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 BACK << -|- >> HOME <<)

상자 수염 그림

최근 수정 시각:
3
편집
현재 사용중인 아이피가 ACL그룹 IDC #12915에 있기 때문에 편집 권한이 부족합니다.
만료일 : 무기한
사유 : IDC(AS26496)
토론 역사
봉차트에서 넘어옴
분류
[ 펼치기 · 접기 ]
기본 용어
주식 프로그램
HTS · MTS
주식 종류
종목 특성
관련 이론
시장 제도 · 정책
주식 세제
시장 상태
거래 유형
시장지수
한국
미국
기타 국가
글로벌
지표
기본 요소
추세 지표
이동평균선 · DMI · MACD(MACD Oscillator) · Parabolic Sar · Pivot Line
모멘텀 지표
변동성 지표
시장강도 지표
기타
관련 금융상품
관련 범죄
기타
1. 수학, 통계에서
1.1. 개요1.2. 설명1.3. 국내 교과 과정
2. 주식에서

1. 수학, 통계에서[편집]

상자 수염 그림(box-and-whisker plot, box-and-whisker diagram), 상자 그림(box plot, boxplot), 상자-수염 그림, 상자 도표.

다섯 숫자 요약을 그림으로 그린 그래프이다. 자료의 특성을 요약해서 보여준다.
Q1에서 Q3 사이인 사분위간 범위(IQR)로 몸통을 구성하고 근접값들로 꼬리를 구성한다. 단위척도(step)는 1.5 x IQR이다.
  • 안 울타리(inner fence)는 Q1에서 왼쪽으로 1 step만큼 간 것과 Q3에서 오른쪽으로 1 step만큼 간 것이다.
  • 바깥 울타리(outer fence)는 Q1에서 왼쪽으로 2 step만큼 간 것과 Q3에서 오른쪽으로 2 step만큼 간 것이다.
  • 근접값(adjacent value)은 안 울타리 안쪽의 값 중에서 안 울타리에 가장 가까운 값이다.
  • 보통 이상점(mild outlier)은 같은 방향에 있는 안 울타리와 바깥 울타리 사이에 있는 값이다.
  • 극단 이상점(extreme outlier)은 바깥 울타리 바깥의 값이다.

허리에 굵은 선이 그려진 박스가 있고 위 아래로 두 개의 세로선이 그어져 있으며, 종종 별표나 X표 같은 것도 둥실둥실 떠 있는 것이 특징. 전체 관찰값들의 범위(range)에 기초한 시각화 방식인데, 그것이 포함하는 통계적 정보가 꽤 많아서 연구자들이 적극 활용하고 있다.

박스의 이쪽 끝에서 저쪽 끝은 주어진 분포의 사분위수 간 범위(IQR; inter-quartile range)를 의미한다. 그리고 2Q, 즉 두 번째 사분위수이자 전체 분포의 중앙값(median)에는 굵은 가로선이 대응한다. 위쪽 수염의 끝부분은 최댓값(max), 아래쪽 수염의 끝부분은 최솟값(min)을 의미하며, 위아래로 나타나는 점 표시는 이상점(아웃라이어)이다.

상자 도표는 정규분포와 함께 설명하는 것이 가장 정확한데, 전체 분포 범위의 가운데 50%가 상자의 범위와 정확히 일치한다. 박스의 양쪽 끝부분은 ±0.6745σ, 수염의 양쪽 끝부분은 ±2.6980σ 이다. 위쪽 수염과 아래쪽 수염은 각각 24.65%씩의 범위가 할당되어 있다.

상자 도표는 여러 모로 굉장한 장점들을 갖고 있다. 우선 이상점을 처리하는 데 뛰어나고, 데이터 전체의 편포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쉽다. 또한 데이터의 집단 간 비교, 데이터의 타당도(validity)를 체크하는 것도 용이하다.

1.3. 국내 교과 과정[편집]

2022 개정 교육과정부터 중학교 3학년 수학 교과에 최초로 들어올 예정이다. 다만, 이미 세계적으로는 중학교 시기에 다루는 나라가 많았으므로, 이는 대한민국이 뒤늦게 편승했을 뿐이다. 여담으로, 수학교육과 측에서는 새로 들어오는 내용에 대해 반대가 굉장히 심한 편인데, 이 '상자 그림' 내용 최초 도입엔 무려 60%가 넘는 동의표를 받았다. (에듀넷-티클리어 2022년 4월 중순에 열린 토론회 참조)

2. 주식에서[편집]

can1
주식 캔들 차트

주식 관련 파생 그래프로 위의 그래프와는 얼핏 비슷하게 생겼지만 대부분이 다르다. 캔들차트 문서 참조.
CC-white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31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CC-white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31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
이 저작물은 CC BY-NC-SA 2.0 KR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단, 라이선스가 명시된 일부 문서 및 삽화 제외)
기여하신 문서의 저작권은 각 기여자에게 있으며, 각 기여자는 기여하신 부분의 저작권을 갖습니다.

나무위키는 백과사전이 아니며 검증되지 않았거나, 편향적이거나, 잘못된 서술이 있을 수 있습니다.
나무위키는 위키위키입니다. 여러분이 직접 문서를 고칠 수 있으며, 다른 사람의 의견을 원할 경우 직접 토론을 발제할 수 있습니다.

  •  
  •  
  •  
  •  
  •  
  •  
  •  
  •  
  •  
  •  
  •  
  •  
  •  
  •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