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 BACK << -|- >> HOME <<)

장치천

최근 수정 시각:
2
편집
현재 사용중인 아이피가 ACL그룹 IDC #12915에 있기 때문에 편집 권한이 부족합니다.
만료일 : 무기한
사유 : IDC(AS26496)
토론 역사
[ 펼치기 · 접기 ]
총리
중앙집행위원회 상무위원회 주석
총재
초대
쑨원
초대
장징장
제2대
장제스
초대 (재설치)
후한민
초대
장제스
중앙위원회 주석
초대
장징궈
주석
초대
장징궈
제3대
롄잔
제4대
마잉주
제5대
우보슝
제6대
마잉주
제7대
주리룬
제8대
훙슈주
제9대
우둔이
제10대
장치천
제11대
주리룬

제10대 중국국민당 주석
제11계 중화민국 입법원 부원장
장치천
江啟臣(강계신) | Johnny Chiang Chi-chen[1]
110009
출생
국적
학력
소속정당
경력
행정원 신문국장(2010~2011)
중화민국 입법위원[3] (2012~ 현직)
중화민국 국민당 주석 (2020 ~ 2021)
중화민국 입법원 부원장(2024~ 현직)

1. 개요2. 상세3. 중국국민당 주석4. 이후5. 기타6. 선거 이력7. 둘러보기

1. 개요[편집]

대만의 정치인. 제10대 중국국민당 주석을 했으며, 현재 제11대 대만 입법원 부원장이다.

2. 상세[편집]

1972년 3월 2일 타이중에서 태어났다. 국립정치대학 외교학과를 졸업하고 군복무를 마친 뒤, 미국으로 유학을 떠나 사우스캐롤라이나 대학교에서 정치학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이후 대만으로 귀국해 대만경제연구소 연구원과 동우대학 교수를 역임했다가 2010년 마잉주 정부에서 행정원 신문국장(대변인)직을 맡으며 정계에 입문했다. 2012년 행정원 신문국장을 사퇴하고 고향인 타이중 8선거구에서 열린 입법위원 선거에 출마해 당선되었고, 2016년과 2020년 연이어 재선, 3선에 성공해 3선 의원이 됐다.
2020년 3월 중국국민당 전당대회에서 주석 보궐 선거[4]에 출마, 무려 68%의 득표율을 얻어 과거 국민당의 실력자였던 하오보춘의 아들 하오룽빈 전 타이베이 시장을 압도적으로 누르고 주석에 당선됐다. 역대 국민당 주석 가운데 최연소로 당선된 그는 중도우파 성향에 자유민주주의를 중시하는 스타일로, 양안관계92공식에 있어서도 기존 국민당의 양안통일주의적 경향에서 벗어나, 젊은 대만인들의 의견에 맞게 전면적 재조정을 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2020년 5월에는 차이잉원 총통이 홍콩 민주화 운동에 대한 재차 지지표명을 하자, "차이잉원 총통은 그간 말로만 홍콩 민주화 운동을 지지한다고 했지 홍콩에 실질적 도움을 준 적이 없다"며 비판하고, "차이 총통은 말로만 홍콩 민주화 운동을 지지한다고 할 게 아니라 행동으로도 지지하는 모습을 보여야 한다"는 급진적인 주장을 하기까지 했다. 이러한 국민당 내 비주류 출신 성향으로서 기존 중화 내셔널리즘+보수주의가 아닌 대만 청년층의 의사에 어느 정도 부합하는 화독 리버럴에 가까운 중도적 성향 때문에 장치천이 국민당 주석에 선출되자 중국공산당은 15년만에 축전을 보내지 않았다.

그러나 이같은 성향이 마잉주 전 총통[5] 등 국민당 주류의 불만을 샀는지 장치천 주석의 바람과는 달리 2020년 9월 6일 중국국민당 전국대표자회의에서는 92공식 당론유지가 결정되었으며, 장치천 주석 본인 또한 92공식과 양안교류를 반대하는 게 아니라는 해명을 해야 했다.#

다만 해당 전국대표자회의가 장치천 주석 입장에서 나쁜 것만은 아니었는데, 92공식과 양안교류에 대한 부분은 기존의 당론 그대로 유지되었지만, 중앙위원회 구성의 50%를 청년, 여성, 취약계층에 할당하도록 했고, 일국양제에 대한 반대를 당론[6]으로 명확하게 채택했다.# 장 주석 입장에선 이걸 계기로 당을 좀 더 확실히 장악할 기회를 마련한 셈이다.

2020년 9월 19일 중화인민공화국 샤먼시에서 개최될 예정인 중화인민공화국과의 해협포럼에 당 차원에서 불참하기로 결정하며 중공과의 선을 다시 한 번 그었다.[7] 해협포럼(海峽論壇)은 양안간 대화 및 교류활성화를 목적으로 매년 9월 푸젠성 샤먼시에서 중공 측 대표단과 대만 측 대표단이 만나는 행사로 중국국민당은 2009년 첫 개최 이래 매년 대표단을 파견해왔는데 이 전통을 장치천 주석이 처음으로 깨뜨린 것이다.

2020년 10월 6일 여당인 민주진보당과 함께 중화민국 입법원에서 미국에 안보지원을 요구하는 결의안과 대미수교를 요청하는 결의안을 초당적으로 통과시켰다. 중화인민공화국은 이에 불만을 표했지만 장치천 주석은 국민당 개혁을 계속해서 추진해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 2021년에는 중국공산당 창당 100주년 기념식에 어떤 축하 메시지도 보내지 않았다.

2021년 9월 당 주석 재선에 도전했지만, 후보 4명 가운데 3위에 그치며 낙선했다. 결국 후임 당 주석에는 정계 선배이자 5년전 당 대선 후보였던 주리룬이 당선되었다.

4. 이후[편집]

2023년부터 허우유이 국민당 후보를 보조하여 차기 입법위원 유세 활동하고 있다.

본인은 2024년 1월 열린 입법위원 선거에서 57% 득표율로 압승하고 4선 고지에 올랐다. 이후 한궈위와 러닝메이트를 형성해 입법원 부원장직에 도전하게 됐다.

입법원 부원장 선거에서 자당 소속 입법위원 52명과 국민당 탈당파 무소속 입법위원 2명의 지지를 얻어 1위를 차지했으나, 과반에 미달해 2차 투표를 거치게 되었다. 2차 투표는 과반에 미달해도 1위를 얻으면 그 후보가 바로 당선되는 시스템인데, 8석을 가진 민중당 입법위원들이 입법원장 선거 때처럼 전부 기권하거나 국민당 측에 표를 몰아주면 국민당은 행정권을 가지는 대선은 졌지만 라이칭더 총통 임기 4년동안 의회권력을 쥘 수 있게 된다.

민중당 입법위원들이 입법원장 선거 때처럼, 입법부원장 2차 투표에서도 전부 기권했고 국민당 장치천 54표, 민진당 차이치창 51표로 유효투표의 과반 이상 얻어 국민당이 입법원장-입법부원장 전부 가져가게 되었다.

5. 기타[편집]

6. 선거 이력[편집]

연도
선거 종류
선거구
소속 정당
득표수 (득표율)
당선 여부
비고
2012
69,136 (44.77%)
당선 (1위)
초선
2016
72,024 (49.62%)
당선 (1위)
재선
2020
94,750 (59.03%)
당선 (1위)
3선
2024
88,651 (57.86%)
당선(1위)
4선

7. 둘러보기[편집]

[ 구역 (지역구) ]
공석
[ 원주민 ]
정톈차이
천잉
랴오궈둥
가오진수메이
쿵원지
우리화
[ 전국부분구 (비례) ]

[1] 영어 기사에는 조니 창(Johnny Chiang)로 쓴다. 비슷한 사례로는 쑹추위가 James Soong을 쓴다. 한어병음으로는 Jiāng Qǐchén[2]타이중직할시 펑위안구[3] 한국의 국회의원에 해당하는 직책이다.[4] 전임자 우둔이가 대선 패배 책임을 지고 사퇴[5] 마잉주 전 총통이나 롄잔 국민당 명예주석 등 국민당 주류파 인사들은 92공식을 중요시하는 경향이 있다.[6] 비록 그 전에도 한궈위, 우둔이 같은 국민당 정치인들이 일국양제를 반대한다는 의사를 명확하게 공개적으로 얘기하긴 했으나 훙슈주와 같이 노골적으로 일국양제를 주장하던 정치인들도 국민당에 있었다는 점에서 장치천 주석 입장에서는 큰 진전이다.[7] 원래는 이번에도 국민당측에서 대표단을 보낼 계획이었는데, 포럼 직전 중국 관영 CCTV의 아나운서가 장 주석 등 국민당 신 지도부의 탈중국 노선을 비난하며 "국민당의 해협포럼 참석은 평화를 구걸하려는 것"이라고 폄하하는 발언을 했다. 이에 국민당은 대표단 파견을 취소하기로 결정했다.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
이 저작물은 CC BY-NC-SA 2.0 KR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단, 라이선스가 명시된 일부 문서 및 삽화 제외)
기여하신 문서의 저작권은 각 기여자에게 있으며, 각 기여자는 기여하신 부분의 저작권을 갖습니다.

나무위키는 백과사전이 아니며 검증되지 않았거나, 편향적이거나, 잘못된 서술이 있을 수 있습니다.
나무위키는 위키위키입니다. 여러분이 직접 문서를 고칠 수 있으며, 다른 사람의 의견을 원할 경우 직접 토론을 발제할 수 있습니다.

  •  
  •  
  •  
  •  
  •  
  •  
  •  
  •  
  •  
  •  
  •  
  •  
  •  
  •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