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 BACK << -|- >> HOME <<)

강희제(녹정기)

최근 수정 시각:
편집
현재 사용중인 아이피가 ACL그룹 IDC #12915에 있기 때문에 편집 권한이 부족합니다.
만료일 : 무기한
사유 : IDC(AS26496)
토론 역사
다른 뜻 아이콘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이 인물의 모티브가 되는 실존인물에 대한 내용은 강희제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펼치기 · 접기 ]
저자
주인공 7명의 부인
천지회
강희제 · 황태후 · 해대부 · 오배 · 걸서 · 색액도 · 다륭 · 시랑 · 장용 · 왕진보 · 손사극 · 조양동 · 장강년 · 조제현 · 서동 · 오지영
진근남 · 오륙기 · 서천천 · 현정도인 · 풍제중 · 전노본
철검문
구난사태 · 아기 · 도홍영[A]
홍안통 · 모동주 · 유연 · 육고헌 · 반두타 · 수두타 · 등병춘 · 종지령 · 장담월 · 무근 · 허설정 · 은금
목왕부
화산파
목검성 · 유대홍 · 오립신 · 유일주 · 오표 · 백한풍 · 백한송
귀신수 · 귀이랑 · 귀종 · 하척수
소림사
청량사
회총 · 징관 · 징심 · 징통
징광 · 옥림 · 행치 · 행전
평서왕부
동녕국
오삼계 · 오응웅 · 하국상 · 양익지 · 마보 · 노일봉
한족 유학자
기타 인물
고염무 · 황종희 · 여유량 · 사계좌 · 명사안
위춘방 · 모십팔 · 장씨 부인 · 진원원 · 이자성 · 소피아 · 갈이단
2차 창작
영화
녹정기 (1983) · 녹정기 시리즈 (1992)· 마등출영 (1993)
드라마
녹정기 (1977) · 녹정기 (1984 / 홍콩) · 녹정기 (1984 / 대만) · 녹정기 (1998) · 소보와 강희 (2000) · 녹정기 (2008) · 녹정기 (2014) · 녹정기 (2020)
[A]: 도홍영은 철검문 제자는 아니나, 구난사태의 공주 시절 궁녀로서 그의 지시를 충실히 따르므로 같은 칸에 표기함.
녹정기의 등장인물
강희제
康熙帝 / Kangxi Emperor
녹정기 드라마 2020 강희제
드라마 〈녹정기 2020〉의
강희제(장톈양(张天阳) 분)
[1]
본명
아이신기오로 히오완예이
(愛新覺羅 玄燁)
별칭
소현자(小玄子)
성별
민족
자택
소속
가족
등장작품
- 소설 《녹정기(원작)
- 각종 2차 창작 작품
1. 개요2. 작중 행적


1. 개요2. 작중 행적

1. 개요[편집]

康熙帝 / 愛新覺羅 玄燁

소설 《녹정기》의 등장인물.

이 소설의 최종 보스.[3] 청나라 제4대 황제. 본명은 '아이신기오로 히오완예이(愛新覺羅 玄燁)'.[4] 실존인물인 성조 강희제를 모티브로 한다. 작중 '반청복명(反淸復明)'을 내세우는 한족들로부터 '오랑캐 황제'라는 멸시를 받고 있지만, 선황제이자 아버지인 순치제의 가르침을 받들며 성군의 자질을 제대로 보여주는 인물이다. 무술 사부는 태후(太后)를 참칭한 신룡교의 '모동주'이다.

주인공 위소보의 절친으로, 위소보만큼은 (둘만 같이 있을 때는) 그에게 '소현자(小玄子)'라고 편하게 호칭하고[5] 반말도 한다. 당초 환관으로 참칭하여 자금성에 잠입한 위소보는 그를 우연히 조우한 후 무술을 겨루다가, 속 편하게 마음을 터놓을 동년배 친구도 없었던 어린 황제는 일부러 그를 매번 불러내서 맞붙었고 결국 친구를 먹는다. 강희제는 만인지상의 자리에 있음에도 위소보를 자신의 심복으로 삼고 공을 세울 때마다 관작(官爵)도 높여주는 걸 넘어서 동등한 친구로서 대하기까지 하는데, 이런 이유 때문인지 위소보 또한 선택의 기로에 놓일 때마다 황제를 향한 의리를 지킨다. 한편 여동생인 건녕공주와는 우애가 깊고 어린 동생을 어릴 때부터 잘 보듬어주었지만, 그녀의 진짜 정체를 알게 된 후 은근히 미워하는 마음을 가진다.[6]

2. 작중 행적[편집]

이 문서에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이나 인물 등에 대한 줄거리, 결말, 반전 요소 등을 직·간접적으로 포함하고 있습니다.
녹정기 영화 1992 강희제
녹정기 드라마 2020 강희제...
영화 〈녹정기 시리즈(1992)에서의 모습
(온조륜(溫兆倫) 분)
드라마 〈녹정기 2020〉에서의 모습
(장톈양(张天阳) 분)


무협지 팬이라면 김용의 녹정기에서 위소보의 친구로 나온 강희제를 기억하고 있을 것이다. 소설상에서 위소보에게 강희제는 인간적인 매력과 두려운 경외심을 주는 인물로 나오는데, 톡톡 튀는 매력이 은근히 귀엽다.

작중에서는 위소보와 비슷한 나이대의 소년으로 등장. 우연히 강희제가 무술 수련하는 방에 숨어들어온 위소보와 대련, 황제인 탓에 친구도 없이 지냈던 터라 자신이 황제란 것도 못 알아보고[7] 대등하게 대해주는 위소보를 마음에 들어하며 그와 친구가 된다. 후에 황제란 것을 들키고도 둘만 있을 때는 서로를 친구로 대하며 계속 우정을 쌓아가며 오배의 체포를 시작으로 여러 모로 공적을 세우는 위소보를 매우 총애하게 된다. 위소보가 자신의 황제 자리를 위협하는[8] 천지회에 들어간 것을 알고도 덮어두고 대만 동녕 왕국을 끝내고 천지회를 박살낸 뒤에도 처벌하지 않았던 것도 위소보와의 우정 때문.[9]

마지막에는 강희와 천지회 잔당 양쪽에게 태도를 확고히 할 것에 시달리던 위소보가 죽은 것으로 위장하고 사라지자 그의 죽음을 믿지 않고 여러 번 사람을 보내거나 직접 강남으로 순행하여 찾으려고 했으나 끝내 찾지 못했다.

[1] 장톈양은 2014년에 방영된 드라마 〈신조협려 2014〉에서 곽도 역을, 2021년에 방영된 드라마 〈천룡팔부 2021〉에서 허죽 역을 맡은 배우이다.[2] 진짜 황태후인 효혜장황후는 모동주에 의해서 지하 공간에 감금되어 있었는데, 그 이전까지는 그 사실을 모른 채 모동주를 황태후이자 어머니로 떠받들었다.[3] 위소보에게는 절친이자 최대의 우군이면서도 동시에 가장 큰 시련을 안겨주는 인물이기도 하다. 위소보는 강희제에게 예상치 못한 한 방을 먹이는 식으로 복수 아닌 복수를 한다.[4] 애신각라 현엽. 그래서 주로 현엽이라는 이름으로 나온다. 물론 황제인 만큼 이름보다는 황제, 황상, 소황제 등의 명칭으로 더 자주 불린다.[5] 강희제의 이름이 현엽이기 때문에 소현자가 된 것.[6] 다만 무조건 미워하는 건 또 아니고 그녀를 동정하는 마음도 가지고 있다. 사실 건녕공주와는 오랫동안 남매로서 살아왔던 정도 있었기 때문. 하지만 태후로 변장한 그녀의 어머니가 강희제의 친모를 살해했기 때문에 미워하는 마음이 생길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7] 사실 이 시점에서 위소보가 사이비 환관이라는 건 알았다. 제대로 교육 받은 진짜 환관이면 자기 옷보고 바로 정체를 알아봐야 했기 때문.[8] 처음에는 황제 자리에 별 집착이 없었으나 황제 노릇을 하면서 점점 애착을 가지게 되었다.[9] 다만 처벌하지 않은 건 아니다. 위소보를 신룡도에 처박아놔서 삼번의 난 때도 아무 것도 하지 못하고 허송세월하게 둔 것 자체가 처벌이자 동시에 둘 중 누굴 택할 거냐는 압박이었던 것. 물론 나중에는 한 번 풀어주고 러시아와의 협상에 투입하기도 한다.
CC-white 이 '작중 행적'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203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CC-white 이 '작중 행적'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203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
이 저작물은 CC BY-NC-SA 2.0 KR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단, 라이선스가 명시된 일부 문서 및 삽화 제외)
기여하신 문서의 저작권은 각 기여자에게 있으며, 각 기여자는 기여하신 부분의 저작권을 갖습니다.

나무위키는 백과사전이 아니며 검증되지 않았거나, 편향적이거나, 잘못된 서술이 있을 수 있습니다.
나무위키는 위키위키입니다. 여러분이 직접 문서를 고칠 수 있으며, 다른 사람의 의견을 원할 경우 직접 토론을 발제할 수 있습니다.

  •  
  •  
  •  
  •  
  •  
  •  
  •  
  •  
  •  
  •  
  •  
  •  
  •  
  •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