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 BACK << -|- >> HOME <<)

황남대총 남분 은관모

최근 수정 시각:
편집
현재 사용중인 아이피가 ACL그룹 IDC #12915에 있기 때문에 편집 권한이 부족합니다.
만료일 : 무기한
사유 : IDC(AS26496)
토론 역사
경주 천마총 장니 천마도
황남대총
皇南大塚
[ 펼치기 · 접기 ]
남분 추정 피장자
북분 추정 피장자
북분 출토 유물
남분 출토 유물

황남대총 남분 은관모1

1. 개요2. 내용3. 외부 링크

1. 개요[편집]

皇南大塚南墳 銀冠帽. 1973년~1975년 황남대총 남분 발굴 당시 출토된 신라시대 순은 관모. 현재 국립경주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2. 내용[편집]

황남대총 남분 은관모2
황남대총 금맞새김판장식, 황남대총 남분 금동관모와 함께 전시된 모습.

높이 17.0㎝, 무게 181.4g.

황남대총에서 발견된 신라시대 은제 관모로, 제작 연대는 대략 4세기 후반~5세기 초반(서기 300~400년대 사이)로 추정되고 있다. 같은 시기에 제작되어 황남대총에 함께 묻힌 황남대총 북분 금관, 황남대총 북분 금제 허리띠, 황남대총 남분 금목걸이, 황남대총 북분 금팔찌 및 금반지, 황남대총 북분 유리잔, 황남대총 북분 은제 관식, 황남대총 북분 금제 고배, 황남대총 북분 은잔, 황남대총 북분 금은제 그릇 일괄, 황남대총 남분 금제 허리띠, 황남대총 남분 금제 관식, 황남대총 남분 은관, 황남대총 남분 은제 팔뚝가리개 등 7만여점에 이르는 유물들과 함께 발견되었다.

황남대총 남분 은관모3

이 ‘고깔 형태의 관(冠帽)’은 이등변 삼각형의 꼭지를 활 모양으로 도려낸 은판 한 장과 오각형의 금동판, 그리고 작은 은판 각 한 장씩을 조합하여 만들었다. 앞의 것은 고깔의 몸통이 되며, 뒤에 것은 관꾸미개를 끼우는 부속이다. 꼭지를 도려낸 이등변삼각형의 은판은 아래를 밖으로 조금 접어 날카롭지 않게 테두리를 만들고, 볼록 장식과 번개무늬를 두들겨 도드라지게 나타내었다. 번개무늬 주변에 도금을 하고 달개를 달았으며, 테두리 바로 위에는 끈을 다는 구멍을 네 곳에 연이어 뚫었다.

황남대총 남분 은관모4

전체적으로 고깔은 정수리 주변만을 감싸는 크기이며, 늘어뜨린 끈을 턱 밑에서 묶어 고정하는 장식으로 착용하였다. 앞쪽의 오각형 판은 관꾸미개를 끼우는 포켓의 기능을 하였는데, 고깔은 달개를 달아 꾸몄고, 포켓은 화려한 용무늬로 꾸몄다.

은관모는 금관모에 비해 한단계 낮은 계급이 착용했던 것으로, 황남대총 남분에 묻힌 남성 왕이 북분에 묻힌 여왕에 비해 낮은 취급을 받았음을 보여준다.

3. 외부 링크[편집]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
이 저작물은 CC BY-NC-SA 2.0 KR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단, 라이선스가 명시된 일부 문서 및 삽화 제외)
기여하신 문서의 저작권은 각 기여자에게 있으며, 각 기여자는 기여하신 부분의 저작권을 갖습니다.

나무위키는 백과사전이 아니며 검증되지 않았거나, 편향적이거나, 잘못된 서술이 있을 수 있습니다.
나무위키는 위키위키입니다. 여러분이 직접 문서를 고칠 수 있으며, 다른 사람의 의견을 원할 경우 직접 토론을 발제할 수 있습니다.

  •  
  •  
  •  
  •  
  •  
  •  
  •  
  •  
  •  
  •  
  •  
  •  
  •  
  •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