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 BACK << -|- >> HOME <<)

구아바

최근 수정 시각:
5
편집
현재 사용중인 아이피가 ACL그룹 IDC #12915에 있기 때문에 편집 권한이 부족합니다.
만료일 : 무기한
사유 : IDC(AS26496)
토론 역사
다른 뜻 아이콘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구아바(동음이의어)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이 문서는
이 문단은
토론을 통해 표제어를 '구아바'로 한다로 합의되었습니다. 합의된 부분을 토론 없이 수정할 시 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
아래 토론들로 합의된 편집방침이 적용됩니다. 합의된 부분을 토론 없이 수정할 시 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
[ 내용 펼치기 · 접기 ]
토론 - 표제어를 '구아바'로 한다

토론 - 합의사항2

토론 - 합의사항3
토론 - 합의사항4
토론 - 합의사항5
토론 - 합의사항6
토론 - 합의사항7
토론 - 합의사항8
토론 - 합의사항9
토론 - 합의사항10
토론 - 합의사항11
토론 - 합의사항12
토론 - 합의사항13
토론 - 합의사항14
토론 - 합의사항15
토론 - 합의사항16
토론 - 합의사항17
토론 - 합의사항18
토론 - 합의사항19
토론 - 합의사항20
토론 - 합의사항21
토론 - 합의사항22
토론 - 합의사항23
토론 - 합의사항24
토론 - 합의사항25
토론 - 합의사항26
토론 - 합의사항27
토론 - 합의사항28
토론 - 합의사항29
토론 - 합의사항30
토론 - 합의사항31
토론 - 합의사항32
토론 - 합의사항33
토론 - 합의사항34
토론 - 합의사항35
토론 - 합의사항36
토론 - 합의사항37
토론 - 합의사항38
토론 - 합의사항39
토론 - 합의사항40
토론 - 합의사항41
토론 - 합의사항42
토론 - 합의사항43
토론 - 합의사항44
토론 - 합의사항45
토론 - 합의사항46
토론 - 합의사항47
토론 - 합의사항48
토론 - 합의사항49
토론 - 합의사항50
[ 펼치기 · 접기 ]
장미
산딸기
벚나무
기타
진달래과
무환자나무과
박과
뽕나무과
선인장과
포도과
기타
재배
과일
수입
과일
: 과채류 · : 일반적으로 과일/견과류보다 종자에 가까움 · : 일반적으로 산지에 가야 먹을 수 있음
그외 비가공 식품 및 재배물 틀: 고기 · 곡물 · 과일 · 채소 · 해조류 · 향신료
구아바
| Guava
과일 구아바
학명
''Psidium guajava '''
Linné
분류
진핵생물역(Eukaryota)
식물계(Plantae)
속씨식물문(Angiospermae)
쌍떡잎식물강(Magnoliopsida)
도금양목(Myrtales)
도금양과(Myrtaceae)
프시디움속(Psidium)
구아바

1. 개요2. 식생
2.1. 나무2.2. 열매
3. 품종4. 매체5. 여담

1. 개요[편집]

열대 과일의 일종.

일반적으로는 '구아바'라고 불리고, 농림진흥청에서도 그렇게 표기하지만, 표준국어대사전에 등재된 표준어는 '구아버'. 대체 왜 이런 괴상한 표기가 표준어인지 의아할 수 있는데, [ə]로 발음되는 영어의 어말 a를 '어'로 적던 옛 관습의 영향이다. 같은 피해자로 saga가 있었으나, 이쪽은 표준어가 사거라는 게 알려지기도 전에 사가로 표준 표기가 고쳐졌다.

원어 발음대로 '과바'라고도 하며, 영어에서도 이 발음을 따라해 '과버' 정도로 읽는다.

타이완 사람들은 芭樂(바러)라고 부르며 즐겨 먹는다. 대만어 명칭은 菝仔(뽜라).

2. 식생[편집]

구아바 나무는 7m 정도 되는데, 잎을 꾹 누르면 기분 좋은 향기가 퍼지기 때문에 허브의 일종이기도 하다. 월계수와 향이 유사하면서도 월계수잎과 달리 쓴맛이 없기 때문에 월계수잎을 대체하는 향신료로도 사용된다.
맛이 굉장히 심심하고 질감이 사과와 비슷한데, 굳이 맛을 표현하자면 종이 정도의 맛이다. 품종에 따라 조금씩 다르기는 하지만 모두 옅은 맛이다. 비타민 워터나 2프로 부족할 때보다 더 옅다.

먹을 때도 사과처럼 잘라서 먹으면 생긴 모양이 100퍼센트 사과라서 무심코 먹었다가 난감한 기분이 드는 경우가 많다. 더 익어서 노랗게 되면 향만큼은 다른 과일들을 압도할 정도로 향긋하고 달콤하며, 질감은 서양배와 비슷한 느낌이지만 맛만큼은 그렇게 크게 달지 않다.

다른 것보다도 씨가 문젠데, 똑같이 씨가 많아도 한쪽에 뭉쳐 있는 파파야 같은 것과 달리 구아바는 과육 전체에 포도씨보다 더 단단한 씨앗들이 퍼져 있어서 과육 자체로 먹기가 대단히 난감하다. 그 단단함은 피스타치오 껍질과 비견할 수 있다.

동남아에서는 덜 익은 구아바를 소금에 찍어 먹기도 한다. 베트남에서는 고춧가루를 섞은 소금(muối ô mai)을 쓰는데, 소금의 짠맛으로 인해 은은한 단맛이 올라오는 게 은근 김치를 먹는 느낌이 들기도 한다. 태국에서는 편의점에서 썰어놓은 구아바와 소금을 세트로 판다.

구아바로 만드는 과자와 음료수가 상당히 많이 있다. 그런데, 그것의 대부분은 한국에 수입되고 있지 않다. 또 로도 만들기도 한다. 오렌지 주스토마토 주스를 섞으면 구아바 맛 주스가 된다.

3. 품종[편집]

한국인 입맛에 가장 맞는 구아바 종류로는 '파인애플 구아바'가 있으며, 이것을 '페이조아'라고 한다. 브라질이 원산지이며, 열대 식물인데도 의외로 -10도까지 버틴다. 이 구아바의 식감은 배와 바나나를 합쳐놓은 듯한 식감이다. 가운데 부분은 바나나처럼 매우 부드럽지만, 껍질 근처에 가면 배같이 사그락거리는 식감이 된다.

또 열매 자체에서 기묘한 향이 나는 편이라 이 열매 3개만 있어도 노총각스러운 방안의 냄새를 중화시킬 수 있을 정도. 그리고 건조한 방 안에 놓아두면 잘 썩지도 않고 후숙이 아주 잘 된다. 이때 먹어주면 괜찮다.

기타 우리가 흔히 알고있는 구아바는 열대 왕구아바라는 종류로, 종류에 따라 과육이 흰색인 것과 분홍색인 것이 존재한다. 열매가 달렸을 때 무수한 열매를 솎아내어 키우면 구아바 열매의 크기가 복숭아만해진다.

성질급한 사람은 열대 왕구아바 쪽으로 키워야 하고, 절대로 파인애플 구아바는 키우지 말 것. 열대 왕구아바는 온도와 토양 조건이 맞으면 괴물같이 성장하지만 파인애플 구아바는 그 성장 속도가 상당히 더디다. 대신 파인애플 구아바는 열대 식물치고는 한반도 남부 지방의 추위에 견디지만, 열대 구아바는 제주도의 겨울에도 죽어버린다. 그래서인지 제주도 서귀포시에는 그 기후가 따뜻하여 파인애플 구아바를 집의 유실수로 기르는 집이 흔한 편이다. 전부 보면 크기들이 최소 10년 이상 키운 집들이다. 꽃이 상당히 이쁘나 열대 구아바와 달리 향이 나지 않는다. 열매를 맺으려면 5년쯤 기다려야 하고, 그나마도 수정시키기가 쉽지않다.

파인애플 구아바도 종류가 여러가지 있다. 자가 수정이 가능한 품종과 타가 수정을 해야지만 열매가 맺는 종류. 대개 국내에서 판매되는 종류는 타가수정을 해야 열매가 맺는것이 주류이다.

4. 매체[편집]

5. 여담[편집]

  • 열대 지역보다 동북아 지역에서 재배한 페이조아 구아바가 품질이 좋다고 주장하는 사람들이 있다.
  • 대한항공 기내에 의외지만 항상 구아바 주스가 캔으로 실린다. 정말 아는 사람만 찾는 음료. 지금은 타계한 조중훈 회장이 개발했다는 칵테일 중 "서울 러브"라는 물건이 있었는데, 이것이 소주와 구아바 주스를 섞은 칵테일이었다. 나중에 칵테일은 사라졌지만 구아바 주스만은 남아서 명맥을 이어간다. 이로 볼 때 아마도 한진가 사람들이 상당히 좋아하는 주스인 듯하다.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
이 저작물은 CC BY-NC-SA 2.0 KR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단, 라이선스가 명시된 일부 문서 및 삽화 제외)
기여하신 문서의 저작권은 각 기여자에게 있으며, 각 기여자는 기여하신 부분의 저작권을 갖습니다.

나무위키는 백과사전이 아니며 검증되지 않았거나, 편향적이거나, 잘못된 서술이 있을 수 있습니다.
나무위키는 위키위키입니다. 여러분이 직접 문서를 고칠 수 있으며, 다른 사람의 의견을 원할 경우 직접 토론을 발제할 수 있습니다.

  •  
  •  
  •  
  •  
  •  
  •  
  •  
  •  
  •  
  •  
  •  
  •  
  •  
  •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