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 BACK << -|- >> HOME <<)

수협은행

최근 수정 시각:
6
편집
현재 사용중인 아이피가 ACL그룹 IDC #12915에 있기 때문에 편집 권한이 부족합니다.
만료일 : 무기한
사유 : IDC(AS26496)
토론 역사
수협은행 로고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 펼치기 · 접기 ]
국제통화기구
다자개발은행
기타
여신전문
금융회사
농·축협(NACF) ‧ 회원수협(NFFC) ‧ 신협(CU) ‧ 산림조합(NFCF) ‧ 새마을금고(KFCC) ‧ 상호저축은행
어음교환소/네트워크

[ 펼치기 · 접기 ]
한국은행 행표 및 CI한국은행 행표 및 CI (로고...
국내은행
국책은행
한국산업은행 CI한국산업은행 CI 화이트 | 중소기업은행 로고중소기업은행 로고 화이트 | 한국수출입은행 로고한국수출입은행 로고 화이트
특수은행
수협은행 로고 | NH농협은행 로고
시중은행
KB국민은행 로고KB국민은행 로고 화이트 | 우리은행 CI우리은행 CI 화이트 | SC제일은행 로고SC제일은행 로고 화이트 | 씨티은행 로고씨티은행 로고 화이트 | iM뱅크 로고iM뱅크 흰색 로고 | 하나은행 로고하나은행 로고 화이트 | 신한은행 베이직 로고신한은행 베이직 로고 (흰색)
BNK부산은행 로고BNK부산은행 로고 화이트 | 광주은행 로고광주은행 로고 화이트 | 제주은행 베이직 로고제주은행 베이직 로고 (흰색) | 전북은행 로고전북은행 로고 화이트 | BNK경남은행 로고BNK경남은행 로고 화이트
케이뱅크 로고케이뱅크 로고 화이트 | 카카오뱅크 로고카카오뱅크 로고 화이트 | 토스뱅크 로고토스 뱅크 정식 로고 (흰색 ...
외국은행의 국내지점
모건 스탠리 로고
|
HSBC 로고
|
도이체방크 로고(1973-20...
|
체이스 뱅크 로고
|
미즈호 은행 로고
|
미쓰비시 UFJ 은행 로고
|
미쓰이스미토모은행 로고
|
뱅크 오브 아메리카 로고
|
BNP 파리바 로고

유니크레딧 로고
|
중국공상은행 로고
|
중국은행 로고
|
중국광대은행 로고
|
대화은행 로고
|
교통은행 로고
|
중국농업은행 로고
|
중국건설은행 로고
|
BNI 로고
|
스테이트 뱅크 오브 인디아 로...

ING(기업) 로고
⊛ : 소매금융 미취급 은행 | ㉨ : 지방은행에서 전환된 은행
(지로코드순 정렬)
Sh수협은행[1]
水協銀行 | Suhyup Bank
수협은행 로고
007
NFFCKRSE
취급 통화
USD, JPY, GBP, CHF, EUR, CAD, AUD
웹 사이트
수협은행 로고 | 유튜브 아이콘
국고수납대리점
외국환은행[2]
1. 개요2. 역사3. 마스코트4. 지배 구조5. 역대 은행장6. 상품7. 여담8. 해외 법인9. 연결가능한 롯데카드 상품

1. 개요[편집]

SHBANKMAIN
본관
shbankannex
별관

suhyupsymbol수산업협동조합 산하 특수 은행. 본점은 서울특별시 송파구 오금로 62 (신천동) 소재. 별관은 서울특별시 송파구 올림픽로 340 소재.

은행은 원래 은행법 제8조에 따른 허가를 받아야지만 은행업을 할 수 있지만[3] 수협은행은 특별법에 따라 설립된 특수법인[4]으로 은행업 허가 없이 은행업무를 할 수 있다.[5] 당연히 예금자보호법도 적용받고 3대 국책은행인 KDB산업은행[6], IBK기업은행[7], 한국수출입은행[8]처럼 법에 의해 정부가 손실을 메워 줄 수 있다.[9]

2. 역사[편집]

과거 수협법에 의해 수협중앙회의 신용사업 부문을 영위하든 회사를 일컫는 용어로[10] 수협법 개정에 의해[12] 2016년 12월 1일 수협중앙회와 수협은행이 분리되어 수협중앙회가 수협은행의 지분 100%를 가지게 되었다.

3. 마스코트[편집]

수협은행프렌즈
HEY 프렌즈라는 이름으로 왼쪽부터 아라, 라온, 아리이다. 모티브는 인어 및 돌고래이다.

4. 지배 구조[편집]

2019년 10월 기준.
주주명
지분율
100%

5. 역대 은행장[편집]

  • 이원태 (2016~2017)
  • 이동빈 (2017~2020)
  • 김진균 (2020~2022)
  • 강신숙 (2022~ )

6. 상품[편집]

2012년 6월 8일 조건 없이 무제한으로 모든 은행 ATM 출금 및 인터넷/모바일/폰뱅킹 타행이체 수수료가 면제되는 하이 앤 프리 통장이 출시되었다.
2016년 1월 4일 Sh평생주거래우대통장으로 상품명 변경.

설립 취지를 반영하여 디지털독도점을 운영하고 영업점 입구에도 독도와의 거리를 표기하고 있다.
또 과거 명태 살리기 프로젝트를 지원하는 '명태야적금'을 운영했고 요즘은 '해양플라스틱 예금·적금'을 통해 해양플라스틱 감소운동을 하고 있다. 예금은 1년, 적금은 최대 3년까지 월 100만원 한도내의 정액 혹은 20만원 한도내의 자유로 가입이 가능하다.

그 외에도 여러 예금상품을 운용 중인데 대체로 5대은행보다는 높고 새마을이나 신협같은 2금융보다는 낮은 금리를 보여준다.
대출 금리도 비슷하게 5대은행보다는 높고 2금융보다는 낮은 금리로 운용 중이다.

실물통장으로 ATM 이용시 비밀번호 외 6자리 ATM비밀번호가 필요하고 일정기간동안 사용하지 않으면 자동으로 ATM 사용이 막히므로 창구에 가서 다시 풀어야 한다. 비대면으로 만들었다면 실물통장 발행시 통장발행수수료가 부가되기 때문에 웬만하면 무통장식으로 쓰자.
한도제한계좌제를 시행하며, 일정 조건을 만족하면 자동으로 해제되거나 지점 방문해서 해제할 수 있다.
상세 내용 아이콘   자세한 내용은 수협은행/카드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3. 애플리케이션[편집]

  • 파트너뱅크 개인 : 은행업무나 수협카드,수협보험 등의 업무를 한번에 할 수 있다. 해양수산금융파트가 있는 점이 특이점. 만약 딩동이라는 거래내역 무료 알림서비스[13]를 받으려면 필수사용이다.
  • 파트너뱅크 기업 : 기업 전용 어플로 개인어플에 아이디별 로그인 및 구매카드, 다단계결제 시스템이나 결재 시스템이 추가되어 있음.
  • 헤이뱅크 : 심플버젼으로 KB리브나 NH콕 라인의 포지션으로 이해하면 된다.(알림기능 안됨)

수협은행 전자금융의 큰 단점이라면, 비대면으로 계좌이체 한도를 상향할 수 없다는 것이다.

7. 여담[편집]

기관
해양환경공단
한국어촌어항공단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학교
부경대학교
  • 부산광역시 소재 부경대학교의 주거래 은행이며 학생증이 수협의 체크카드 기능을 한다. 4년제 대학 안에 출장소나 일반 지점도 아니고 금융센터가 통째로 들어앉아 있는데 부경대학교의 전신이 부산수산대학교라서 그렇다. 김임권 전 수협중앙회장이 부산수산대학교 출신이었다.
  • 원래 수협 로고는 파란색 원 안에 흰 물고기 4마리가 들어있는 건데, 바탕색이 파란색이거나 비슷한 색일때를 위한, 흰색 원 안에 퍼런 물고기 4마리가 들어있는 색반전 버전도 있다.
  • 한국선박금융의 지분을 8% 가량 가지고 있는데 카 페리 운항에도 관심이 있어 보인다.
  • 지점망이 전국적으로 130개소로 기본 업무를 공유하는 회원조합 506개소를 포함하면 총 636개인데 지점망이 주로 해안 지역에 분포해있으며 바다가 없는 충북은 상당구빼고 찾아볼수 없다.

8. 해외 법인[편집]

  • 미얀마: 2019년 수협 마이크로파이낸스 미얀마 법인 설립

9. 연결가능한 롯데카드 상품[편집]

  • 전상품 현금카드 연결은 불가능하며 은련과국내용에 한해 연결이 가능하나 위클리와 세븐일레븐 카드는 예외적으로 비자카드 연결이 가능하며 자세한 설명은롯데카드/카드 상품항목에 있다.
    롯데체크카드
  • 롯데 체크카드:기본 0.2% 적립
롯데 포인트플러스 체크카드
상품명
브랜드
연회비
비고
롯데 포인트플러스 체크카드
유니온 페이 로고 (2022)
면제
Local

롯데 I♥Busan 체크카드
상품명
브랜드
연회비
비고
I♥Busan 체크카드
Local
면제

롯데 위클리 체크카드
상품명
브랜드
연회비
비고
위클리 체크카드
비자카드 로고
면제
유니온 페이 로고 (2022)
캐시비 선택 불가
Local

Likit fun 체크
상품명
브랜드
연회비
비고
LIKIT FUN 체크카드
Local
면제
롯데 LIKIT ALL 체크카...
상품명
브랜드
연회비
비고
LIKIT ALL 체크카드
Local
면제
롯데 LIKIT ON 체크카드
상품명
브랜드
연회비
비고
LIKIT ON 체크카드
Local
면제

롯데 세븐일레븐 멤버쉽 체크카...
상품명
브랜드
연회비
비고
비자카드 로고
면제
Local

롯데 뉴롯데시네마 체크카드
상품명
브랜드
연회비
비고
Local
면제


[1] 등기상 명칭은 수협은행이다.[2] 중앙회에서만 해외송금, 송금수표 발행 등의 외환업무를 할 수 있다. 수취는 중앙회, 지역수협 둘 다 가능. 동전 환전은 불가.[3] 지역 농·축협, 지역 수협, 저축은행, 산림조합, 신협, 새마을금고는 은행법상 은행이 아니다. 따라서 은행이 취급할 수 있는 업무에 비해 취급할 수 있는 영역이 제한적이다. 예를 들면 외환업무나 신용카드 업무(이건 여신전문금융업법상 제한에 의한 것)[4] 이와 유사한 경우로는 한국산업은행, 중소기업은행, 농협은행 등이 있다.[5] 그래서, 특수은행으로 분류되고 있다.[6] 한국산업은행법 제26조(채권에 대한 정부보증), 제32조(손실금의 보전)[7] 중소기업은행법 제36조의5(채권에 대한 정부 보증), 제43조(손실금의 보전)[8] 한국수출입은행법 제20조(수출입금융채권), 제37조(손실금의 보전)[9] 단 수산업협동조합법을 보면 한국산업은행법, 중소기업은행법에서 '정부가 보전한다'라고 명시된 것과는 달리, '지원해 줄 수 있다'고만 되어 있다.[10] 신용부문을 제외한 지도경제사업부문이 2011~2014년 동안 4년 연속 영업 적자일 정도라 2010년대 들어 썩 신통치 못한 편. 그래도 어떻게든 수산물을 팔아보고자 용산에 면세점까지 뚫어놨다. 수협법에 의거 경제/지도[11]/상호 등 다른 사업은 아예 자본을 별도로 관리하고 있었다.[11] 지도라는 단어가 생소할 수 있는데, 과거 관치의 잔재라 볼 수 있다. 지방직공무원 중 지도직공무원이라는 게 있는데 농촌지도관/농촌지도사와 어촌지도관/어촌지도사 2계급 체계로 구성되어 있다.[12] 수산업협동조합법 제141조의4[13] 신한SOL알리미, KB스타알림과 유사.[14] 여타 시중은행도 재무관료 낙하산 출신이 많지만 수협은행도 구조상 정부 관료 출신이 낙하산 타기 좋은 형태다.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
이 저작물은 CC BY-NC-SA 2.0 KR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단, 라이선스가 명시된 일부 문서 및 삽화 제외)
기여하신 문서의 저작권은 각 기여자에게 있으며, 각 기여자는 기여하신 부분의 저작권을 갖습니다.

나무위키는 백과사전이 아니며 검증되지 않았거나, 편향적이거나, 잘못된 서술이 있을 수 있습니다.
나무위키는 위키위키입니다. 여러분이 직접 문서를 고칠 수 있으며, 다른 사람의 의견을 원할 경우 직접 토론을 발제할 수 있습니다.

  •  
  •  
  •  
  •  
  •  
  •  
  •  
  •  
  •  
  •  
  •  
  •  
  •  
  •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