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 BACK << -|- >> HOME <<)

2000 남북정상회담

최근 수정 시각:
18
편집
현재 사용중인 아이피가 ACL그룹 IDC #12915에 있기 때문에 편집 권한이 부족합니다.
만료일 : 무기한
사유 : IDC(AS26496)
토론 역사
2000 남북정상회담
2000年 南北頂上會談
2000 Inter-Korean Summit
external/image.a...
일시
장소
주최
참석
위원장 부인 공석[1]
결과

1. 개요2. 진행3. 6.15 남북공동선언4. 여담5. 둘러보기


1. 개요[편집]

2. 진행[편집]

KTV - 2000 벽을 넘어
반세기 동안 쌓인 한을 한꺼번에 풀 수는 없을 것입니다. 그러나 시작이 반입니다.

김대중 전 대통령, 2000년 6월 13일 평양 도착 직후.
2000년 4월 10일 당시 문화관광부장관[2] 박지원이 남북정상회담의 예정을 발표했다. 원래 발표된 일정은 6월 12일부터 6월 14일까지였지만, 북한 측이 준비가 덜 되었다는 이유로 하루 연기를 통보하고 남측도 이걸 받아들이면서 6월 13일로 조정되었다.

추진위원장은 박재규통일부장관이었으며, 외교부 장관, 국가정보원장, 국무조정실장, 청와대 경제수석·외교안보비서관 등이 위원에 포함됐다. 준비기획단엔 통일부 차관(단장)과 각 정부부처 차관급 및 청와대 경호처장·의전비서관 등이 참여했다.

1948년 한반도가 분단된 이후로, 두 당국의 대표가 처음으로 만난 회담이다. 김대중 전 대통령과 김정일 전 국방위원장은 남북한관계사의 이정표로 남을 6.15 남북공동선언을 발표했다. 한반도 평화 조성과 햇볕정책의 결실과도 같은 이 회담은, 김대중 전 대통령의 생애 전반에 걸친 한국 민주화 운동과 함께 노벨평화상을 수상하는 것에 영향을 미쳤다.

정상 회담 이후 남북 이산가족 상봉, 금강산 관광, 북한남한 주최 스포츠 경기 행사 참가 등 민간 교류 사업이 본격적으로 진행됐다. 남북 당국 간 회담이 지속했으며, 북한은 일본, 미국과도 화해 분위기를 유지하며 국교 정상화 교섭에 나섰다. 김정일의 조기 서울 방문도 예견됐으나 국제 정세의 급변 및 대한민국 국민 정서에 의한 국내의 반감 등으로 실현되지 않았다.
상세 내용 아이콘   자세한 내용은 6.15 남북공동선언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여담[편집]

  • 남북이 회담을 협상하는 과정에서 북한 측이 남한 측 인사들에게 금수산태양궁전 참배를 끈질기게 요구한 것이 밝혀졌다. 결국에는 철회되었지만 이 사실이 대중들에게 바로 알려졌다간 사회 분위기도 그렇고 어렵게 조성해 놓은 남북관계가 깨질게 분명해서 숨겼다가 회담 후 4년 후인 2004년에 공개했다.
  • 정상회담을 앞두고 북측은 조선일보와 KBS의 북한 방문을 불허한다는 입장을 고수했다. 그러나 김대중 대통령은 대통령 전용기에 기자들을 무조건 태우라고 지시했고, 결국 조선일보와 KBS도 대통령 전용기를 타고 평양에 도착해 정상회담을 취재할 수 있었다. 김 전 대통령은 회고록에서 “남한은 민주국가이다. 민주국가에서 언론의 자유를 제한하는 것은 말이 안된다. 정상회담을 하는 것 자체가 서로의 체제를 인정하는 것이고 누가 수행취재를 가느냐는 우리가 결정하는 것이다. 취재기자 선별까지 양보하면서 정상회담을 할 필요는 없다”고 당시를 회고했다.#
  • 박지원은 “하루 회담이 연기되었고, 출발하지 말라는 통보에도 DJ는 절망하지 않고 추진했다”라며 우여곡절 끝에 정상회담이 열렸다고 밝혔다.
  • 회담을 진행하기로 해놓고 정작 북한이 준비에 매우 비협조적으로 나오자, 당시 청와대와 국정원 내부에선 북한의 법적 국가원수인 김영남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위원장이 나오는 것 아니냐는 비관이 나왔다고 한다. 실제로 준비협상에서 북한에서도 그런 운을 계속 띄웠기 때문에 회담의 의미가 크게 퇴색되는 것 아니냐는 기류가 형성됐다. 그러다가 출발 3일 전 새벽 북한에서 '궁중요리를 먹어볼 수 있는가?'라는 급전이 들어오자 김정일이 직접 나온다는 판단 아래 분위기가 급변했다. 왜냐하면 저렇게 뜬금 없이 궁중요리를 먹을 수 있냐는 질문은 유일하게 김정일만 할 수 있는 행위이기 때문이다. 당시 청와대에서는 가능하다는 답전을 보냈고, 해외 출국이 예정돼 있던 궁중요리 전문가 한복려를 설득[3]해 궁중요리 만찬을 준비했다.
  • 회담을 진행하면서 외교 관례에 따라 남북간의 선물을 교환하였다. 이 중 화제를 모은 것이 바로 였다. 남한에서는 북한에게 '평화'와 통일'이라는 이름의 진돗개 한 쌍을, 북한에서는 남한에게 '자주'와 '통일'이라는 이름의 풍산개 한 쌍을 선물하였다. 이 중 풍산개는 남한으로 들여온 후 '우리'와 '두리'란 이름으로 바뀌었다. 풍산개들은 과천 서울대공원 동물원에서 사육하다가 2013년에 노환으로 자연사했다. 북한에 보낸 진돗개들은 평양의 조선중앙동물원에서 사육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 빌 클린턴 전 대통령은 북한의 핵과 미사일 문제를 김대중 전 대통령김정일에게 제기한 것에 감사를 나타내고 남북 정상회담에서의 합의가 김 대통령 개인뿐 아니라 세계 평화를 위해서도 대단한 승리라고 칭송하기도 했다.[4]

5. 둘러보기[편집]

[ 펼치기 · 접기 ]
주요 역사적 사건
김일성
시대
김정일
시대
김정은
시대
역사왜곡*
항일무장투쟁
타도제국주의동맹 (1926) · 카륜회의 (1930) · 명월구회의 (1931) · 조선인민혁명군 (1932) · 민생단 사건 (1932~1936) · 남호두회의 (1936) · 미혼진회의 (1936) · 동강회의 (1936) · 조국광복회 (1936)
6.25 전쟁
백두혈통
우상화
관련 서적
* 괄호 안의 연도는 북한의 주장에 근거한 연도이며, 실제 역사에서는 존재하지 않는 단체 및 사건이거나 실제와는 다른 연도일 수 있음.

[1] 당시 김정일에게는 비공식적인 부인 고용희가 있었지만 여러 이유로 인해 전면에 등장하지는 못했다.[2] 아마 대한민국 정부대변인 역할을 맡아 당시 문화관광부의 장관이 발표를 한것으로 추측된다. 참고로 현재에도 대한민국 정부의 대변인은 문화체육관광부장관이다.[3] 당시 한복려는 프랑스 파리의 리츠 파리 호텔에서 전통 한식과 궁중 요리를 소개하는 행사에 참석할 계획이었고, 여기에는 프랑스 문화 당국의 장관과 대통령 참석이 예정되어 있었다. 그래서 처음에 청와대에서 한복려에게 연락을 했을 때 해외의 국가 원수가 참석하는 행사가 선약되어 있어서 정상회담 준비에 응할 수 없다고 거부했었다. 그러자 당시 외교 당국이 급히 총동원돼 프랑스 대통령궁과 직접 교섭해 양해를 받았고, 이를 한복려에게 전달하자 마지못해 응했다고 한다.[4] 김대통령 핵,미사일 등에 대해 클린턴 미국 대통령과 전화
CC-white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237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CC-white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237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
이 저작물은 CC BY-NC-SA 2.0 KR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단, 라이선스가 명시된 일부 문서 및 삽화 제외)
기여하신 문서의 저작권은 각 기여자에게 있으며, 각 기여자는 기여하신 부분의 저작권을 갖습니다.

나무위키는 백과사전이 아니며 검증되지 않았거나, 편향적이거나, 잘못된 서술이 있을 수 있습니다.
나무위키는 위키위키입니다. 여러분이 직접 문서를 고칠 수 있으며, 다른 사람의 의견을 원할 경우 직접 토론을 발제할 수 있습니다.

  •  
  •  
  •  
  •  
  •  
  •  
  •  
  •  
  •  
  •  
  •  
  •  
  •  
  •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