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 BACK << -|- >> HOME <<)

제복군인

최근 수정 시각:
4
편집
현재 사용중인 아이피가 ACL그룹 IDC #12915에 있기 때문에 편집 권한이 부족합니다.
만료일 : 무기한
사유 : IDC(AS26496)
토론 역사
분류
1. 개요2. 각 국가별 현역군인 최선임자
2.1. 세계 주요국가의 최선임 현역군인

1. 개요[편집]

external/upload....
현역 군인을 가리키는 영어식 표현이다. 한국어에서도 간혹 쓰이기도 한다. 그 예가 되는 문장으로 "합동참모의장은 제복군인 중에 최선임자이다."
군인 중에 특수임무를 맡은 경우엔 군복을 입지 않고 근무하기도 하지만 대체로는 제복을 입기 때문에 제복군인은 현역 군인을 가리키는 표현이 되었다.

Uniformed services라고 하면 꼭 군인뿐만 아니라 경찰, 소방관, 응급구조요원 등을 가리키기도 한다.

사실 한국어에 제복군인이라는 표준어는 없다. 표준국어대사전에 등재된 표준어는 '현역군인(現役軍人)', '현역군(現役軍)'이다. 제복군인은 비표준어이다.

현역군인과 직업군인의 차이를 헷갈리는 사람이 있는데 간단히 말해서 현역군인 중에 직업군인이 있는 것이다. 즉 현역군인은 직업군인의 상위어이고 직업군인은 현역군인의 하위어이다.

2. 국가별 현역군인 최선임자[편집]

한국군, 미군, 자위대의 경우엔 합참의장이 최선임이 된다. 자위대는 통합막료장이란 표현을 쓴다. 영국군이나 프랑스군, 독일 연방군 등은 국방참모총장이란 표현을 사용하는데 합참의장과 성격이 비슷하다. 러시아군, 중국 인민해방군총참모장, 중화민국군참모총장이란 표현을 사용하는데 이는 합참의장을 뜻한다. 각군 참모총장은 총사령관(러시아군)/사령원(중국 인민해방군)/사령(중화민국군)이란 표현을 쓴다.

러시아군, 중국군, 북한군은 현직 제복군인이 국방장관을 지낸다. 물론 북한의 경우는 국가수반도 제복군인이긴 하지만[1] 이런 점은 넘어가자.

영어번역하면 이런 식이 된다.

2.1. 세계 주요국가의 최선임 현역군인[편집]

국방장관을 현역군인으로 앉히는 나라도 있긴 하지만 여기서는 국방장관을 제외한 작전권 지휘나 최선임 군인으로 대우받는 직위의 사람들을 서술한다. Chief of the General Staffs의 경우에는 총참모장으로 번역했고 Chief of Staff가 전군을 대표하는 경우에는 참모총장으로 번역했으나 이 경우에는 한국의 육군참모총장, 해군참모총장, 공군참모총장과는 다르다는 점을 감안해야 한다.
명칭
직위
이름
군종/계급
생년
해군 대장
1967년
합동참모의장
공군 대장
1962년
총참모장 겸 제1국방차관
육군 대장
1955년
공군 상장(대장)[6]
육군 상장(대장)
1950년
1950년
국방참모총장
해군 대장
1965년
육군 대장
????년
국방참모총장
조나단 반스
육군 대장
1964년
국방참모총장
프랑수아 르쿠앵트르
육군 대장
1962년
육군 대장
1960년
공군 대장
1957년
총참모장
육군 대장
1954년
국방참모총장
페르난도 알레한드레 마르티네즈
육군 대장
1956년
총참모장
미에치슬라우 고쿨
육군 대장
1963년
총참모장
요세프 벳바르
육군 중장
1958년
국방참모총장
마크 컴페럴
육군 대장
1957년
국방참모총장
해군 대장
1960년
국방참모총장
롭 바우어
해군 대장
1962년
참모총장
해군 상장(대장)
1963년
통합막료장
육군 대장
1962년
총참모장
참모총의장
합동참모의장
총참모장
합동참모의장
총사령관
총참모장
총참모장
총참모장
국방참모총장
총참모장
//
참모총장
총사령관
참모총장
국방장관
해군장관
참모총장
//
//
//
당 중앙군사위원회 부위원장
1948년
[1] 김정은이 공화국 원수, 김일성김정일대원수 계급장을 달고 있는 제복군인이다. 대원수 계급장이야 뒈져야 주는 계급이지만...[2] 사실 러시아 연방군 전체적으로 따지면 국방장관인 세르게이 쇼이구 대장이 최선임자이긴 하나, 쇼이구의 경우 본래 러시아 연방군 출신이 아닌 비상대책군 출신에 '군인 신분과 계급이 부여된 관료' 이므로 순수 군인 출신으로서는 게라시모프가 제복군인 최선임자인 것이다.[3] 2명이 임명되는데 (중군위 주석은 일반적으로 국가주석이 겸임), 이중 1명은 군 출신이 아닌 경우도 있다.[4] 연합참모부 참모장이 작전부대를 통솔하긴 하나, 엄연히 말해서 중군위 부주석 또한 국가주석을 보좌하여 군 통수권을 행사하므로 사실상 중국군 최고의 제복군인이라고 할 수 있다.[5] 공군 출신으로는 처음으로 중군위 부주석에 올랐다.[6] 공산권의 다른 상장(Colonel General)이 중장과 상당하는 것과 달리 중국의 상장은 타국의 대장에 상당한다. 중국군 측에서도 상장을 영어로 번역시 대장에 해당하는 General로 번역하기도 하고.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
이 저작물은 CC BY-NC-SA 2.0 KR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단, 라이선스가 명시된 일부 문서 및 삽화 제외)
기여하신 문서의 저작권은 각 기여자에게 있으며, 각 기여자는 기여하신 부분의 저작권을 갖습니다.

나무위키는 백과사전이 아니며 검증되지 않았거나, 편향적이거나, 잘못된 서술이 있을 수 있습니다.
나무위키는 위키위키입니다. 여러분이 직접 문서를 고칠 수 있으며, 다른 사람의 의견을 원할 경우 직접 토론을 발제할 수 있습니다.

  •  
  •  
  •  
  •  
  •  
  •  
  •  
  •  
  •  
  •  
  •  
  •  
  •  
  •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