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 BACK << -|- >> HOME <<)

대전일보

최근 수정 시각:
편집
현재 사용중인 아이피가 ACL그룹 IDC #12915에 있기 때문에 편집 권한이 부족합니다.
만료일 : 무기한
사유 : IDC(AS26496)
토론 역사
[ 펼치기 · 접기 ]
대전일보 제호

대전일보 로고
주식회사 대전일보사
株式會社 大田日報社
DAEJONILBO
국가
설립
창간
본사 소재지
대전광역시 서구 계룡로 314 (갈마동, 대전일보사)
대표자
김재철
업종명
신문 발행업
상장여부
비상장기업
기업규모
매출액
83억 5,708만원 (2023년)
영업이익
2억 4,556만원 (2023년)
순이익
-4,669만원 (2023년)
사이트
SNS
유튜브
링크

1. 개요2. 역사3. 역대 임원
3.1. 대표이사 사장
4. 여담

1. 개요[편집]

민족사의 진실한 기록자가 된다.
인간 존엄과 사회정의를 받든다.
국리민복과 문화창달에 나선다.
대전일보대전/세종/충남 등 충청권을 기반으로 하는 대한민국의 지방신문이다. 약칭은 대일이다.

본사는 대전광역시 서구 계룡로 314 (갈마동, 대전일보사)에 있으며, 서울취재본부(서울지사)는 서울특별시 중구 다동길 5 (무교동, 광일빌딩)에 위치해 있다.

흔히 대전일보, 중도일보, 충청투데이로 대표되는 대전충남권 일간지 3사로 그중에서 양적으로 가장 위상이 높고 충청권에서 점유율이 가장 높다.

한국언론진흥재단 조사에 따르면 충청권 지방신문 중 열독율 1위, 지방신문중에서는 5위, 전국에서 20위를 차지했다.#

한국ABC협회 조사에서 충청권 지방신문 중 유료 발행부수 1위, 전국에서 24위를 기록했다.#

2. 역사[편집]

1950. 11. 01 전시속보판으로 창간

1951. 09. 12. 주식회사 대전일보사 출범

1974. 01. 01. 서울 지사 개설

2003. 08. 23 현 사옥으로 이전

2004. 01. 26. 자매지 대전플러스 창간

2015. 02. 12. 지령 20,000호 발행

2021. 02. 08. 제 17대 김재철 사장 취임

2021. 11. 12. 네이버·카카오(다음) 뉴스콘텐츠 제휴사로 선정

3. 역대 임원[편집]

3.1. 대표이사 사장[편집]

  • 이경진
  • 곽재철
  • 박병배
  • 지헌영
  • 남정섭[1]
  • 안세영
  • 서춘원
  • 이윤원
  • 윤종서
  • 조준호
  • 김종렬
  • 신수용
  • 남상현[2]
  • 강영욱[3]
  • 김재철

4. 여담[편집]

  • 노조는 민주노총 언론노조 소속이었으나 2021년경 자연 해산됐다.
  • 현재 서구 갈마동 본사 사옥의 역사가 꽤 흥미롭다. 현재 대전일보 측이 소유중인 갈마동 사옥은 중도일보가 해당 사옥을 1993년에 완공했다. 당시 대전일보는 중구 문화동[4]에 사옥이 있었다.[5] 훗날 대전일보가 문화동 사옥을 매각하고 위기를 겪고 있었던 중도일보를 대신해 현 갈마동 사옥을 구입해 2003년 입주했다.[6] 해당 사옥은 대전도시공사가 2012년에 중구 대흥동에 신사옥을 마련할때까지 사옥 상당수를 임대로 사용했고 지역 주류사인 맥키스컴퍼니도 이 건물 3층을 사용했다.[7] 현재는 사회복지공동모금회 대전광역시지회가 사옥 9층에 위치하고 있다.
  • 사옥 6층엔 신문박물관을 운영 중이며 대전일보를 비롯한 신문의 역사를 들여다볼 수 있다. 충청/호남권에서 유일하게 윤전기가 아직 남아 있어[8] 한국언론진흥재단의 NIE 교육을 실시하며 이때 나만의 신문 만들기 체험을 한다.
[1] 남재두의 아버지[2] 남재두의 딸[3] 퇴임 후 대전 자치경찰위원장 역임[4] 현 문화동 1-135. 지금은 문화동하우스토리 주상복합 아파트가 들어서 있다.[5] 문화동 시절 사옥 모습.[6] 당시 위기를 겪은 중도일보는 충청매일 및 지역 건설업체인 부원건설 김원식 회장 측에 인수돼 2003년 중구 오류동으로 이전했고 2008년에는 같은 동네인 오류동 하나은행 대전영업부 사옥 옆에 스포렉스건물을 오피스로 리모델링해 부원건설 본사와 같이 입주했다.[7] 후에 2022년 서구 오동 맥키스컴퍼니 공장으로 본사 이전.[8] 다만 가동은 중단된 상태.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
이 저작물은 CC BY-NC-SA 2.0 KR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단, 라이선스가 명시된 일부 문서 및 삽화 제외)
기여하신 문서의 저작권은 각 기여자에게 있으며, 각 기여자는 기여하신 부분의 저작권을 갖습니다.

나무위키는 백과사전이 아니며 검증되지 않았거나, 편향적이거나, 잘못된 서술이 있을 수 있습니다.
나무위키는 위키위키입니다. 여러분이 직접 문서를 고칠 수 있으며, 다른 사람의 의견을 원할 경우 직접 토론을 발제할 수 있습니다.

  •  
  •  
  •  
  •  
  •  
  •  
  •  
  •  
  •  
  •  
  •  
  •  
  •  
  •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