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 BACK << -|- >> HOME <<)

베르나르도 베르톨루치

최근 수정 시각:
14
편집
현재 사용중인 아이피가 ACL그룹 IDC #12915에 있기 때문에 편집 권한이 부족합니다.
만료일 : 무기한
사유 : IDC(AS26496)
토론 역사
베르나르도 베르톨루치의 주요 수상 및 헌역 이력
[ 펼치기 · 접기 ]


[ 펼치기 · 접기 ]
마르셀 카르네
아나톨리 골로브냐
알레산드로 블라세티
세르게이 유트케비치
알렉산더 클루게
세자르 자바티니
타비아니 형제
루이지 코멘치니
얀초 미클로시
마리오 모니첼리
파올로 빌라조
수소 체키 다미코
모니카 비티
알베르토 소르디
주세페 드 산티스
조프레도 롬바르도
미셸 모르강
알리다 발리
디노 리시
디노 드 로렌티스
에르만노 올미
프란체스코 로시
베르트랑 타베르니에
릴리아나 카바니

[ 펼치기 · 접기 ]
제1회
(1929년)
제2회
(1930년)
제3회
(1931년)
제4회
(1932년)
제5회
(1933년)
제6회
(1934년)
제7회
(1935년)
제8회
(1936년)
제9회
(1937년)
제10회
(1938년)
제11회
(1939년)
제12회
(1940년)
제13회
(1941년)
제14회
(1942년)
제15회
(1943년)
제16회
(1944년)
제17회
(1945년)
제18회
(1946년)
제19회
(1947년)
제20회
(1948년)
제21회
(1949년)
제22회
(1950년)
제23회
(1951년)
제24회
(1952년)
제25회
(1953년)
제26회
(1954년)
제27회
(1955년)
제28회
(1956년)
제29회
(1957년)
제30회
(1958년)
제31회
(1959년)
제32회
(1960년)
제33회
(1961년)
제34회
(1962년)
제35회
(1963년)
제36회
(1964년)
제37회
(1965년)
제38회
(1966년)
제39회
(1967년)
제40회
(1968년)
제41회
(1969년)
제42회
(1970년)
제43회
(1971년)
제44회
(1972년)
제45회
(1973년)
제46회
(1974년)
제47회
(1975년)
제48회
(1976년)
제49회
(1977년)
제50회
(1978년)
제51회
(1979년)
제52회
(1980년)
제53회
(1981년)
제54회
(1982년)
제55회
(1983년)
제56회
(1984년)
제57회
(1985년)
제58회
(1986년)
제59회
(1987년)
제60회
(1988년)
제61회
(1989년)
제62회
(1990년)
제63회
(1991년)
제64회
(1992년)
제65회
(1993년)
제66회
(1994년)
제67회
(1995년)
제68회
(1996년)
제69회
(1997년)
제70회
(1998년)
제71회
(1999년)
제72회
(2000년)
제73회
(2001년)
제74회
(2002년)
제75회
(2003년)
제76회
(2004년)
제77회
(2005년)
제78회
(2006년)
제79회
(2007년)
제80회
(2008년)
제81회
(2009년)
제82회
(2010년)
제83회
(2011년)
제84회
(2012년)
제85회
(2013년)
제86회
(2014년)
제87회
(2015년)
제88회
(2016년)
제89회
(2017년)
제90회
(2018년)
제91회
(2019년)
제92회
(2020년)
제93회
(2021년)
제94회
(2022년)
제95회
(2023년)
제96회
(2024년)
제97회
(2025년)
제98회
(2026년)
제99회
(2027년)
제100회
(2028년)
-
-
-
-
oscar logo
제59회
(1987년)
제60회
(1988년)
제61회
(1989년)
루스 프라워 자브발라
(전망 좋은 방)
베르나르도 베르톨루치
마크 피플
(마지막 황제)
크리스토퍼 햄프턴
(위험한 관계)

goldenglobe
감독상
제44회
(1987년)
제45회
(1988년)
제46회
(1989년)
베르나르도 베르톨루치
(마지막 황제)
각본상
제44회
(1987년)
제45회
(1988년)
제46회
(1989년)
로버트 볼트
(미션)
베르나르도 베를톨루치
마크 피플
(마지막 황제)
나오미 포너
(허공에의 질주)

할리우드 명예의 거리 로고할리우드 명예의 거리 로고 화...
할리우드 명예의 거리 입성자
Hollywood Walk of Fame Stars
[ 펼치기 · 접기 ]
이름
베르나르도 베르톨루치
Bernardo Bertolucci
분야
할리우드 명예의 거리 영화 심... 영화
입성날짜
2008년 2월 19일
위치
6901 Hollywood Blvd.
베르나르도 베르톨루치
Bernardo Bertolucci
OMRI
external/iv1.lis...
출생
사망
2018년 11월 26일 (향년 77세)
국적
신체
178cm
학력
직업
영화 감독, 각본가
활동
배우자
마리아 파올라 마이노 (1967–1972)
클레어 페플로어(1978–2018)

1. 개요2. 논란3. 필모그래피

1. 개요[편집]

이탈리아영화 감독, 각본가.

에로영화나 성인영화나 정치적인 요소들을 모두 혼합한, 영국의 켄 러셀피터 그리너웨이나 이탈리아의 《소돔 120일》을 만든 피에르 파올로 파졸리니 같은 영화 감독. 유명한 영화들이 많다.

다리오 아르젠토와 함께 세르조 레오네스파게티 웨스턴인 <옛날 옛적 서부에서>의 각본을 집필한 적 있다.

2018년 11월 26일, 암 투병 중 77세를 일기로 세상을 떠났다.# 4월 초 신작이 내정되어 있었다고 밝혔으나 결국 찍지 못하고 <미 앤 유>가 유작이 되었다.

2. 논란[편집]

2013년의 인터뷰에서, '파리에서의 마지막 탱고'에 나오는 강간장면에서 일부 묘사가 픽션이 아닌, 배우의 동의없이 촬영된 실제상황이라고 감독 스스로가 밝혔으며, 이는 2016년 유튜브 등을 통해 다시 이슈화되면서 많은 비난을 받고 있다.# 피해자 여배우 마리아 슈나이더는 2007년 데일리 메일 인터뷰에서 강간당한 것 같은 기분을 느꼈으며 이때 에이전트와 변호사를 불러 대본에 없는 내용은 촬영할 수 없다고 대응했어야 했다고 고백한 바가 있었다. 슈나이더의 인터뷰에 따르면 동의가 이루어지지 않았던, 즉 대본에 없었던 장면은 강간 장면이 아니라 강간 장면에서 버터를 윤활제로 쓴다는 아이디어다. 아이디어는 말론 브란도에게서 나왔고, 배우에게는 촬영 직전에 그것이 일방적으로 통보되었다고 한다. # # 슈나이더는 이 장면을 찍고 싶지 않아 했으나 말론 브란도가 그냥 영화일 뿐이라고 설득해서 촬영에 임하게 되었다고 한다.

베르톨루치는 슈나이더가 배우가 아니라 여자로써의 반응을 보여주길 원했다고 밝혔으며 자신이 각본에 없던 내용을 찍게 해서 슈나이더에게 상처를 주었음을 인정했다. 다만 후회하진 않는다고 밝혀 큰 비난을 받았다. 슈나이더는 2011년 사망했기는 하지만 이 장면의 후유증으로 자살했다는 썰과는 달리 58세에 유방암으로 사망했다. 그녀의 인터뷰엔 슈나이더가 마약과 자살 시도를 하게 된 것은 영화로 인한 갑작스러운 유명세, 특히 마지막 탱고 영화에서의 이미지 때문이었다는 얘기가 나온다.

2016년 당시 현장에 있던 촬영감독 비토리오 스토라로는 촬영 당시 베르나르도 베르톨루치, 비토리오 스토라로, 말론 브란도, 마리아 슈나이더 이 4사람을 제외한 다른 스태프들 출입은 엄격히 통제됐으며 이는 주연 여배우 마리아 슈나이더에 대한 베르나르도 베르톨루치 감독의 배려였다고 회상했다. 또 자신은 촬영감독인 만큼 처음부터 끝까지 모두 목격했는데, 슈나이더의 말은 거짓말이며 감독의 말이 맞다고 증언했다.#

일단 마리아 슈나이더는 말론 브란도 생전엔 이를 문제 삼지 않았고, 말론 브란도 사후 그를 기리는 다큐멘터리 브랜도에도 출연해 고인이 된 말론 브란도를 추모했다.

어쨌거나 베르톨루치의 이미지는 상당히 개판이 됐으며 제시카 차스테인은 속이 뒤틀렸다고 트윗했고 크리스 에반스는 역겨운 것 이상의 것을 느꼈다고 표현했다.

소련 외무장관 안드레이 그로미코는 미국 영화 광팬이었고 그가 일정을 위해 뉴욕을 방문했을때 유엔의 소련 대표부 차석대사였던 빅토르 이스라옐란이 그를 위해서 <파리에서의 마지막 탱고>를 틀어주었는데[1], 영화를 본 그로미코는 감히 자기에게 포르노를 보여줬다고 길길이 날뛰었다고 한다. 사실 <파리에서의 마지막 탱고>는 처음 X등급을 받은 포르노가 맞다(...). 이후 R등급(청불)로 하향됐다가, 최종 NC-17(청불+제한) 상향 등급을 받았다.

3. 필모그래피[편집]

연도
제목
연출
각본
제작
비고
1962
냉혹한 학살자
La commare secca
O
O
1964
혁명전야
Prima della rivoluzione
O
O
1967
석유의 길
La via del petrolio
O
O
다큐멘터리
1968
옛날 옛적 서부에서
Once Upon a Time in the West
O
1968
'사랑과 분노' 中임종
Agonia
O
O
단편, 옴니버스 영화 참여작
1969
파트너.
Partner.
O
1970
순응자[2]
Il conformista
O
O
1970
거미의 계략[3]
Strategia del ragno
O
O
1972
파리에서의 마지막 탱고[4]
Ultimo tango a Parigi
O
O
1976
1900년[5]
Novecento
O
O
1979
루나
La luna
O
O
1981
바보같은 자의 비극
La tragedia di un uomo ridicolo
O
O
1987
마지막 황제
The Last Emperor
O
O
1990
마지막 사랑
The Sheltering Sky
O
O
1993
리틀 부다[6]
Little Buddha
O
O
1996
스틸링 뷰티
Stealing Beauty
O
O
1998
하나의 선택
L'assedio
O
O
2001
사랑의 승리
The Triumph of Love
O
O
2002
'텐 미니츠 - 첼로' 中물의 이야기
Histoire D'eaux
O
O
단편, 옴니버스 영화 참여작
2003
몽상가들[7]
The Dreamers
O
2012
미 앤 유[8]
Io e te
O
O

[1] 그런데 파리에서의 마지막 탱고는 미국 영화가 아니다. 언어만 영어지, 프랑스-이탈리아 자본 영화.[2] 주인공은 파시스트가 되기 위하여 상부의 지령을 받고 자신의 스승을 죽이기 위해, 신혼여행을 가장한 여행을 떠난다. (역시 세계 제2차대전의 이탈리아가 배경)[3] 원래는 호르헤 루이스 보르헤스의 단편이 원작이며, 주인공은 자신의 아버지의 정부(…)의 호출로 마을에 온다. 그는 세계 제2차 대전, 파시스트들에게 저항했던 레지스탕스의 리더였던 아버지의 죽음을 파헤치는데... 오페라가 중요한 요소로 등장한다.[4] 베르톨루치 감독 영화중 가장 논란이 많은 영화. 말론 브란도가 나오는 영화. 시작부터 프랜시스 베이컨(화가)의 괴상한 그림들이 나오고, 노출도 강하고 치모도 나온다. 뜬금없이 섹스 장면이 나오는 괴작. 이걸 분석하는 사람들이 많다. 또한 극장 상영 영화 중에서 최초로 애널 섹스가 직접적으로 묘사된 작품이기도 한데, 이것 또한 극중 나름의 의미(애널섹스는 생식과 관련이 없다는 점)가 있다고 분석된다.[5] 로버트 드 니로 주연의 영화. 1900년 같은 해에 태어난 지주의 아들과 소작농의 아들. 그들의 할아버지는 서로가 이해하고 공존하며 살아왔지만 베니토 무솔리니 정권이 들어서자, 할아버지들은 노환으로 죽고 부모들의 정치적 대립을 통해 서서히 사이가 나빠진다. 지주의 아들은 파시스트 편에 선다. 하지만 다들 알다시피 무솔리니는 좆망해서 공산당이 득세한다.(이탈리아는 공산당이 강한 편이다) 지주의 아들은 보복으로 죽을 뻔하지만 역사의 증거로 놔두라는 소작농의 아들 덕에 목숨을 건지는데...[6] 키아누 리브스가 주연, 그것도 석가모니역으로 출연한 영화였지만 흥행이나 비평은 참혹했다.[7] 에바 그린 주연의 영화. 베르톨루치가 건재하다는 걸 보여주는 영화. 68혁명을 배경으로 한 쌍둥이 남매와 미국인 유학생의 이야기이다. 외설적인 장면이 꽤 있다. 무삭제 버전과 cut된 버전이 있으며 3분 정도 차이가 난다고 한다.[8] 히키코모리 남동생이 약쟁이 의붓누나에 이끌려 세상 밖으로 나온다는 내용.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
이 저작물은 CC BY-NC-SA 2.0 KR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단, 라이선스가 명시된 일부 문서 및 삽화 제외)
기여하신 문서의 저작권은 각 기여자에게 있으며, 각 기여자는 기여하신 부분의 저작권을 갖습니다.

나무위키는 백과사전이 아니며 검증되지 않았거나, 편향적이거나, 잘못된 서술이 있을 수 있습니다.
나무위키는 위키위키입니다. 여러분이 직접 문서를 고칠 수 있으며, 다른 사람의 의견을 원할 경우 직접 토론을 발제할 수 있습니다.

  •  
  •  
  •  
  •  
  •  
  •  
  •  
  •  
  •  
  •  
  •  
  •  
  •  
  •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