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 BACK << -|- >> HOME <<)

쿠웨이트 국제공항

최근 수정 시각:
1
편집
현재 사용중인 아이피가 ACL그룹 IDC #12915에 있기 때문에 편집 권한이 부족합니다.
만료일 : 무기한
사유 : IDC(AS26496)
토론 역사
GCC Logo걸프 협력회의 소속의 공항
[ 펼치기 · 접기 ]
나라
국제공항
사우디아라비아
리야드 국제공항+, 제다 국제공항+, 킹 파드 국제공항+, 메다나 공항+, 타브크 공항+, 헤일 공항+, 알 쿠아심 공항+, 타이프 공항+, 압하 공항+, 꾸라얏 공항, 투라이프 공항, 사카카 공항, 아라르 공항, 라파 공항, 알까이수마 / 하프르 알-바틴 공항+, 다와드미 공항, 호푸프 공항, 네옴 국제공항+, 알 와즈 공항, 알-울라 공항+, 홍해 국제공항, 얀부 공항+, 바하 국제공항, 비샤 공항, 와디 앗 다와시르 공항, 지잔공항+, 나지란 공항+ ,샤룰라 공항
쿠웨이트
바레인
카타르
아랍에미리트
오만
+: 국제선이 존재하는 공항
쿠웨이트 국제공항
Kuwait International airport
مطار الكويت الدولي
Kuwait airport l...
쿠웨이트 국제공항 T2
IATA: KWI / ICAO: OKBK
개요
국가
위치
Ghazali Rd, Kuwait
종류
민간공항
소유 / 운영
Directorate General of Civil Aviation[1]
인천국제공항공사[2]
운영시간
24시간
개항
1927년
활주로
15R/33L - (3,400m x 45m)
15L/33R - (3,500 x 45m)
고도
63m (206 ft)
허브
쿠웨이트 항공
자지라 항공
좌표
북위 29도 13분 36초
동경 47도 58분 47초
웹사이트
Kuwait airport l... 페이스북 아이콘 X Corp 아이콘(블랙) 인스타그램 아이콘
지도
1. 개요2. 역사3. 노선
3.1. 국제선3.2. 화물 노선
4. 사건 및 사고

1. 개요[편집]

쿠웨이트 국제공항은 쿠웨이트 쿠웨이트시티에 있는 국제공항으로, 쿠웨이트 항공자지라 항공허브 공항에 속한다.

2. 역사[편집]

1927년 다스마(Dasma) 지역에 개항하여 제국항공이 운항을 시작하였다. 1947년 누자(Nuzha) 지역으로 옮겨 새롭게 개항하였다. 1956년에 공항을 관리하는 민간 항공국(Civil Aviation Department)이 설립되었고 1975년 DGCA(Directorate General of Civil Aviation Departments)로 이름이 바뀌었다.

1961년쿠웨이트가 완전한 독립을 이룬 이후 친미, 친서방 정책을 유지했기 때문에, 크고 작은 테러 사건에 여러 차례 휘말렸다. 1990년 걸프 전쟁으로 공항이 파괴되었으나, 뒤에 복구되었다. 쿠웨이트공항은 쿠웨이트 정부가 지분 100%를 갖고 있다. 2017년 1200만 명이 이용했고, 여객이 계속 늘자 1870억원을 들여 연간 450만 명이 이용할 수 있는 제4터미널을 신축했다.

2014년에 제2터미널 신축 계획을 발표하여 2025년까지 완공되어 개관될 예정이다. 2018년 8월 8일, 쿠웨이트항공이 운항하는 모든 항공편을 수용하기 위해 제4터미널이 개장했다. 제4터미널은 연간 450만 명의 승객을 처리할 수 있으며 포화된 제1터미널의 수용능력을 분산시키는 역할을 한다. 쿠웨이트 국제공항 제4터미널의 운영은 2018년부터 2024년 8월까지 6년 3개월 동안 인천국제공항공사가 맡는다.## 2024년 5월 현재 제1터미널, 제4터미널, 그리고 제5터미널로 운영되고 있다.

3. 노선[편집]

3.1. 국제선[편집]

항공사
국가
편명
취항지
쿠웨이트 국기
KU
동남아시아

중앙아시아

남아시아

서아시아

서유럽

중부유럽

남유럽

아프리카
자지라 항공
쿠웨이트 국기
J9
중앙아시아

남아시아

서아시아

서유럽

중부유럽

남유럽

아프리카
그리스 국기
A3
계절편: 아테네
아랍에미리트 국기
G9
아부다비, 알렉산드리아, 아슈트, 룰소르, 샤르자, 소하그
에어 카이로
이집트 국기
SM
알렉산드리아, 아시우트, 카이로, 소하그
인도 국기
AI
인도 국기
IX
칸눌, 캘리컷, 망가로레, 티루치라팔리
알렉산드리아 항공
이집트 국기
DQ
알렉산드리아
알마스리아 유니버셜 항공
쿠웨이트 국기
UJ
튀르키예 국기
TK
아제르바이잔 국기
J2
방글라데시 국기
BG
영국 국기
BA
참윙스 항공
시리아 국기
6Q
알레포, 다마스쿠스
이집트 국기
MS
알렉산드리아, 카이로
아랍에미리트 국기
EK
아랍에미리트 국기
EY
플라이어딜
사우디아라비아 국기
F3
아르메니아 국기
G6
아랍에미리트 국기
FZ
플라이 이집트
이집트 국기
FT
알렉산드리아, 아시우트, 소하그
사우디아라비아 국기
XY
알 울라, 제다, 메디나, 리야드, 타이프
바레인 국기
GF
인도 국기
6E
아마다바드, 첸나이, 델리, 하이데라바드, 코치, 캘리컷, 뭄바이
이란 국기
IR
아바즈, 이스파한, 라르, 마슈하드, 시라즈, 테헤란(이맘 호메이니)
이라크 국기
IA
나자프
이탈리아 국기
AZ
조던 에비에이션
요르단 국기
R5
카룬 항공
이란 국기
NV
아바즈
키시 항공
이란 국기
Y9
마슈하드
독일 국기
LH

레바논 국기
ME
베이루트
네스마 항공
이집트 국기
NE
나일 항공
이집트 국기
NP
알렉산드리아, 아시우트, 카이로, 룩소르, 소하그
오만 국기
WY
무스카트
파키스탄 국기
PK
라호르, 시알코트
튀르키예 국기
PC
카타르 국기
QR
요르단 국기
RJ
살람에어
오만 국기
OV
무스카트
사우디아라비아 국기
SV
제다, 메디나, 리야드
세페란 항공
이란 국기
IS
마슈하드
오만 국기
UL
콜롬보
튀르키예 국기
XQ
시리아 국기
RB
다마스쿠스, 라타키아
테일윙드 항공
튀르키예 국기
TI
계절편: 안탈리아
튀르키예 국기
TK
이스탄불 계절편: 안탈리아, 밀라스-보드룸, 트라브존
바레쉬 항공
오만 국기
VR
마슈하드
헝가리 국기
W6



3.2. 화물 노선[편집]

4. 사건 및 사고[편집]

  • 1980년 두 명의 테러리스트가 쿠웨이트 항공기를 납치해 쿠웨이트 국제공항에 착륙한 뒤 돈을 요구하다 이 곳에서 투항했다.

[1] 터미널 4 이외의 터미널을 운영한다.[2] 터미널 4를 운영한다.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
이 저작물은 CC BY-NC-SA 2.0 KR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단, 라이선스가 명시된 일부 문서 및 삽화 제외)
기여하신 문서의 저작권은 각 기여자에게 있으며, 각 기여자는 기여하신 부분의 저작권을 갖습니다.

나무위키는 백과사전이 아니며 검증되지 않았거나, 편향적이거나, 잘못된 서술이 있을 수 있습니다.
나무위키는 위키위키입니다. 여러분이 직접 문서를 고칠 수 있으며, 다른 사람의 의견을 원할 경우 직접 토론을 발제할 수 있습니다.

  •  
  •  
  •  
  •  
  •  
  •  
  •  
  •  
  •  
  •  
  •  
  •  
  •  
  •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