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 BACK << -|- >> HOME <<)

레오나르도 다 빈치 국제공항

최근 수정 시각:
3
편집
현재 사용중인 아이피가 ACL그룹 IDC #12915에 있기 때문에 편집 권한이 부족합니다.
만료일 : 무기한
사유 : IDC(AS26496)
토론 역사
상위 문서 아이콘   상위 문서: 공항/목록/유럽
유럽 연합 깃발솅겐지역 소속의 공항
[ 펼치기 · 접기 ]
국가
공항
암스테르담 스키폴 국제공항, 흐로닝언 공항, 로테르담 공항, 마스트리흐트 아헨 공항
브뤼셀 자벤텀 공항, 샤를루아 브뤼셀 쉬드 공항, 오스텐더 공항, 리에주 공항, 안트베르펀 공항
프랑크푸르트암마인 국제공항, 뮌헨 국제공항, 베를린 브란덴부르크 국제공항, 뒤셀도르프 국제공항, 함부르크 국제공항, 쾰른-본 국제공항, 슈투트가르트 공항, 하노버-랑엔하겐 공항, 뉘른베르크 공항, 도르트문트 공항, 라이프치히-할레 국제공항, 드레스덴 공항, 프랑크푸르트 한 공항, 브레멘 공항, 바덴 에어파크, 에어푸르트-바이마르 공항, 자르브뤼켄 공항, 프리드리히스하펜 공항, 메밍겐 공항, 만하임 공항, 파더보른 공항, 카셀 공항, 드레스덴 공항, 브라운슈바이크 공항, 뮌스터-오스나브뤼크 공항, 브레머하펜 공항, 뤼벡-블랑켄제 공항, 로스토크-라게 공항, 헤링스도르프 공항, 베스터란트-쥘트 공항
취리히 국제공항, 제네바 국제공항, 장크트갈렌-알텐하인 공항
빈 국제공항, 잘츠부르크 W.A.모차르트 공항, 인스브루크 공항, 린츠 공항, 그라츠 공항, 클라겐푸르트 공항
레오나르도 다 빈치 국제공항, 말펜사 국제공항, 밀라노 리나테 공항, 나폴리 국제공항, 코미소 공항, 트라파니 공항, 팔레르모 공항, 카타니아 공항, 레조디칼라브리아 공항, 라메지아 테르매 공항, 크로토네 공항, 브린디시 공항, 바리 공항, 포자 공항, 비에스테 공항, 페스카라 공항, 참피노 국제공항, 베르가모 공항, 페루자 공항, 피사 국제공항, 피렌체 공항, 앙코나 공항, 리미니 공항, 볼로냐 공항, 볼로냐 포를리 공항, 파르마 공항, 크리스토포로 콜롬보 국제공항, 쿠네오 공항, 볼차노 공항, 트리에스테 공항, 토리노 공항, 베로나 공항, 베네치아 마르코 폴로 국제공항, 베네치아 트리비소 국제공항, 람페두사 공항(LMP), 판텔레루아 공항, 칼리아리 사르데냐 공항, 알게로 사르데냐 공항, 올비아 사르데냐 공항, 엘바 공항, 산 도미노 공항
마드리드 바라하스 국제공항, 바르셀로나 엘 프라트 국제공항, 발렌시아 공항, 산티아고 데 콤포스텔라 공항, 팔마 데 마요르카 국제공항, 코스타 델 솔 공항, 그란 카나리아 공항, 알리칸테 엘체 공항, 테네리페 수르 공항, 테네리페 노르테 공항, 이비자 공항, 란사로테 공항, 히로나-코스타 브라바 국제공항, 레우스 국제공항, 빌바오 공항, 아스투리아스 공항, 세비야 공항, 푸에르토벤투라 공항, 산타크루즈데라팔마 공항, 라코루냐 공항, 비고 공항, 비야돌리드 공항, 헤레즈 공항, 그라나다 공항, 산탄데르 공항, 알메리아, 무르시아 공항, 비토리아 공항, 사리고사 공항, 도노스티아 공항, 카스테욘데라플라나 공항, 메노르카 공항, 바다호스, 알바세테, 살라망카공항, 레리다 공항, 라세우두르젤 공항, 팜플로나 공항, 레온 공항, 로그로뇨 공항, 세우타 공항, 멜리야 공항, 발베르데 공항, 산세바스티안 공항
리스본 국제공항, 크리스티아누 호날두 국제공항, 포르투 프란시스쿠 드 사 카네이루 국제공항, 파루 공항, 폰타델가다 공항, 카스카이스 공항, 베자 공항, 비제우 공항, 빌라 레알 공항, 포르티망 공항, 브라간사 공항, 빌라두코르부 공항, 코르부 공항, 플로르스 공항, 그라시오사 공항, 테르세이라 공항, 산타마리아 공항, 상조르즈 공항, 피쿠 공항, 오르타 공항, 라제스 공항, 포르투산투 공항
케플라비크 국제공항, 레이캬비크 공항, 아퀴레이리 공항, 베스트만나에이야르 공항, 토르쇼픈 공항, 후사비크 공항, 보프나피외르뒤르 공항, 그림세이 공항, 이사피외르뒤르 공항, 아르네스렙(자구르) 공항, 빌두달루르 공항, 회픈 공항, 에질스타디르 공항
오슬로 가르데르모엔 국제공항, 베르겐 공항, 트론헤임 공항, 스타방에르 공항, 트롬쇠 공항, 스발바르 공항, 토르프 산네피요오드 국제공항, 모이라나 공항, 스토르마르크네스 공항, 하르스타-나르비크 공항, 안데스 공항, 브뢰뇌이순 공항, 산네스쇠엔 공항, 보되 공항, 모조엔 공항, 스볼베르 공항, 배뢰이 공항, 트뢰넬라그 공항, 남소스 공항, 레크네스 공항, 외를란 공항, 뢰로스 공항, 로르빅 공항, 뢰스트 공항, 바두포스 공항, 알타 공항, 함메르페스트 공항, 시르케네스 공항, 바드쇠 공항, 바르되 공항, 하스비크 공항, 락셸 공항, 메함 공항, 호닝스버그 공항, 쇠르쿄센 공항, 베를레보그 공항, 보츠피오르 공항, 푀르데 공항, 플로뢰 공항, 외르스타-볼다 공항, 몰데 공항, 크리스티안순 공항, 알레순트 공항, 살렌-트리실 공항 공항, 크리스티안산 공항, 헤우게순 공항, 송달 공항, 산다네 공항
스톡홀름 알란다 국제공항, 스톡홀름 브롬마 국제공항, 스톡홀름 바스테라스 국제공항, 스톡홀름 스카브스타 국제공항, 예테보리-란드베테르 국제공항, 키루나 공항, 말뫼 공항, 벡셰공항, 칼마르 공항, 스베그 공항, 론네뷔 공항, 할름스타드 공항, 해그퍼스 공항, 토스비 공항, 외레브로 공항, 트롤헤탄 공항, 비스뷔 공항, 엥엘홀름 공항, 노르셰핑 공항, 린셰핑 공항, 살렌-트리실 공항, 모라 공항, 외스테르순드 공항, 룰레오 공항, 옐리바레 공항, 아르비사우르 공항, 파얄라 공항, 우메오 공항, 순스발 공항, 크람포르스-솔레프테오 공항, 외른셸스비크 공항, 셸레프테오 공항, 빌헬미나 공항, 헤마반 공항
헬싱키 반타 국제공항, 이발로 공항, 키틸래 공항, 로바니에미 국제공항, 쿠사모 공항, 케미-토르니오 공항, 오울루 공항, 카야니 공항, 위베스퀠레 공항, 투르쿠 공항, 탐페레-피르칼라 공항, 포리 공항, 한리 공항, 우티 공항, 에논테키외 공항, 요엔수 공항, 쿠오피오 공항, 코콜라-피에타르사리 공항, 바사 공항, 라펜란타 공항, 미켈리 공항, 사본린나 공항, 바르카우스 공항, 마리에함 공항
레나트 메리 탈린 공항, 쿠레사레 공항
프라하 바츨라프 하벨 국제공항, 브르노 공항, 오스트라바 공항, 파르두비체 공항
브라티슬라바 국제공항, 코시체 공항, 포프라트 타트리 공항
자그레브 국제공항, 두브로브니크 칠리피 국제공항, 스플리트 공항, 오시예크 공항, 풀라 공항, 자다르 공항, 리예카 공항, 브라치 공항
아테네 엘레프테리오스 베니젤로스 국제공항, 이라클리온 니코스 카잔차키스 국제공항, 테살로니키 마케도니아 국제공항, 로도스 디아고라스 국제공항, 코르푸 요안니스 카포디스트리아스 국제공항, 프레비자-레프가다 공항, 아락소스 공항, 칼리마타 공항, 카발라 공항, 알렉산드로폴리스 공항, 카스토리아 공항, 코자니 공항, 요아니나 공항, 볼로스 공항, 코스 공항, 사모스 공항, 미틸리니 공항, 카르파토스 공항, 하니아 공항, 산토라니 공항, 미크로스 공항, 스키아토스 공항, 케팔로니아 공항, 자킨토스 공항, 카스텔로리조 공항, 시티아 공항, 카소스 공항, 키티라 공항, 아스티팔라이아 공항, 레로스 공항, 칼림노스 공항, 밀로스 공항, 파로스 공항, 낙소스 공항, 시로스 공항, 이카리아 공항, 림노스 공항, 키오스 공항, 스키로스 공항
헨리 코안더 국제공항, 아브람 이안쿠 클루지 공항, 부쿠레슈티 아우렐블라이쿠 국제공항, 이아시 공항, 티미쇼아라 공항, 시비우 공항, 수체아바 공항, 콘스탄차 공항, 오라데아 공항, 크라이오바 공항, 브라소브 공항, 사투마레 공항, 바이아마레 공항, 트르구무레슈 공항, 바커우 공항
[부분] 1.1 1.2 부분가입국으로 항공편, 선박편을 통한 출입국에만 솅겐 조약이 적용된다.
[ 펼치기 · 접기 ]
상징
역사
사회
정치
지리
외교
경제
교통
국방
문화
언어
스포츠
관광
치안·사법
민족
기타
레오나르도 다 빈치 국제공항
Leonardo da Vinci-Fiumicino Airport
Aeroporto Leonardo da Vinci di Fiumicino
레오나르도 다빈치 공항 로고
attachment/Rome ...
IATA: FCO / ICAO: LIRF
개요
국가
위치
라치오 주 피우미치노
종류
민간공항
운영
Aeroporti di Roma SpA
개항
활주로
07/25 - (3,288m x 45m)
16R/34L - (4,012m x 60m)
16L/34R - (3,880m x 60m)
16C/34C - (3,580m x 45m)
고도
5m (16ft)
좌표
북위 41도 48분 16초
동경 12도 15분 02초
웹사이트
레오나르도 다빈치 공항 로고 페이스북 아이콘 X Corp 아이콘(블랙) 인스타그램 아이콘 유튜브 아이콘 LinkedIn 아이콘
지도
1. 개요2. 시설
2.1. 사건사고
3. 연계 교통4. 운항 노선
4.1. 국내선4.2. 국제선
5. 대중매체

1. 개요[편집]

external/romecab...
이탈리아국제공항. 로마 시내에서 약 35km 떨어진 라치오 주 피우미치노에 있어서 피우미치노 국제공항[1]으로 부르기도 한다. 공항의 IATA 코드가 뜬금없이 FCO인것도 이 때문이다. 공항명에서 알 수 있듯이 이탈리아의 위인 레오나르도 다 빈치에서 이름을 따 왔다. 몽골 칭기즈 칸 국제공항과 함께 이름에서부터 근본이 넘쳐 흐르는 공항이지만 레오나르도 다 빈치는 피렌체에서 태어나서 밀라노에서 오랜 시간을 보냈는데 로마에 있는 이 공항에 그의 이름이 붙어 있는 것은 다소 어색하기도 하다.

밀라노의 대표적인 국제공항인 말펜사 국제공항과 함께 이탈리아의 관문 역할을 하는 공항이다. 1961년에 영업을 시작하였다. ITA 항공, 에어 알프스, 블루 익스프레스, 이지젯의 허브 공항이다.

2. 시설[편집]

존재감이 없어서 그렇지 상당히 큰 공항이다. 3,200m 이상의 활주로 3면에 터미널도 5개나 있다. 1, 2터미널에서는 국내선 및 솅겐조약 가입국으로 가는 항공편이 발착하고 3터미널은 국제선, 5터미널에서는 유나이티드 항공미국행과 이스라엘행 항공편이 발착한다. 인천-로마간 직항편이 있는 대한항공은 3터미널에서 이착륙한다.

공항 시설은 의외로 깔끔하고 좋다. 면세점도 브랜드와 규모가 제법 있는 편이고 게이트 앞에 흡연실도 있다. (!) [2]

또한 비행기 출발 5시간 전에는 도착할 것. 줄이 욕 나오게 길고 일 처리 속도도 느리고 심지어 줄이 엄청나게 긴 와중에도 몇몇 창구는 비어 있다.

대한항공과 아시아나는 3터미널에 배정되어 있는데, 주로 사용하는 게이트 E31-44 구역은 출구심사대에서 한참을 걸어가서 다시 셔틀 열차를 타고 가야되는 동떨어진 건물이라 탑승시간에 늦지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2.1. 사건사고[편집]

1964년에 이 공항을 출발해 아테네 국제공항으로 가는 트랜스 월드 항공 800편이[3] 25번 활주로에서 이륙 중 2번 엔진 결함으로 이륙에 실패하고 폭발해 탑승객 73명 중 50명이 사망했다.

1973년 로마 공항 습격·납치 사건으로 터미널에 있던 3명이 사망했고 팬암의 707이 폭파당해 30명이 사망했고 루프트한자의 737이 납치되어 인질 1명이 사망해 총 34명이 사망한 사건이 있었다.

피우미치노 현지 시각 기준으로 2015년 5월 7일 새벽 12시 15분, 제3터미널 쇼핑 아케이드에 있는 한 식당의 주방 전기 콘센트에서 화재가 발생하여 한때 공항이 폐쇄되기도 했다.

이 화재 사고 이후 알리탈리아는 기존 그대로 터미널 1을 사용하나, 대한항공아시아나항공은 터미널 5로 이동하게 되었다고. 터미널 5는 미국이나 이스라엘가는 항공편이 배정되는 터미널인데다 레오나르도 익스프레스의 역과도 떨어져 있어 셔틀버스를 타야하는 불편함을 감수해야 한다고 한다. 2016년 12월 기준으로 셔틀을 타고 5번 터미널로 가려면 셔틀 기다리는 시간까지 합쳐서 30분 정도 더 걸린다고 생각하면 된다.

2016년 6월 기준, 아시아나와 대한항공은 다시 터미널3로 배정되었다.

2020년 초반에는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의 여파로 인해 터미널 전체가 텅텅 비어있는 모습을 보여주기도 했다.#

3. 연계 교통[편집]

시내의 로마 테르미니 역으로 직통 운행하는 레오나르도 익스프레스(Leonardo Express)를 타면 30분 정도 걸린다.[4] 레오나르도 익스프레스는 전부 1등차인데 그렇게 안 보이는 게 문제지(...).[5] 외에 로마 시내는 아니고 좀 외곽의 역까지만 가는 일반열차도 있다. 테르미니역 근처에서 타고 내리는 공항버스도 운행하는데, 가격이 기차의 절반도 안 되는 수준이다.[6]

택시는 여기서 출발하면 도착지와 탑승인원 상관 없이 50유로.(2023년 11월 기준)

4. 운항 노선[편집]

이 공항에서 대한민국 직항편은 대한항공이 성수기 주 7회, 비수기 주 5회(B777-300ER), 아시아나항공이 성수기 주 7회, 비수기 주 5회(B777-200ER, A350-900)로 운항중이며, 티웨이항공이 2023년 8월 8일부터 주 3회(A330-200)로 신규 취항할 예정이다.

4.1. 국내선[편집]

4.2. 국제선[편집]

항공사
나라
편명
취항지
터미널
이탈리아 국기
AZ
1, 3
이탈리아 국기
NO
보아 비스타, 다카르, 아바나, 이라클리온, 이비사, 모리셔스, 몸바사, 모나스티르, 팔마 데 마요르카, 테네리페(수르)
계절편 : 푸에르테벤트라, 라로마나, 말레, 마르사 알람, 메르사마트루, 미코노스, 노지베, 로도스, 살랄라, 샤름엘셰이크, 잔지바르
노르웨이 국기
DY
헝가리 국기
W6
아랍에미리트 국기
아랍에미리트
특별행정구기
행정구
기
속령
아부다비
이집트 국기
이집트
특별행정구기
행정구
기
속령
알렉산드리아, 카이로, 후르가다, 샤름엘셰이크
요르단 국기
요르단
특별행정구기
행정구
기
속령
암만
아제르바이잔 국기
아제르바이잔
특별행정구기
행정구
기
속령
바쿠
스페인 국기
스페인
특별행정구기
행정구
기
속령
바르셀로나, 이비사, 마드리드, 말라가, 팔마 데 마요르카, 세비야, 테네리페, 발렌시아-카스테욘
스위스 국기
스위스
특별행정구기
행정구
기
속령
바젤/뮐루즈
세르비아 국기
세르비아
특별행정구기
행정구
기
속령
베오그라드
헝가리 국기
헝가리
특별행정구기
행정구
기
속령
부다페스트
루마니아 국기
루마니아
특별행정구기
행정구
기
속령
부쿠레슈티, 클루지나포카, 크라이오바, 이아시, 수체아바, 티미쇼아라
모로코 국기
모로코
특별행정구기
행정구
기
속령
카사블랑카, 마라케시
그리스 국기
그리스
특별행정구기
행정구
기
속령
코르푸, 이라클리온, 케팔로니아, 코스, 미코노스, 산토리니, 스키아토스, 자킨토스
사우디아라비아 국기
사우디아라비아
특별행정구기
행정구
기
속령
담맘, 제다, 리야드
독일 국기
독일
특별행정구기
행정구
기
속령
도르트문트, 메밍겐
이스라엘 국기
이스라엘
특별행정구기
행정구
기
속령
에일라트, 텔아비브[8]
쿠웨이트 국기
쿠웨이트
특별행정구기
행정구
기
속령
쿠웨이트
네덜란드 국기
네덜란드
특별행정구기
행정구
기
속령
에인트호번
스웨덴 국기
스웨덴
특별행정구기
행정구
기
속령
예테보리-란드베터
폴란드 국기
폴란드
특별행정구기
행정구
기
속령
카토비체, 크라쿠프, 제슈프, 바르샤바(쇼팽)
조지아 국기
조지아
특별행정구기
행정구
기
속령
쿠타이시
키프로스 국기
키프로스
특별행정구기
행정구
기
속령
라르나카
영국 국기
영국
특별행정구기
행정구
기
속령
런던(개트윅)
룩셈부르크 국기
룩셈부르크
특별행정구기
행정구
기
속령
룩셈부르크
프랑스 국기
프랑스
특별행정구기
행정구
기
속령
니스, 파리(오를리), 리옹
스페인 국기
스페인
특별행정구기
행정구
기
속령
테네리페(수르), 발렌시아, 세비야, 마드리드, 팔마 데 마요르카, 말라가
몬테네그로 국기
몬테네그로
특별행정구기
행정구
기
속령
포드고리차
포르투갈 국기
포르투갈
특별행정구기
행정구
기
속령
푼샬, 포르투
체코 국기
체코
특별행정구기
행정구
기
속령
프라하
아이슬란드 국기
아이슬란드
특별행정구기
행정구
기
속령
레이캬비크(케플라비크)
라트비아 국기
라트비아
특별행정구기
행정구
기
속령
리가
북마케도니아 국기
북마케도니아
특별행정구기
행정구
기
속령
스코페
불가리아 국기
불가리아
특별행정구기
행정구
기
속령
소피아
크로아티아 국기
크로아티아
특별행정구기
행정구
기
속령
스플리트
알바니아 국기
알바니아
특별행정구기
행정구
기
속령
티라나
핀란드 국기
핀란드
특별행정구기
행정구
기
속령
투르쿠
리투아니아 국기
리투아니아
특별행정구기
행정구
기
속령
빌뉴스
오스트리아 국기
오스트리아
특별행정구기
행정구
기
속령

아르메니아 국기
아르메니아
특별행정구기
행정구
기
속령
예레반
2
그리스 국기
A3
아테네, 테살로니키
알바니아 국기
ZB
티라나
아일랜드 국기
EI
아르헨티나 국기
AR
부에노스아이레스
알제리 국기
AH
알제
에스토니아 국기
라트비아 국기
리투아니아 국기
BT
리가
에어 카이로
이집트 국기
SM
모리셔스 국기
캐나다 국기
AC
토론토(피어슨), 몬트리올
WS
계절편: 캘거리
TS
계절편: 토론토(피어슨), 몬트리올
프랑스 국기
AF
파리(샤를 드 골)
TO
몽펠리에, 낭트, 파리(오를리)
인도 국기
AI
델리
몰타 국기
KM
세르비아 국기
JU
베오그라드
미국 국기
AA
DL
뉴욕(JFK), 애틀랜타
계절편 : 디트로이트
UA
대한민국 국기
OZ
3
KE
3
TW
오스트리아 국기
OS
벨기에 국기
SN
브뤼셀
영국 국기
BA
런던(히스로)
LS
U2
브리스톨, 런던(개트윅), 맨체스터
2
불가리아 국기
FB
소피아
중국 국기
CA
HU
홍콩 특별행정구기
CX
대만 국기
CI
크로아티아 국기
OU
스플리트
이스라엘 국기
LY
텔아비브(벤 구리온)
IZ
이집트 국기
MS
카이로
샤름엘셰이크, 룩소르
아랍에미리트 국기
EK
EY
아부다비
에티오피아 국기
ET
핀란드 국기
AY
플라이원
몰도바 국기
5F
플라이릴
루마니아 국기
FL
브라쇼브, 시비우
스페인 국기
IB
마드리드
UX
마드리드
VY
스페인 국기
스페인
특별행정구기
행정구
기
속령
마드리드, 바르셀로나, 말라가, 빌바오, 알리칸테, 팔마 데 마요르카, 세비야, 발렌시아
프랑스 국기
프랑스
특별행정구기
행정구
기
속령
파리(오를리), 리옹
이탈리아 국기
이탈리아
특별행정구기
행정구
기
속령
산토리니
네덜란드 국기
네덜란드
특별행정구기
행정구
기
속령
암스테르담
크로아티아 국기
크로아티아
특별행정구기
행정구
기
속령
두브로브니크
영국 국기
영국
특별행정구기
행정구
기
속령
런던(개트윅)
계절편 : 이비사, 람페두사, 미코노스, 스플리트, 자킨토스
3
이란 국기
IR
네덜란드 국기
KL
암스테르담
HV
로테르담
쿠웨이트 국기
KU
쿠웨이트
독일 국기
LH
프랑크푸르트, 뮌헨
EW
EC
2
룩셈부르크 국기
LG
룩셈부르크
튀르키예 국기
TK
PC
카타르 국기
QR
호주 국기
QF
아일랜드 국기
영국 국기
FR
아일랜드 국기
아일랜드
특별행정구기
행정구
기
속령
더블린, 코크
벨기에 국기
벨기에
특별행정구기
행정구
기
속령
브뤼셀
프랑스 국기
프랑스
특별행정구기
행정구
기
속령
파리(보베), 마르세유, 피가리, 툴루즈
독일 국기
독일
특별행정구기
행정구
기
속령
쾰른-본, 프랑크푸르트-한, 메밍겐, 파더보른, 프레베자
이탈리아 국기
이탈리아
특별행정구기
행정구
기
속령
바리, 카타니아, 팔레르모, 트라파니-마르살라
네덜란드 국기
네덜란드
특별행정구기
행정구
기
속령
에인트호번
덴마크 국기
덴마크
특별행정구기
행정구
기
속령
코펜하겐
그리스 국기
그리스
특별행정구기
행정구
기
속령
아테네, 산토리니, 하니아, 케팔로니아, 코스, 스키아토스, 자킨토스
스페인 국기
스페인
특별행정구기
행정구
기
속령
마드리드, 바르셀로나, 발렌시아, 말라가, 아스투리아스, 알리칸테, 팔마 데 마요르카, 테네리페(수르), 푸에르테벤투라, 그란 카나리아, 란사로테, 이비사, 메노르카, 산탄데르
포르투갈 국기
포르투갈
특별행정구기
행정구
기
속령
파루
스웨덴 국기
스웨덴
특별행정구기
행정구
기
속령
스톡홀름
오스트리아 국기
오스트리아
특별행정구기
행정구
기
속령

폴란드 국기
폴란드
특별행정구기
행정구
기
속령
그단스크
체코 국기
체코
특별행정구기
행정구
기
속령
프라하
리투아니아 국기
리투아니아
특별행정구기
행정구
기
속령
빌뉴스
크로아티아 국기
크로아티아
특별행정구기
행정구
기
속령
자그레브, 스플리트, 자다르
이스라엘 국기
이스라엘
특별행정구기
행정구
기
속령
텔아비브[10]
2
모로코 국기
AT
요르단 국기
RJ
암만
사우디아라비아 국기
SV
제다, 리야드
싱가포르 국기
SQ
덴마크 국기
노르웨이 국기
스웨덴 국기
SK
코펜하겐, 오슬로, 스톡홀름
체코 국기
QS
프라하
스위스 국기
LX
취리히
DS
제네바, 바젤/뮐루즈
2
포르투갈 국기
TP
루마니아 국기
RO
부쿠레슈티
태국 국기
TG
튀니지 국기
TU
튀니스
우즈베키스탄 국기
H6
타슈켄트
계절편 : 우르겐치

5. 대중매체[편집]

심슨 가족 17기 8화 The Italian Bob에서는 이라크전 때문에 미국인에 대한 유럽인들의 인식이 안 좋아진 상태에서 심슨 가족이 이탈리아 로마에 도착했을때 나온다. 바트리사가 캐나다 국기가 그려진 배낭을 매는 걸 의아하게 보는 사이에 호머 심슨이 화물수송칸에서 어디서 갖고 왔는지 모르는 성조기를 집어들자마자 짐들 위에 바로 올라가서 성조기를 마구 흔들며 "충격과 공포다 그지 깽깽이들아!!!"라고 외친 곳이다.

[1] 이탈리아어로 FIUMICINO AEROPORT, 테르미니역에서 레오나르도 익스프레스를 발권해서 티켓을 보면 도착지에 이렇게 표기된다. 잘못 뽑은 게 아니니까 쫄지 말자.[2] 단, 솅겐 지역으로 가는 게이트 방면에는 흡연실 따위 없다. 보안 검사 전에 흡연은 다 마무리 하도록 하자 전담이라면 화장실에서 몰래 피도록 하자[3] 기종은 보잉 707이었고 1996년에 일어난 사고랑은 편명만 같을 뿐 관련 없다.[4] 보통 24번 플랫폼을 이용한다. 2016년 기준. 14유로. 중간에 역무원이 체크를 하는데, 안 하면 벌금 100유로! 미안하다 하며 현장 즉시 납부 시에는 50유로. 그냥 뻘짓하지말고 정당하게 표를 사자.[5] 실제로는 도색을 빼면 2등차와 동일한 열차이다. 직통열차랍시고 1등석 요금을 받고 있는 것이지만.[6] 2017년 8월 기준 편도 5.9유로.[7] 이스라엘-하마스 전쟁으로 운항 중단[8] 이스라엘-하마스 전쟁으로 운항 중단[9] 2024년 8월 8일 신규 취항.[10] 이스라엘-하마스 전쟁으로 운항 중단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
이 저작물은 CC BY-NC-SA 2.0 KR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단, 라이선스가 명시된 일부 문서 및 삽화 제외)
기여하신 문서의 저작권은 각 기여자에게 있으며, 각 기여자는 기여하신 부분의 저작권을 갖습니다.

나무위키는 백과사전이 아니며 검증되지 않았거나, 편향적이거나, 잘못된 서술이 있을 수 있습니다.
나무위키는 위키위키입니다. 여러분이 직접 문서를 고칠 수 있으며, 다른 사람의 의견을 원할 경우 직접 토론을 발제할 수 있습니다.

  •  
  •  
  •  
  •  
  •  
  •  
  •  
  •  
  •  
  •  
  •  
  •  
  •  
  •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