f]π1(X,x0)[f] \in \pi_1(X, x_0)에 대하여, [hˉfh]π1(X,x1)[\bar h \cdot f \cdot h] \in \pi_1(X, x_1)이고

    βh([hˉfh])=[h(hˉfh)hˉ]=[(hhˉ)f(hhˉ)]=[f]\begin{aligned} \beta_h([\bar h \cdot f \cdot h]) & = [h \cdot (\bar h \cdot f \cdot h) \cdot \bar h] \\ & = [(h \cdot \bar h) \cdot f \cdot (h \cdot \bar h) ] \\ & = [f] \end{aligned}​

    이므로 βh:π1(X,x1)π1(X,x0)\beta_h: \pi_1(X, x_1) \to \pi_1(X, x_0)는 전사함수이다.

  • βh\beta_h는 단사함수이다.
    [f],[g]π1(X,x0)[f], [g] \in \pi_1(X, x_0)βh([f])=βh([g])\beta_h([f]) = \beta_h([g])를 만족한다면 [hfhˉ]=[hghˉ][h \cdot f \cdot \bar h] = [h \cdot g \cdot \bar h]이고,

    [f]=[(hˉh)f(hˉh)]=[hˉ(hfhˉ)h]=[hˉ(hghˉ)h]=[(hˉh)g(hˉh)]=[g]\begin{aligned} [f] & = [(\bar h \cdot h) \cdot f \cdot (\bar h \cdot h) ] \\ & = [\bar h \cdot (h \cdot f \cdot \bar h) \cdot h] \\ & = [\bar h \cdot (h \cdot g \cdot \bar h) \cdot h] \\ & = [(\bar h \cdot h) \cdot g \cdot (\bar h \cdot h) ] = [g] \end{aligned}​

    이므로 βh:π1(X,x1)π1(X,x0)\beta_h: \pi_1(X, x_1) \to \pi_1(X, x_0)는 단사함수가 된다.□
이 명제로부터, 경로연결 위상공간 XX의 기본군은 시작점을 정하지 않아도 up to isomorphism 유일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굳이 기본군의 시작점을 표시할 필요가 없거나, 언급하지 않아도 당연한 경우 π1(X,x0)\pi_1(X, x_0)대신 π1(X)\pi_1(X)의 표현도 사용한다.

한편 회로 자체가 연속함수이므로, 연속함수와 회로의 합성을 떠올리는 것은 자연스럽다. 그런데 이 연속함수는 (그 자연스러운 합성에 의해) 기본군에 작용하는데, 다음 정의는 그 작용이 기본군 사이의 준동형사상(homomorphism)이 됨을 알려준다.
[ 정의 ] 유도 준동형사상(Induced homomorphism)

두 위상공간 XX, YY 사이에 정의된 연속함수이면서, y0=φ(x0)y_0 = \varphi(x_0)φ:(X,x0)(Y,y0)\varphi: (X, x_0) \to (Y, y_0)를 생각하자. 이 φ\varphi로부터 기본군 사이의 준동형사상 φ:π1(X,x0)π1(Y,y0)\varphi_*: \pi_1(X, x_0) \to \pi_1(Y, y_0)가 다음과 같이 자연스럽게 유도된다.

φ([f])=[φf]=[φf]\varphi_*([f]​) = [\varphi \circ f] = [\varphi f]

φ\varphi_*를 두 기본군 π1(X,x0)\pi_1(X, x_0), π1(Y,y0)\pi_1(Y, y_0)사이의 유도 준동형사상(Induced homomorphism)이라고 정의한다.
우선 우리가 정의한 사상 φ\varphi_*의 Well-definedness를 확인해 주어야 한다.
  • f:IXf: I \to Xf(0)=f(1)=x0f(0) = f(1) = x_0인 회로라면, φf:IY\varphi f: I \to Y 역시 회로로서 φf(0)=φf(1)=y0\varphi f(0) = \varphi f(1) = y_0이 성립함은 거의 당연하다.
  • [f]=[g][f] = [g]이면 두 회로 ffgg사이의 연속변형 Ht:IXH_t: I \to X이 존재함을 의미한다. 이 때 φHt:IY\varphi H_t: I \to YYY의 두 회로 φf\varphi fφg\varphi g사이의 연속변형이므로, [φf]=[φg][\varphi f] = [\varphi g].

이렇게 φ\varphi_*가 잘 정의됨을 확인했고, f1,f2:IXf_1, f_2: I \to XXX의 두 회로라면

φ([f1][f2])=[φ(f1f2)]=[φf1φf2]=[φf1][φf2]=φ([f1])φ([f2])\begin{aligned} \varphi_*([f_1] \cdot [f_2]​) & = [\varphi (f_1 \cdot f_2) ] \\ & = [\varphi f_1 \cdot \varphi f_2] \\ & = [\varphi f_1] \cdot [\varphi f_2] \\ & = \varphi_*([f_1]) \cdot \varphi_*([f_2]​) \end{aligned}​

이므로 φ\varphi_*가 준동형사상임을 확인할 수 있다.
[ 명제 ] (X,x0)ψ(Y,y0)φ(Z,z0)(X, x_0) \xrightarrow{\psi}​ (Y, y_0) \xrightarrow{\varphi}​ (Z, z_0)일 때,
  • π1(X,x0)ψπ1(Y,y0)φπ1(Z,z0)\pi_1(X, x_0) \xrightarrow{\psi_*}​ \pi_1(Y, y_0) \xrightarrow{\varphi_*}​ \pi_1(Z, z_0)로서 (φψ)=φψ(\varphi \psi)_* = \varphi_* \psi_*.
  • (idX)=idπ1(X,x0)(\text{id}_X)_* = \text{id}_{\pi_1(X, x_0)}.

[ 증명 ]
두 명제 모두 정의로부터 바로 도출된다. 그래도 적어보자면,

[(φψ)f]=[φ(ψf)][(\varphi \psi )f]​ = [\varphi (\psi f) ]

으로부터 첫 번째 명제가,

[idXf]=[f]=idπ1(X,x0)([f])[\text{id}_X f]​ = [f] = \text{id}_{\pi_1(X, x_0)}([f])

에서 두 번째 명제가 증명된다.□

4. 기본군의 계산[편집]

4.1. 기본군이 자명군[4]인 경우[편집]

[ 정의 ] 단순연결공간(Simply connected space)

경로연결 위상공간 XXπ1(X)0\pi_1(X) \cong 0[5]을 만족할 때, XX단순연결공간(Simply connected space)라고 한다.
[ 명제 ] 유클리드 공간 Rn\mathbb R^n에 매장(Embedding)된 볼록공간 XX와, 임의의 점 x0Xx_0 \in X에 대하여 π1(X,x0)0\pi_1(X, x_0) \cong 0이다.

[ 증명 ]
임의의 회로 f:IXf: I \to X에 대하여, ff와 자명 회로 cx0c_{x_0} 사이의 연속변형 H:I×IXH: I \times I \to X를 다음과 같이 정의하자.

H(s,t)=(1t)f(s)+tx0H(s, t) = (1 - t)f(s) + tx_0

공간 XX가 볼록공간이므로, 위 연속변형은 잘 정의된다. 따라서 임의의 동치류 [f][f]는 항등원 [cx0][c_{x_0}]와 같고, 이는 π1(X,x0)={[cx0]}0\pi_1(X, x_0) = \left\{ [c_{x_0}] \right\} \cong 0임을 설명한다.□
[ 명제 ] n3n \geq 3일 때, nn차원 구

Sn1={(x1,x2,xn)Rn  i=1nxi2=1}S^{n - 1} = \left\{ (x_1, x_2, \cdots x_n) \in \mathbb R^n \ \biggl| \biggr. \ \displaystyle \sum _{i = 1}^n x_i ^2 = 1 \right\}

에 대하여 π1(Sn1)0\pi_1(S^{n - 1}) \cong 0이다.

[ 증명 ]
f:ISn1f: I \to S^{n - 1}을 시작점이 x0x_0Sn1S^{n - 1}의 회로라고 하자. 본 증명의 목표는 항상 [f]=[cx0][f] = [c_{x_0}]가 성립함을 보이는 것이다.
  • ff가 함수로서 전사함수가 아니라면, xf(I)x \notin f(I)xSn1x \in S^{n - 1}를 택할 수 있다. 그런데

    Sn1{x}Rn1S^{n - 1} - \{ x \} \approx \mathbb R^{n - 1}

    이고, 유클리드 공간 Rn1\mathbb R^{n - 1}은 단순연결공간이므로 [f]=[cx0][f] = [c_{x_0}]이다.

  • 이제 ff가 전사함수라고 가정하자. x0xx_0 \neq xxSn1x \in S^{n - 1}xx의 열린근방 B=B(x,δ)Sn1B = B(x, \delta) \subset S^{n - 1}을 생각하자.[6] ff가 연속이므로, f1(B)If^{-1}(B) \subset I 역시 열린집합이며 이는 서로소인 가산개의 구간 {(ai,bi)}iN\left\{(a_i, b_i)\right\}_{i \in \mathbb N}의 합집합으로 표현된다.

이번에는 집합 f1(x)f^{-1}(x)를 생각하는데, ff가 연속이므로 f1(x)If^{-1}(x) \subset I는 닫힌집합이다. 하이네-보렐 정리에 의해 실수 집합 R\mathbb R의 유계닫힌집합 f1(x)f^{-1}(x)옹골집합임을 알 수 있다. 그런데 {(ai,bi)}iN\left\{(a_i, b_i)\right\}_{i \in \mathbb N}f1(x)f^{-1}(x)의 열린덮개가 되므로, 유한 부분덮개 {(ai,bi)}1ik\left\{(a_i, b_i)\right\}_{1 \leq i \leq k}가 존재함을 안다.

함수 ff를 구간 [ai,bi][a_i, b_i]에 한정시키면, 상 f([ai,bi])f([a_i, b_i])는 열린 공 B=B(x,δ)B = B(x, \delta)의 폐포 Bˉ=Bˉ(x,δ)\bar B = \bar B(x, \delta)의 부분집합이 된다. 이 때, f(ai),f(bi)Bˉf(a_i), f(b_i) \in \partial \bar B. δ>0\delta > 0을 충분히 작게 잡았으므로, BˉSn1\bar B \cap S^{n - 1}이 단순연결공간이라 가정할 수 있고, 따라서 Bˉ\bar B의 경로 f[ai,bi]f \rvert_{[a_i, b_i]}를 적절히 Bˉ\partial \bar B의 경로 gi:[ai,bi]Bˉg_i: [a_i, b_i] \to \partial \bar B로 연속변형 시킬 수 있다.

이 연속변형을 Hˉi:[ai,bi]×IBˉ\bar H_i: [a_i, b_i] \times I \to \bar B라 할 때, 함수 Hi:I×ISn1H_i: I \times I \to S^{n - 1}

Hi(s,t)={f(s),if s[ai,bi]Hˉi(s,t),if s[ai,bi]H_i(s, t) = \begin{cases} f(s), & \textsf{if }s \notin [a_i, b_i] \\ \bar H_i(s, t), & \textsf{if }s \in [a_i, b_i] \end{cases}

로 정의하면 이 역시 연속변형이 된다. 모든 1ik1 \leq i \leq k에 대해 연속변형 HiH_i를 합성한 연속변형 H:I×ISn1H: I \times I \to S^{n - 1}을 생각할 수 있다. h:ISn1h: I \to S^{n - 1}h(s)=H(s,1)h(s) = H(s, 1)로 정의하면, 정의에 의해 [f]=[h][f] = [h]이고

h(1ik[ai,bi])Bˉh \left( \displaystyle \bigcup_{1 \leq i \leq k} [a_i, b_i] \right) \subset \partial \bar B
h(s)=f(s)   s1ik[ai,bi]h(s) = f(s) \ \ \ \forall s \notin \displaystyle \bigcup_{1 \leq i \leq k} [a_i, b_i]

를 얻는다. xBˉx \notin \partial \bar B이고 f1(x)1ik[ai,bi]f^{-1}(x) \subset \displaystyle \bigcup_{1 \leq i \leq k} [a_i, b_i]이므로, h(s)=xh(s) = xsIs \in I가 존재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즉 h:ISn1h: I \to S^{n - 1}은 전사함수가 아니며, 위에서 보인 바와 같이 [h]=[cx0][h] = [c_{x_0}]이 된다.   [f]=[h]=[cx0]\ \ \therefore [f] = [h] = [c_{x_0}].□

4.2. 기본군이 자명군이 아닌 경우[편집]

[ 명제 ] 2차원 평면 R2\mathbb R^2위의 단위원 S1={(x,y)  x2+y2=1}S^1 = \{ (x, y) \ | \ x^2 + y^2 = 1 \}을 생각하자. 이 때 π1(X,(1,0))(Z,+)\pi_1(X, (1, 0)) \cong (\mathbb Z, +)이며, 두 군 사이의 동형사상 ϕ:π1(X)Z\phi: \pi_1(X) \to \mathbb Z는 다음과 같다.

ϕ([ωn])=n\phi([\omega_n]) = n

여기서 회로 ωn:IS1\omega_n: I \to S^1

ωn(t)=(cos2nπt,sin2nπt)\omega_n(t) = (\cos 2n\pi t, \sin 2n\pi t)[7]

이다.
이 사실과 자이페르트-반 캠펀 정리를 이용하면, 기초 대수적 위상수학에서 접할 수 있는 거의 모든 대상의 기본군들을 계산해 낼 수 있다.

5. 관련 정리들[편집]

[ 명제 ]
  • AAXX수축이면, 포함함수 ı:AX\imath: A \xhookrightarrow{} X로부터 유도된 준동형사상 ı:π1(A)π1(X)\imath_*: \pi_1(A) \to \pi_1(X)는 단사함수이다.
  • 만약 AAXX변형수축이라면, ı\imath_*는 동형사상이다.

[ 증명 ]
  • r:XAr: X \to A가 수축이라면, rı=idr \imath = \text{id}이므로 rı=idr_* \imath_* = \text{id}. 따라서 ı\imath_*는 단사 동형사상이다.
  • rt:XXr_t: X \to X가 변형수축이라고 하자. XX의 임의의 회로 ff는 연속변형 rtf:XXr_tf: X \to X에 의해 AA의 회로 r1fr_1f로 옮겨지므로,

    [f]=[r0f]=[r1f]=ı([r1f])[f] = [r_0f] = [r_1f] = \imath_*([r_1f]).

    따라서 ı\imath_*는 전사 동형사상이다.□
즉, 서로 변형수축 관계인 두 공간은 동형인 기본군을 가진다. 이는 기본군의 계산에 상당히 요긴하게 사용되는 명제이며, 역으로 이 명제를 이용해 수축/변형수축이 존재하지 않음을 보일 수도 있다.
[ 명제 ] φ:XY\varphi: X \to Y연속변형 동치이면, 이 φ\varphi로부터 유도된 준동형사상 φ:π1(X,x0)π1(Y,φ(x0))\varphi_*: \pi_1(X, x_0) \to \pi_1(Y, \varphi(x_0))는 동형사상이다.
[ 정리 ] 자이페르트-반 캠펀 정리(Seifert-van Kampen theorem)

위상공간 XX와 점 x0Xx_0 \in X가 주어져 있고, XX의 부분공간 {Aα}αI\left\{ A_\alpha \right\}_{\alpha \in I}들이 X=αIAαX = \displaystyle \bigcup _{\alpha \in I} A_\alpha를 만족한다고 하자. 이 때, 포함함수 ıα:AαX\imath_\alpha: A_\alpha \xhookrightarrow{} X로부터 유도되는 준동형사상 ıα:π1(Aα)π1(Xα)\imath_{\alpha *}: \pi_1(A_\alpha) \to \pi_1(X_\alpha)을 생각할 수 있다. 자유군보편 성질에 의해, 다음을 만족하는 준동형사상 Φ:αIπ1(Aα)π1(X)\Phi: {\large *}_{\alpha \in I} \pi_1(A_\alpha) \to \pi_1(X)유일하게 존재한다.

Φ([f])=ıα([f])   αI,[f]π1(Aα)\Phi([f]) = \imath_{\alpha *}([f]) \ \ \ \forall \alpha \in I, \forall [f] \in \pi_1(A_\alpha)

이제 {Aα}αI\left\{ A_\alpha \right\}_{\alpha \in I}가 다음 조건들을 만족한다면, 위 준동형사상 Φ\Phi전사함수이다.
  • 임의의 αI\alpha \in I에 대하여, AαA_\alpha는 점 x0x_0를 포함하는 경로연결 열린공간.
  • 임의의 α,βI\alpha, \beta \in I에 대하여, AαAβA_\alpha \cap A_\beta는 경로연결공간.

추가로, 다음 조건이 주어져 있는 경우를 생각할 수 있다.
  • 임의의 α,β,γI\alpha, \beta, \gamma \in I에 대하여, AαAβAγA_\alpha \cap A_\beta \cap A_\gamma는 경로연결공간.
여기서 포함함수 AαAβAαA_\alpha \cap A_\beta \xhookrightarrow{} A_\alpha에 의해 유도되는 준동형사상을 ıαβ:π1(AαAβ)π1(Aα)\imath_{\alpha \beta}: \pi_1(A_\alpha \cap A_\beta) \to \pi_1(A_\alpha)라 놓자. 이 때 준동형사상 Φ\Phi의 핵 N=ker ΦN = \text{ker } \Phi은 자유군 αIπ1(Aα){\large *}_{\alpha \in I} \pi_1(A_\alpha)

ıαβ(ω)ıβα(ω)1   ωπ1(AαAβ)\imath_{\alpha \beta}(\omega)\imath_{\beta \alpha}(\omega)^{-1} \ \ \ \forall \omega \in \pi_1(A_\alpha \cap A_\beta)

와 같은 단어(word)들로 생성되는 정규부분군이다. 즉,

π1(X)αIπ1(Aα)/ıαβ(ω)ıβα(ω)1\pi_1(X) \cong {\large *}_{\alpha \in I} \pi_1(A_\alpha) \Bigl/ \Bigr. \left\langle \imath_{\alpha \beta}(\omega)\imath_{\beta \alpha}(\omega)^{-1} \right\rangle

이 성립한다.(제1 동형사상 정리.)
사실, 위 함수들의 구성에 의해 ıαıαβıβıβα\imath_{\alpha *} \circ \imath_{\alpha \beta} \equiv \imath_{\beta *} \circ \imath_{\beta \alpha}임을 알 수 있고 이는 포함함수 AαAβXA_\alpha \cap A_\beta \xhookrightarrow{} X로부터 유도된다. 그렇기 때문에, 각 원소 ωπ1(AαAβ)\omega \in \pi_1(A_\alpha \cap A_\beta)에 대하여 단어 ıαβ(ω)ıβα(ω)1\imath_{\alpha \beta}(\omega)\imath_{\beta \alpha}(\omega)^{-1}π1(X)\pi_1(X)의 자명한 원소를 가리켜야 하고 이로부터 핵 N=ker ΦN = \text{ker } \Phi은 군 ıαβ(ω)ıβα(ω)1\left\langle \imath_{\alpha \beta}(\omega)\imath_{\beta \alpha}(\omega)^{-1} \right\rangle을 포함해야 한다. 자이페르트-반 캠펀 정리는 정확히 이 군과 핵 NN이 같음을 주장하고 있다. 이 정리를 이용하면 굉장히 많은 종류의 공간들의 기본군을 간단히 계산해 낼 수 있다!

아래 정리들은 따름정리들이다.
[ 따름정리 ] 위상공간 XX와 점 x0Xx_0 \in X가 주어져 있고, XX의 부분공간 {Aα}αI\left\{ A_\alpha \right\}_{\alpha \in I}들이 다음 조건들을 만족한다고 하자.
  • X=αIAαX = \displaystyle \bigcup _{\alpha \in I} A_\alpha.
  • 임의의 αI\alpha \in I에 대하여, AαA_\alpha는 점 x0x_0를 포함하는 경로연결 열린공간.
  • 임의의 α,βI\alpha, \beta \in I에 대하여, AαAβA_\alpha \cap A_\beta단순연결공간.
  • 임의의 α,β,γI\alpha, \beta, \gamma \in I에 대하여, AαAβAγA_\alpha \cap A_\beta \cap A_\gamma는 경로연결공간.
이 때, 기본군 π1(X)\pi_1(X)π1(Aα)\pi_1(A_\alpha) 사이에

π1(X)αIπ1(Aα)\pi_1(X) \cong {\large *}_{\alpha \in I} \pi_1(A_\alpha)

이 성립한다.
자이페르트-반 캠펀 정리의 자명한 응용. AαAβA_\alpha \cap A_\beta의 단순연결성에 의해, 해당 정리에 나오는 핵 NN을 구성하는 모든 단어들은 자명한 단어 뿐이다. 즉 N0N \cong 0이므로 결론이 바로 얻어진다.
[ 따름정리 ] 경로연결공간 XX과 2-세포(2-cell) eα2(αI)e_\alpha^2 (\alpha \in I)들이 주어져 있을 때, 이 2-세포들을 부착사상(Attaching map) φα:S1X\varphi_\alpha: S^1 \to X를 이용하여 붙인 위상공간을 YY라 하자. 이제 이 2-세포들이 붙어있는 경계 φα(S1)\varphi_\alpha (S^1)XX의 회로로 볼 수 있다. 한편 XX가 경로연결공간이므로 x0x_0φα(S1)\varphi_\alpha (S^1)의 시점 xαx_\alpha를 잇는 경로 γα\gamma_\alpha가 존재한다. 이 때 ξα=γαφα(S1)γˉα\xi_\alpha = \gamma_\alpha \cdot \varphi_\alpha (S^1) \cdot \bar \gamma_\alpha는 시작점이 x0x_0XX의 회로이다.

여기서, 기본군 π1(Y)\pi_1(Y)π1(X)\pi_1(X) 사이에

π1(Y,x0)π1(X,x0)/ξα  αI\pi_1(Y, x_0) \cong \pi_1(X, x_0) \bigl/ \bigr. \left\langle \xi_\alpha \ \rvert \ \alpha \in I \right\rangle

가 성립한다.
[ 따름정리 ] 위 따름정리에서 2-세포 대신 n3n \geq 3nn-세포 eαne_\alpha^n들을 붙였다면, π1(Y,x0)π1(X,x0)\pi_1(Y, x_0) \cong \pi_1(X, x_0)이다.
위 두 따름정리들은 CW 복합체의 기본군 계산을 편하게 해 준다. 특히, 아래 정리로부터 임의의 CW 복합체 XX의 기본군 π1(X)\pi_1(X)은 그 2-뼈대(2-skeleton) X2X^2의 기본군 π1(X2)\pi_1(X^2)와 같음을 알 수 있다.

[1] 즉, f(1)=g(0)f(1) = g(0)인 경우[2] 두 번째 등식도 비슷한 방법으로 증명 가능.[3] 두 번째 등식도 비슷한 방법으로 증명 가능.[4] 원소가 항등원 단 하나인 군.[5] 즉, 자명군과 동형일 때[6] δ>0\delta > 0은 충분히 작게 잡아줘야 한다.[7] 단위원 S1S^1을 시계방향으로 nn바퀴 따라 돌아가는 회로.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
이 저작물은 CC BY-NC-SA 2.0 KR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단, 라이선스가 명시된 일부 문서 및 삽화 제외)
기여하신 문서의 저작권은 각 기여자에게 있으며, 각 기여자는 기여하신 부분의 저작권을 갖습니다.

나무위키는 백과사전이 아니며 검증되지 않았거나, 편향적이거나, 잘못된 서술이 있을 수 있습니다.
나무위키는 위키위키입니다. 여러분이 직접 문서를 고칠 수 있으며, 다른 사람의 의견을 원할 경우 직접 토론을 발제할 수 있습니다.

  •  
  •  
  •  
  •  
  •  
  •  
  •  
  •  
  •  
  •  
  •  
  •  
  •  
  •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