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 BACK << -|- >> HOME <<)

터줏대감

최근 수정 시각:
4
편집
현재 사용중인 아이피가 ACL그룹 IDC #12915에 있기 때문에 편집 권한이 부족합니다.
만료일 : 무기한
사유 : IDC(AS26496)
토론 역사
[ 펼치기 · 접기 ]
하늘신
하느님 · 환인 · 옥황상제도교 · 천지왕제주도
통치신
국조신
자연신
마고할미 · 미륵불교 · 웅녀 · 해당금이 · 손돌 · 도수문장 · 설문대할망제주도 · 오늘이제주도
산신
수신
사방신
청룡도교 · 백호도교 · 현무도교 · 주작도교
무조신
농업신
풍백 · 우사 · 운사 · 고수레 · 자청비제주도
탄생신
운명신
사신
염라대왕불교 · 강림도령 · 이덕춘 · 해원맥 · 연직사자불교 · 시직사자불교
복신
재물신
칠성신(뱀)제주도
가택신
성주신 · 조왕신 · 삼신할미 · 터주신 · 문전신 · 철륭신 · 업신 · 정랑각시 · 제석신 · 우물신
수호신
역병신
역신 · 호구별성
왕신
군웅신
터줏대감

1. 개요2. 내용3. 일본의 ぬし4. 창작물에서

1. 개요[편집]

'터-主大監'[1]

한국토속신앙인 가신신앙(家神信仰)에서 를 지키는 땅의 신(地神). 터주, 터대감, 후토주임, 대주라고도 부르며 높혀서 터주신이라고 부르지만 보통은 터줏대감으로 많이 부른다. 비유적표현으로 어떤 분야나 집단의 구성원 중에서 가장 오래된 사람을 터줏대감으로 부르기도 한다.

2. 내용[편집]

집안 사람들의 재물운, 건물의 안전, 집터의 운수 등을 관장하는 신이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에 따르면 집이 안치되어 있는 터, 즉 울타리 안을 돌본다고 한다[2]. 사악한 기운을 없애고 잡귀를 쫓아내 집안 사람들을 보호한다.

키는 50척이 넘는데다 귀는 장승처럼 늘어졌고, 작은 눈에 납작한 코와 두꺼운 입, 큰 배에 조막손, 마당발로 생겼다고 한다. 그런 생김새에도 불구하고 높은 위상을 가진 신이기에 사람들이 귀하게 모신다.

터주가리
집의 뒤뜰 장독대 옆에 벼짚따위로 가마니같은 것을 만들어 그 안에 작은 단지를 넣어서 신체(神體)를 만들어 모시는데 이를 터주가리라고 부른다. 그 작은 단지안엔 해마다 추수 때 수확한 곡물 을 넣는데[3][4] 원래 단지안에 있던 묵은 곡물은 집안사람들끼리 나누어먹어 복을 빈다고 한다.

터주가리 외에도 오쟁이에 베와 짚신을 넣고 나무에 걸어 두거나, 한 홉의 쌀을 종이나 베에 담고 마당 중앙에 얕게 묻어 모시기도 한다.

대감놀이의 터줏대감을 모시는 거리는 무당이 시루를 머리에 이고 노래를 부르고 술을 마시며 집안을 도는 식으로 진행된다.

3. 일본의 ぬし[편집]

일본에서는 일반적인 크기에 비해 큰 짐승이나 대물 물고기를 발견하면 그 장소[5]의 우두머리 개체라는 의미로 ぬし(누시)라 부르는데, 이를 한글화 할 때 그 장소(터)의 주인이라는 뜻을 담아 '터주'로 번역하기도 한다. 본 문서가 서술하는 '터줏대감'은 인간형 모습에 집의 신이라 이 ぬし와는 거리가 멀지만, 일단 의미 그대로 보았을 때 틀린 번역이라 보긴 어렵기에 용인되고 있다.

4. 창작물에서[편집]

'집안을 보살피고 지킨다.'는 특징 때문인지 여신으로 그려지는 경우가 많다. 그래도 '터[6]를 담당해 보호한다.'는 설정만은 건드려지지 않는다.
  • 계룡선녀전 - 조봉대 부인: 머리를 빨갛게 염색한 여신이다. 카페에서 일하며, 드라마에선 안영미가 연기했다.
  • 미래의 골동품 가게 - 터줏신: 프롤로그에서 감투를 쓴 두꺼비의 형상으로 등장했다. 어느 부잣집의 터줏대감으로, 보름달의 정기를 받기 위해 나왔다가 뱀 요괴에게 습격을 받지만 연화 일행에 의해 구조된다.
  • 수린당 -비늘 고치는 집- - 터주신: 용의 형태를 하고 있다. 수린당 창고에 외부인이 들어가려하거나 수린당 자매가 귀가하지 않으면 화를 낸다.
  • 신과함께 - 막막부인: 신과함께 신화편에서 성주신 황우양의 아내 막막부인으로 등장한다. 집 터를 지키는 가정신이다.

[1] 이름 그대로 풀이한다면 '터의 주인인 남자 신'이다.[2] 집안뿐만 아니라 농사짓는 터까지 돌본다는 설도 있다.[3] 그냥 간단히 모시기도 하고, 굿을 하며 곡물을 넣어 드리는 경우도 있다.[4] 현대에는 곡물 대신 잘 썩지 않는 동전을 넣는 경우도 있다.[5] 숲, 산, 강, 호수 등[6] 집에서 마을 전체까지 다양하다.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
이 저작물은 CC BY-NC-SA 2.0 KR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단, 라이선스가 명시된 일부 문서 및 삽화 제외)
기여하신 문서의 저작권은 각 기여자에게 있으며, 각 기여자는 기여하신 부분의 저작권을 갖습니다.

나무위키는 백과사전이 아니며 검증되지 않았거나, 편향적이거나, 잘못된 서술이 있을 수 있습니다.
나무위키는 위키위키입니다. 여러분이 직접 문서를 고칠 수 있으며, 다른 사람의 의견을 원할 경우 직접 토론을 발제할 수 있습니다.

  •  
  •  
  •  
  •  
  •  
  •  
  •  
  •  
  •  
  •  
  •  
  •  
  •  
  •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