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 BACK << -|- >> HOME <<)

웨스트 사이드 스토리(1961)

최근 수정 시각:
2
편집
현재 사용중인 아이피가 ACL그룹 IDC #12915에 있기 때문에 편집 권한이 부족합니다.
만료일 : 무기한
사유 : IDC(AS26496)
토론 역사
웨스트 사이드 스토리의 주요 수상 이력
[ 펼치기 · 접기 ]



미국영화연구소 로고
[ 펼치기 · 접기 ]
1위
2위
3위
4위
5위
6위
7위
8위
9위
10위
11위
12위
13위
14위
15위
16위
17위
18위
19위
20위
21위
22위
23위
24위
25위
26위
27위
28위
29위
30위
31위
32위
33위
34위
35위
36위
37위
38위
39위
40위
41위
42위
43위
44위
45위
46위
47위
48위
49위
50위
51위
52위
53위
54위
55위
56위
57위
58위
59위
60위
61위
62위
63위
64위
65위
66위
67위
68위
69위
70위
71위
72위
73위
74위
75위
76위
77위
78위
79위
80위
81위
82위
83위
84위
85위
86위
87위
88위
89위
90위
91위
92위
93위
94위
95위
96위
97위
98위
99위
100위


미국영화연구소 로고
[ 펼치기 · 접기 ]
1위
2위
3위
4위
5위
6위
7위
8위
9위
10위
11위
12위
13위
14위
15위
16위
17위
18위
19위
20위
21위
22위
23위
24위
25위
26위
27위
28위
29위
30위
31위
32위
33위
34위
35위
36위
37위
38위
39위
40위
41위
42위
43위
44위
45위
46위
47위
48위
49위
50위
51위
52위
53위
54위
55위
56위
57위
58위
59위
60위
61위
62위
63위
64위
65위
66위
67위
68위
69위
70위
71위
72위
73위
74위
75위
76위
77위
78위
79위
80위
81위
82위
83위
84위
85위
86위
87위
88위
89위
90위
91위
92위
93위
94위
95위
96위
97위
98위
99위
100위
2002년 발표 / 출처

[ 펼치기 · 접기 ]
※ 2015년 BBC는 62명의 국제 영화 평론가들을 대상으로 사상 최고의 미국 영화 100편을 선정했다.
1위
2위
3위
4위
5위
6위
7위
8위
9위
10위
11위
12위
13위
14위
15위
16위
17위
18위
19위
20위
21위
22위
23위
24위
25위
26위
27위
28위
29위
30위
31위
32위
33위
34위
35위
36위
37위
38위
39위
40위
41위
42위
43위
44위
45위
46위
47위
48위
49위
50위
51위
52위
53위
54위
55위
56위
57위
58위
59위
60위
61위
62위
63위
64위
65위
66위
67위
68위
69위
70위
71위
72위
73위
74위
75위
76위
77위
78위
79위
80위
81위
82위
83위
84위
85위
86위
87위
88위
89위
90위
91위
92위
93위
94위
95위
96위
97위
98위
99위
100위

[ 펼치기 · 접기 ]
제1회
(1929년)
제2회
(1930년)
제3회
(1931년)
제4회
(1932년)
제5회
(1933년)
제6회
(1934년)
제7회
(1935년)
제8회
(1936년)
제9회
(1937년)
제10회
(1938년)
제11회
(1939년)
제12회
(1940년)
제13회
(1941년)
제14회
(1942년)
제15회
(1943년)
제16회
(1944년)
제17회
(1945년)
제18회
(1946년)
제19회
(1947년)
제20회
(1948년)
제21회
(1949년)
제22회
(1950년)
제23회
(1951년)
제24회
(1952년)
제25회
(1953년)
제26회
(1954년)
제27회
(1955년)
제28회
(1956년)
제29회
(1957년)
제30회
(1958년)
제31회
(1959년)
제32회
(1960년)
제33회
(1961년)
제34회
(1962년)
제35회
(1963년)
제36회
(1964년)
제37회
(1965년)
제38회
(1966년)
제39회
(1967년)
제40회
(1968년)
제41회
(1969년)
제42회
(1970년)
제43회
(1971년)
제44회
(1972년)
제45회
(1973년)
제46회
(1974년)
제47회
(1975년)
제48회
(1976년)
제49회
(1977년)
제50회
(1978년)
제51회
(1979년)
제52회
(1980년)
제53회
(1981년)
제54회
(1982년)
제55회
(1983년)
제56회
(1984년)
제57회
(1985년)
제58회
(1986년)
제59회
(1987년)
제60회
(1988년)
제61회
(1989년)
제62회
(1990년)
제63회
(1991년)
제64회
(1992년)
제65회
(1993년)
제66회
(1994년)
제67회
(1995년)
제68회
(1996년)
제69회
(1997년)
제70회
(1998년)
제71회
(1999년)
제72회
(2000년)
제73회
(2001년)
제74회
(2002년)
제75회
(2003년)
제76회
(2004년)
제77회
(2005년)
제78회
(2006년)
제79회
(2007년)
제80회
(2008년)
제81회
(2009년)
제82회
(2010년)
제83회
(2011년)
제84회
(2012년)
제85회
(2013년)
제86회
(2014년)
제87회
(2015년)
제88회
(2016년)
제89회
(2017년)
제90회
(2018년)
제91회
(2019년)
제92회
(2020년)
제93회
(2021년)
제94회
(2022년)
제95회
(2023년)
제96회
(2024년)
제97회
(2025년)
제98회
(2026년)
제99회
(2027년)
제100회
(2028년)
-
-
-
-

웨스트 사이드 스토리 (1961)
West Side Story
west side story ...
장르
감독
로버트 와이즈
저로움 라번즈
각본
어니스트 리먼
원작
제작
주연
나탈리 우드
리처드 베이머
러스 탬블런
리타 모레노
조지 챠키리스
촬영
대니얼 L. 팹
편집
타머스 스탠퍼드
음악
촬영 기간
제작사
미국 국기 미어리쉬 픽처스
미국 국기 세븐 아츠 프로덕션
수입사
대한민국 국기 율가필림
배급사
개봉일
상영 시간
150분
제작비
$6,750,000
월드 박스오피스
$44,132,334
북미 박스오피스
$44,055,492
서울 총 관객 수
1,350명
스트리밍
왓챠 로고

1. 개요2. 예고편3. 등장인물4. 줄거리5. 평가6. 흥행7. 기타


1. 개요[편집]

뮤지컬 웨스트 사이드 스토리를 영화화한 작품으로 1961년 유나이티드 아티스트에서 제작했다. 1951년지구가 멈추는 날을 연출한 로버트 와이즈와 저로움 라번즈가 공동으로 연출했다.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작품상, 감독상, 남우조연상, 여우조연상, 미술상, 촬영상, 의상상, 편집상, 음향상, 음악상 등 10개 부분을 수상하였다. 각색상은 후보에 그쳤다.

2. 예고편[편집]

공식 예고편

3. 등장인물[편집]

4. 줄거리[편집]

1957년 뉴욕의 어퍼 이스트 사이드 구역 통제권을 두고 푸에르토리코계 갱단 더 샥스와 백인 갱단 더 젯츠가 대립하는 가운데 두 갱단의 남녀가 금지된 사랑에 빠진다.

5. 평가[편집]

6. 흥행[편집]

675만 달러로 만들어 북미에서 4400만 달러를 거둬들이며 흥행에 성공했다.

7. 기타[편집]

  • 이 영화의 바탕이 된 뉴욕의 당시 청소년 갱단 상황은 대략 다음과 같다.
    제2차 세계 대전 종료 후 남부의 푸에르토리코계와 흑인 청소년들이 일자리와 거주지를 찾아 뉴욕으로 대이동을 하면서 백인 노동자 계층 청소년들과 경쟁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탄생한 청소년 갱단은 50년대에 나타난 새로운 흐름이었다. 우두머리들은 거의 스물을 넘기지 않았고 8살 짜리 단원까지도 받아들였다. 비밥로큰롤 문화의 영향을 강하게 받아 퐁파두르 머리를 하고, <위험한 질주(The Wild One)>(1953)에서 폭주족 갱단 우두머리로 나온 말런 브랜도를 따라 가죽 재킷을 착장했으며, 리바이스 청바지치노 바지도 일상복이었다. 티롤라후트[5] 같은 펠트 모자도 즐겨썼다. 이들의 시끌벅적한 행각에 주목한 뉴욕시민들은 매해 전몰장병 추모일마다 프라스펙트 공원에서 열리던 청소년 갱단들간의 싸움을 구경하며 여름을 시작하곤 했다.
    보통 갱단원들은 오늘날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낮은 자존감과 그로 인한 지배욕을 채우기 위해 갱에 들어가곤 했고, 힘을 과시하기 위해 죄없는 노인을 폭행하는 일도 서슴치 않았다. 다들 정신 문제가 심각했으며 워낙 구역들이 작고 서로 붙어있었기 때문에 피포위 의식도 극에 달해있었다. 갱단은 전면전(rumble)을 벌이기 전에 이 영화 속 닥의 과자가게와 같은 중립지대에 대표자들을 보내 전쟁을 벌일 장소와 시간, 사용할 무기들을 정하곤 했는데, 약속은 자주 깨지곤 했다.
    주로 쓰인 무기는 칼, 망치, 자동차 안테나, 야구방망이, 마체테, 가죽 허리띠, 사슬, 잭나이프, 손수 만든 총 등이었다. 악명을 떨치고 남성성을 증명하려는 집착으로 잔인성이 날이 갈수록 심해졌으며, 특히 나이가 어려 계급도 낮았던 소위 주니어(Juniors)들은 빠르게 명성(rep)을 얻기 위해 위험한 짓을 쉽게 벌였다. 1959년 늘 망토를 걸치고 다니며 어둠 속에서 갑자기 튀어나와 행인들을 놀래키곤 해서 별명이 Capeman(망토를 입은 남자)였던 푸에르토리코 출신의 살바도르 아그론(Salvador Agron)은 착각으로 두 명의 비갱단 백인 미성년자들을 살해해 체포된 후 "화형 시켜도 상관 없고 엄마가 지켜봐도 된다"고 호언장담해 미 전역을 놀라게 하기도 했다. 아그론은 미국 역사상 가장 나이 어린 사형수가 되었다.[6]
  • 갱단 우두머리들은 자신의 구역에 속한 여자애들이 다른 갱단의 단원과 사귀는 걸 엄금하고 발각될 시 항쟁에 들어갔지만 백인 갱단은 보통 극심한 인종차별주의자들로 구성되어 있었기 때문에 이 영화에서처럼 백인 갱단원이 푸에르토리코계 여자애들과 사귀는 경우는 거의 없었다.
[1] 마니 닉슨이 노래를 불렀다.[2] 지미 브라이언트가 노래를 불렀다.[3] 터커 스미스가 노래를 불렀다.[4] 베키 완드가 노래를 불렀다.[5] 카펠로 알피노. 스틴지 브림(stingy brim)이라고도 불린다.[6] 후에 감형되었다.
CC-white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54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CC-white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54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
이 저작물은 CC BY-NC-SA 2.0 KR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단, 라이선스가 명시된 일부 문서 및 삽화 제외)
기여하신 문서의 저작권은 각 기여자에게 있으며, 각 기여자는 기여하신 부분의 저작권을 갖습니다.

나무위키는 백과사전이 아니며 검증되지 않았거나, 편향적이거나, 잘못된 서술이 있을 수 있습니다.
나무위키는 위키위키입니다. 여러분이 직접 문서를 고칠 수 있으며, 다른 사람의 의견을 원할 경우 직접 토론을 발제할 수 있습니다.

  •  
  •  
  •  
  •  
  •  
  •  
  •  
  •  
  •  
  •  
  •  
  •  
  •  
  •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