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 BACK << -|- >> HOME <<)

국민통합위원회

최근 수정 시각:
10
편집
현재 사용중인 아이피가 ACL그룹 IDC #12915에 있기 때문에 편집 권한이 부족합니다.
만료일 : 무기한
사유 : IDC(AS26496)
토론 역사
[ 펼치기 · 접기 ]
구성
여당
정책 방향
기타
타임라인
출범 이전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별도 문서가 없는 평가 및 논란은 해당 주제 관련 문서를 참고
윤석열 개인과 관련된 문서는 틀:윤석열 참고
국민통합위원회
國民統合委員會
Presidential Committee of National Cohesion
국민통합위원회 로고
출범일
슬로건
하나되는 대한민국, 우리나라 대한민국
활동 기간[1]
소재지

위원장
링크
홈페이지 아이콘 유튜브 아이콘 인스타그램 아이콘 페이스북 아이콘
1. 개요2. 기능3. 조직
3.1. 구성
4. 활동5. 역대 위원장6. 여담7. 둘러보기

1. 개요[편집]

제1조(목적) 이 영은 우리 사회에 내재된 상처와 갈등을 치유하고 국민통합을 위한 정책 및 사업 등을 효과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국민통합위원회를 설치하고, 그 구성 및 운영 등에 필요한 사항을 규정함을 목적으로 한다.

제2조(설치 및 기능) 국민통합을 위한 다음 각 호의 사항에 관하여 대통령의 자문에 응하기 위해 대통령 소속으로 국민통합위원회를 둔다.
국민통합위원회의 설치 및 운영에 관한 규정(대통령령)
국민통합위원회는 국민통합을 위한 사항을 추진하기 위해 설치된 대통령 직속 자문위원회이다.

국민통합위원회 로고(정부상징)
출범 초기의 로고

2022년 5월 30일, 윤석열 정부에서 국무회의 의결을 통해 '국민통합위원회의 설치 및 운영에 관한 규정'이 대통령령으로 공포되었다. 정식 출범은 2022년 7월 27일이 이루어졌다.

2022년 7월 27일, 윤석열 대통령이 참석한 가운데 국민통합위원회 출범식이 진행되었다.

2. 기능[편집]

제2조(설치 및 기능) 국민통합을 위한 다음 각 호의 사항에 관하여 대통령의 자문에 응하기 위해 대통령 소속으로 국민통합위원회를 둔다.
1. 국민통합을 위한 기본 방향
2. 국민통합을 위한 국가전략의 수립·변경 및 시행
3. 국민통합에 관한 정책의 조정·평가 및 지원
4. 국민적 통합가치의 도출 및 확산
5. 국민통합 공감대 형성 및 문화 확산
6. 사회 갈등의 예방 및 해결
7. 국민통합에 관한 의견 수렴 및 소통 활성화
8. 국민통합에 관한 법제도의 제정·개정 및 폐지
9. 국민통합에 관한 교육·조사·연구 및 모니터링
10. 그 밖에 국민통합에 관한 사항으로서 대통령이 위원회에 자문할 필요가 있다고 인정하거나 위원회의 위원장이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사항

3. 조직[편집]

국민통합위원회는 위원장 1명과 3명 이내의 부위원장, 당연직과 위촉직 위원을 포함하여 39명 이내로 구성한다. 당연직 위원으로는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장관, 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법무부장관, 행정안전부장관, 문화체육관광부장관, 보건복지부장관, 고용노동부장관, 여성가족부장관, 중소벤처기업부장관국무조정실장이 참여한다. 그리고 그 외 국민통합에 관한 학식과 경험이 풍부한 사람으로서 성별을 고려한 사람을 대통령이 위원으로 위촉할 수 있다. 위촉직 위원의 임기는 1년으로 한다. 다만, 위원의 사임 등으로 새로 위촉된 위원의 임기는 전임 위원 임기의 남은 기간으로 한다. 그리고 위촉직 위원은 임기가 만료된 경우에도 후임 위원이 위촉될 때까지 그 직무를 수행할 수 있다.

위원장은 위촉직 위원들 중에서 대통령이 지명하고, 부위원장은 위촉직 위원 중에서 호선(互選)한다.

위원회의 업무를 지원하기 위해 위원회에 간사위원 1명을 둔다.

또한, 필요한 경우 위원회 내에 각 분야별 분과위원회와 국민통합과 관련된 주요 현안 또는 정책방향을 연구·검토하는 특별위원회를 두거나, 지역 단위의 화합과 통합 증진을 위한 정책 및 사업 추진을 효과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1개 이상의 특별시, 광역시, 특별자치시, 도 및 특별자치도를 대상으로 하는 지역협의회를 둘 수 있다. 그리고 관계 전문가로 구성된 자문단을 설치·운영할 수 있다.

그리고 산하에 위원회의 업무 및 운영을 지원하는 위원회에 국민통합지원단이 있다. 지원단장은 관계 중앙행정기관에서 파견된 공무원이나 국민통합에 관한 학식과 경험이 풍부한 민간 전문가 중에서 위원장이 지명하거나 위촉한다. 필요한 경우에는 대통령비서실의 국민통합 관련 업무를 담당하는 비서관이 지원단의 단장을 겸임할 수 있다.
윤석열 정부 2022.07.27~
직위
성명
비고
위원장
제20대 대통령직인수위원회
국민통합위원회 위원장
부위원장
공석
위원(당연직)
1기 위원 2022.07~2023.08
[ 펼치기 · 접기 ]
직위
성명
비고
기획 분과위원장
정치·지역 분과위원장
경제·계층 분과위원장
사회·문화 분과위원장
윤정로
울산과학기술원 석좌교수
위원
내가꿈꾸는나라 공동대표, 미래당 정책자문
이우영
차인순
국회의정연수원 겸임교수
한양대학교 겸임교수
이현출
광주새날학교 명예이사장
하림그룹 회장
김희정
째깍악어 대표
이수형
서울대학교 국제대학원 부교수
이정재
중앙일보 논설위원
한정화
국립발레단 단장
방문석
국립교통재활병원 원장(서울대학교 의과대학 교수)
한국방송예술인단체협의회 회장, 배우
정의당 이주민인권특별위원장(전 국회의원)
국민대학교 전임연구교수(전 국회의원)
임현진
서울대학교 명예교수
정순둘
전직 위원
* 비고란의 직책은 위촉 당시의 직책으로 기재하였음.

4. 활동[편집]

5. 역대 위원장[편집]

[ 펼치기 · 접기 ]
국민통합위원회 위원장 (2022~현재)
초대
김한길

6. 여담[편집]

  • 장예찬발언[5]을 보면 친윤이나 윤핵관 내에서는 위원장을 국무총리급 직제로 보는 듯 하다. 실제로 경제부총리와 사회부총리, 사회부문 장관들을 당연직 위원으로 두고 있어 총리급으로 봐도 무방하긴 하다.
  • 전직 민주당이나 전직 진보계열 출신 인사가 유독 많다. 위원장인 김한길새정치민주연합 공동대표 출신으로 아직 민생당 소속으로 완전히 전향하지 않은 상태며, 최재천 변호사는 새정치민주연합 정책위의장이었고, 우석훈 교수는 "슬기로운 좌파생활"의 저자로 진보정당인 미래당의 자문을 맡기도 했다. 임재훈, 최명길 전 의원과 최원식 전 의원은 과거 민주당 소속이었다가 현재는 국민의힘 진영에 있다. 심지어 이자스민 위원은 전직 보수에 현직 진보계열로, 한때 새누리당 의원이었으나 아웃사이더 신세를 못 면하고 아예 정의당으로 이적한 상태다.
    • 김한길이 위원장이고 중도, 진보 정당 출신 인사들이 포진해 있다는 점에서 새시대준비위원회와도 유사하다.

7. 둘러보기[편집]

[1] 국민통합위원회의 설치 및 운영에 관한 규정(대통령령)에 의한 존속기한[2] 직전 장관인 김현숙의 장관직 사퇴로 현재 신영숙 차관이 장관직을 대행 중.[3] 안철수의 당대표 경선 선대위원장을 맡았다는 이유로 해촉당함[4] 전 새정치민주연합 대표 / 제15·16·17·19대 국회의원 / 문화관광부 장관[5] 인수위 때부터 국민통합위원회라는 게 설치됐거든요. 이게 총리급으로 지금 김한길 위원장께서 임명이 공식적으로 되셨는데 국민통합위원회에서 또 김한길 위원장 총리급이지 않습니까.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
이 저작물은 CC BY-NC-SA 2.0 KR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단, 라이선스가 명시된 일부 문서 및 삽화 제외)
기여하신 문서의 저작권은 각 기여자에게 있으며, 각 기여자는 기여하신 부분의 저작권을 갖습니다.

나무위키는 백과사전이 아니며 검증되지 않았거나, 편향적이거나, 잘못된 서술이 있을 수 있습니다.
나무위키는 위키위키입니다. 여러분이 직접 문서를 고칠 수 있으며, 다른 사람의 의견을 원할 경우 직접 토론을 발제할 수 있습니다.

  •  
  •  
  •  
  •  
  •  
  •  
  •  
  •  
  •  
  •  
  •  
  •  
  •  
  •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