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 BACK << -|- >> HOME <<)

황남대총 남분 은제 팔뚝가리개

최근 수정 시각:
1
편집
현재 사용중인 아이피가 ACL그룹 IDC #12915에 있기 때문에 편집 권한이 부족합니다.
만료일 : 무기한
사유 : IDC(AS26496)
토론 역사
경주 천마총 장니 천마도
황남대총
皇南大塚
[ 펼치기 · 접기 ]
남분 추정 피장자
북분 추정 피장자
북분 출토 유물
남분 출토 유물
황남대총 남분 은제 팔뚝가리개...

1. 개요2. 내용3. 외부 링크4. 보물 제632호

1. 개요[편집]

皇南大塚南墳 銀製肱甲. 1973년~1975년 황남대총 남분 발굴 당시 출토된 신라시대 은제 경갑 팔뚝가리개. 현재 국립경주박물관에 소장되어 있으며, 대한민국 보물 제632호로 지정되어 있다.

2. 내용[편집]

황남대총 남분 은제 팔뚝가리개...
발굴 당시의 모습.

길이 35㎝, 상부 장폭 18㎝, 지름 각 6.8cm.

경상북도 경주시 황남동의 황남대총 남분에서 출토된 신라시대 무구(武具)로, 제작 연대는 대략 4세기 후반~5세기 초반(서기 300~400년대 사이)로 추정되고 있다. 같은 시기에 제작되어 황남대총에 함께 묻힌 황남대총 북분 금관, 황남대총 북분 금제 허리띠, 황남대총 북분 금팔찌 및 금반지, 황남대총 북분 유리잔, 황남대총 북분 은제 관식, 황남대총 북분 금제 고배, 황남대총 북분 은잔, 황남대총 북분 금은제 그릇 일괄, 황남대총 남분 금제 허리띠, 황남대총 남분 금제 관식, 황남대총 남분 은관, 황남대총 남분 금목걸이 등 7만여점에 이르는 유물들과 함께 발견되었다.

발굴 직후 얼마전까지는 사람의 정강이에서부터 발목 사이를 보호하기 위한 정강이가리개(脛甲)로 여겨져왔으나 연구 결과 팔목에서 팔꿈치 사이를 보호하는 팔뚝가리개(肱甲)임이 확인되었다. 전쟁 중 몸을 보호하기 위하여 사용되었던 신라시대 방어용구 가운데 가장 대표적인 용구라 할 수 있다.

팔꿈치 쪽이 넓고 팔목 쪽이 좁은 방향이다. 순은으로 판형을 뜬 후 중심선을 따라 꽃봉오리 무늬를 도드라지게 새겼고, 팔목을 감싸는 부속은 가운데 부속의 양쪽에 경첩으로 달았으며, 팔목 안쪽에서 끈을 걸어 채울 수 있도록 나란하게 세 개씩 걸이를 달아놓았다. 둥글고 뾰족한 부분이 팔꿈치 쪽을 향하고 있어, 이를 찼을 때 무척 위압적으로 보이며 거기에 휘황찬란한 은빛 광채까지 더했으니, 전투 당시 보는 이로 하여금 더욱 위엄을 느끼게 했을 무구이다.

경주 천마총에서 출토된 금동제 경갑 이후 두번째로 발굴된 전쟁용 무구이다. 이후 다른 신라의 무덤에서도 다양한 금동제, 은제, 철제 경갑 보호구들이 출토되었는데 본 유물과 대체적으로 비슷한 양식을 하고 있다. 서기 300~400년대 한국의 은세공기술 및 금속공예술, 전통무구사를 연구하는 데 중요한 자료가 된다.

1978년 12월 7일 대한민국 보물로 지정되었다.

3. 외부 링크[편집]

4. 보물 제632호[편집]

황남대총 남분 은제 팔뚝가리개(皇南大塚南墳 銀製肱甲)는 경주시 황남동 미추왕릉 지구에 있는 삼국시대 신라 무덤인 황남대총에서 발견된 팔뚝가리개이다. 황남대총은 2개의 봉분이 남·북으로 표주박 모양으로 붙어 있다.

이 팔뚝가리개는 남쪽 무덤 널(관) 밖 머리쪽의 껴묻거리 구덩이(부장갱) 안에서 발견된 것으로, 길이 35㎝이다.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
이 저작물은 CC BY-NC-SA 2.0 KR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단, 라이선스가 명시된 일부 문서 및 삽화 제외)
기여하신 문서의 저작권은 각 기여자에게 있으며, 각 기여자는 기여하신 부분의 저작권을 갖습니다.

나무위키는 백과사전이 아니며 검증되지 않았거나, 편향적이거나, 잘못된 서술이 있을 수 있습니다.
나무위키는 위키위키입니다. 여러분이 직접 문서를 고칠 수 있으며, 다른 사람의 의견을 원할 경우 직접 토론을 발제할 수 있습니다.

  •  
  •  
  •  
  •  
  •  
  •  
  •  
  •  
  •  
  •  
  •  
  •  
  •  
  •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