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 BACK << -|- >> HOME <<)

진솔왕

최근 수정 시각:
3
편집
현재 사용중인 아이피가 ACL그룹 IDC #12915에 있기 때문에 편집 권한이 부족합니다.
만료일 : 무기한
사유 : IDC(AS26496)
토론 역사
[ 펼치기 · 접기 ]
갈문왕
사요 갈문왕
허루 갈문왕
마제 갈문왕
일지 갈문왕
지소례 갈문왕
세신 갈문왕
이칠 갈문왕
내음 갈문왕
복승 갈문왕
만천 갈문왕
눌지 마립간
자비 마립간
소지 마립간
법흥왕
지도로 갈문왕
국왕 즉위
진평왕
선덕여왕
음갈문왕
선덕여왕 국서
추존 국왕
태조 성한왕
문헌상 언급
흥무왕
비 왕족
개성왕
현성왕
신영왕
흥평왕
혜충왕
태자
선강왕
태자 / 갈문왕
혜성왕
진성여왕 국서
흥렴왕
성무왕
성희왕
비정통 국왕
김인문
괴뢰왕
김헌창
장안왕
김범문
장안왕위 요구자
박언창
후사벌왕


眞率王
생몰년도 미상

1. 개요2. 정체

1. 개요[편집]

고려 후기의 승려인 무외국통 정오(丁午: ? ~ 1318년)가 지은 고석정기(孤石亭記)에만 등장하는 신라의 왕. 정오는 1288년 철원의 고석정(孤石亭)을 방문했는데, 여기서 신라비를 발견했다고 한다.
철원군에서 남쪽으로 만여 보를 가면 신선의 구역이 하나 있는데, 서로 전하기를, ‘고석정’이라 한다. 그 정자에는 큰 바위가 우뚝 솟아나 높이가 300척 가량 되고 둘레는 10여 장(丈)쯤 된다. 바위를 타고 올라가면 구멍 하나가 있어서 기어 들어가면 집같이 생긴 층대가 있는데, 10명쯤 앉을 수 있다. 옆에 돌비가 세워져 있는데, 신라 진솔왕(眞率王)이 놀러 와서 세운 비이다.(이하 중략)

동문선에 수록된 고석정기(孤石亭記)의 내용 中

2. 정체[편집]

아쉽게도 고석정비는 현존하지 않지만[1], 조선 중기의 문인 구사맹은 자신의 저서인 팔곡집에서 진평왕이 철원 고석정비를 새겼다고 언급하였다.

진평왕이 세운 비석이 맞다면 진평왕이 친정했던 603년 북한산성 전투 이후에 세웠을 것이라는 설[2]과 598년 ~ 614년 고구려-수 전쟁 때 신라가 고구려 영토를 뺏은 뒤 세웠다는 설[3]이 제기되었다. 平과 率의 자형이 비슷하므로, 이와 같은 오류는 얼마든지 일어날 수 있다.

다만 여러 곳에 진흥왕 순수비를 세우고 국토를 유람했던 진흥왕일 가능성도 있다.

[1] 16세기 말에 부서졌다가 17세기 초 이후에는 완전히 실전되었다고 한다.#[2] 황보경, 603년 北漢山城 전투 고찰, 2015.[3] 김진한, 鐵原 孤石亭 新羅碑와 新羅의 鐵原 進出, 2018.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
이 저작물은 CC BY-NC-SA 2.0 KR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단, 라이선스가 명시된 일부 문서 및 삽화 제외)
기여하신 문서의 저작권은 각 기여자에게 있으며, 각 기여자는 기여하신 부분의 저작권을 갖습니다.

나무위키는 백과사전이 아니며 검증되지 않았거나, 편향적이거나, 잘못된 서술이 있을 수 있습니다.
나무위키는 위키위키입니다. 여러분이 직접 문서를 고칠 수 있으며, 다른 사람의 의견을 원할 경우 직접 토론을 발제할 수 있습니다.

  •  
  •  
  •  
  •  
  •  
  •  
  •  
  •  
  •  
  •  
  •  
  •  
  •  
  •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