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 BACK << -|- >> HOME <<)

이인(악기)

최근 수정 시각:
편집
현재 사용중인 아이피가 ACL그룹 IDC #12915에 있기 때문에 편집 권한이 부족합니다.
만료일 : 무기한
사유 : IDC(AS26496)
토론 역사
[ 펼치기 · 접기 ]
찰현악기
동아시아
대한민국
북한
중화권
정니(a) · 주이후(a) · 레이친(a) · 파친(a) · 라루안(a)
몽골
일본
중앙아시아
(튀르크 제족)
시베리아
알타이·투바
킵차크
카자흐·키르기스
카를루크
우즈벡·위구르
동남아시아
베트남
태국
캄보디아
말레이시아
(a) 발현악기의 형태 + 찰현악기의 연주 방식
발현​악기
··
다현금
일현금
비파
2현
3현
공후
이외
타현​악기
[ 정치 · 군사 ]
상징
정치 ·
행정
정당 ·
사상
역대 최고
지도자
기타 정치인
외교
사법
공안
군사 전반
장비
군종 ·
부대
[ 역사 ]
역사
시대
관직
사서
사건
왜곡
[ 사회 · 경제 ]
경제
기업 ·
산업
지리
사회
정보 ·
통신
과학 ·
기술
교육
교통
화교
[ 문화 ]
문화 전반
음식
전통문화
현대문화
종교 ·
신화
스포츠
언어
관광
전시장
[ 정치 · 군사 ]
상징
정치·행정
국가원수
기타 정치인
외교
감정
사법 · 치안
군사 전반
[ 역사 ]
역사
시대
관직
사서
사건
[ 사회 · 경제 ]
[ 문화 ]
문화 전반
요리
전통문화
현대문화
종교 · 신화
언어
관광
전시장

1. 개요2. 상세
2.1. 구조2.2. 종류2.3. 응앙공

1. 개요[편집]

중국 남부 광둥성의 전통악기.

2. 상세[편집]

원어로는 이라고 쓰며, 광둥어로는 이인(ji6 jin4), 표준중국어로는 얼시엔(èrxián)이라고 발음한다. 1920년대 가오후의 등장으로 쇠퇴하기 시작하여, 현재는 광둥성 전통 가극 외에는 거의 쓰이지 않는 악기가 되었다.
초기에는 징후와 크기·재료·연주법 등에서 상당히 비슷했지만 발전을 거치면서 차별화되었다. 넥은 산지(酸枝, suanzhi) 혹은 자단(紫檀, zitan) 등의 견목을 사용하며 만들며, 끄트머리는 그냥 밋밋하게 처리하거나 용머리 혹은 여의를 장식한다. 울림통은 견목을 덧댄 대나무로 제작하고, 얼후가오후와는 달리 울림통 뒷편을 격자 세공으로 마감하지 않는다.

한편 활은 다른 호금 계열 악기와 달리 두꺼운 대나무와 철사로 만들었는데, 현대 연주자들은 더 가볍고 쓰기 편한 얼후 활로 대체하여 연주허는 추세이다.
이인에는 2가지 종류가 있다.
  • 봉지 이인: 봉지(梆子, bongjee)에서 연주하며 A-E로 조정된다. 현대에는 장르 불문하고 이쪽이 더 많이 쓰인다.
  • 이웡 이인: 이웡(二黃, yiwong)에서 연주하며 G-D로 조정된다.

2.3. 응앙공[편집]

상술한 광둥성 전통 가극은 고공월극()이라고 하는데, 여기 쓰이는 악기들을 통틀어 응앙공(, ngaang6 gung1)이라고 한다. 한국 한자음으로 읽으면 "경궁"인데, 이는 단단한 활로 연주하는 악기들이라는 뜻이다.

응앙공에는 이인을 비롯하여 죽타이캄, 위엣캄, 쌈인, 둔통 등이 포함되며, 이인은 고공월극의 3대 창법 중 하나인 대후(大喉)와 어울려 연주된다.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
이 저작물은 CC BY-NC-SA 2.0 KR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단, 라이선스가 명시된 일부 문서 및 삽화 제외)
기여하신 문서의 저작권은 각 기여자에게 있으며, 각 기여자는 기여하신 부분의 저작권을 갖습니다.

나무위키는 백과사전이 아니며 검증되지 않았거나, 편향적이거나, 잘못된 서술이 있을 수 있습니다.
나무위키는 위키위키입니다. 여러분이 직접 문서를 고칠 수 있으며, 다른 사람의 의견을 원할 경우 직접 토론을 발제할 수 있습니다.

  •  
  •  
  •  
  •  
  •  
  •  
  •  
  •  
  •  
  •  
  •  
  •  
  •  
  •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