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 BACK << -|- >> HOME <<)

최근 수정 시각:
6
편집
현재 사용중인 아이피가 ACL그룹 IDC #12915에 있기 때문에 편집 권한이 부족합니다.
만료일 : 무기한
사유 : IDC(AS26496)
토론 역사
붙을 착
부수
나머지 획수
, 7획
총 획수
12획
중학교
-
일본어 음독
チャク, (ジャク)
일본어 훈독
き-る, き-せる, つ-く, つ-ける
[1]
표준 중국어
zhāo, zháo, zhe, zhuó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1. 개요2. 상세3. 용례4. 유의자5. 상대자6. 모양이 비슷한 한자

1. 개요[편집]

着은 '붙을 착'이라는 한자로, '붙다', '입다', '다다르다'를 뜻한다.

'나타날 저'()라는 훈음도 있지만 잘 쓰이지 않는데, 실제로 원래 着과 著는 같은 글자다.

2. 상세[편집]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붙다
zhuó[2], zháo[3], zhāo[4], zhe[5]
zoek3, zoek6
chok, chho̍k
ciŏk / diŏh
tio̍h / to̍h / tio̍k
tsaq (T4), zaq (T5)
음독
チャク, (ジャク)
훈독
き-る, き-せる, つ-く, つ-ける
trước

아주 널리 쓰이는 자인데도 자원이 꽤 특이한데, 일단 이 글자는 원래 (나타날 저)와 같은 글자로, 竹(대 죽)과 者(사람 자)가 합한 것이다. 나중에 竹이 艹(풀 초, 초두머리)로 바뀐 것. 얼핏 보면 명백하게 달라 보이는 着과 著가 왜 같은 글자인지를 알려면 먼저 着에 있는 (양 양)이란 글자에 대한 사전지식이 필요하다. 羊의 이체자로 𦍋[6]가 있는데 얼핏 보면 艹(초두머리)에다 십자가 모양을 합한 모습이다. 이 𦍋→羊이란 변화 원리를 著에 있는 艹+土(흙 토) 모양에도 적용해서 艹+土를 羊으로 바꾸고, 밑의 日(날 일) 위에 점 찍은 것을 目(눈 목)으로 바꾼 것. 이 변형은 이미 예서에서부터 나타난다.

그래서 원래는 著의 동자인데, 우리나라에서는 관습적으로 '붙을 착'이란 음훈으로는 着을, '나타날 저'란 음훈으로는 著를 써서 서로 다른 글자처럼 쓴다. 중국 본토[7]와 홍콩·마카오, 일본도 우리나라와 마찬가지로 着 자와 著 자를 구별한다. 한편 대만에서는 두 글자를 같은 글자로 인식하며, 著 자만을 표준자형으로 여기고 있다.

어긋날 차()와는 目과 工만 다른 비슷한 모양이고 음도 비슷하지만, 자원은 전혀 다르다.

3. 용례[편집]

チャク, ジャク.

보통은 チャク로 읽으며, ジャク로 읽는 경우는 거의 없다. 일본어상용한자표에도 ジャク는 특이한 독음이라고 명시되어 있다.
  • チャク
    • 横着(おうちゃく): 뻔뻔스러움, 교활함, 무례함
    • 着時(ちゃくじ): 착시
    • 着実(ちゃくじつ): 착실
    • 着色(ちゃくしょく): 착색
    • 着地(ちゃくち): 착지
    • 着用(ちゃくよう): 착용
      • 着用感(ちゃくようかん): 착용감
    • 着陸(ちゃくりく): 착륙
    • 着料(ちゃくりょう): 착료
    • 沈着(ちんちゃく): 침착
    • 到着(とうちゃく): 도착
    • 発着(はっちゃく): 발착
    • 不時着(ふじちゃく): 불시착
  • ジャク
    • 頓着(とんじゃく): 개의함, 신경을 씀
    • 無頓着(むとんじゃく): 무관심함, 무심함, 신경쓰지 않음

4. 유의자[편집]

  • (이를 계)
  • (이를 도)
  • (이를 예)
  • (이를 적)
  • (이를 지)
  • (이를 치)
  • (이를 흘)

5. 상대자[편집]

  • 도착하다
  • 옷을 입다
    • (벗을 라)
    • (벗을 탈)

6. 모양이 비슷한 한자[편집]

  • (흐릴/재앙 생)
  • (부끄러울 수)
  • (생선젓 자)
  • (다를 차)
[1] 羊의 세로획과 왼쪽 아래 삐침이 이어져 있다.[2] 문독, '옷을 입다', '부착하다' 등 일반적인 의미.[3] 백독, '닿다', '불이 붙다', '영향을 받다', 결과보어 등[4] 백독, '바둑의 수', '계책' 등[5] 조사로서 지속 따위를 나타낼 때[6] 전서를 최소한 변형한 해서 자형[7] 중국 본토는 간체자를 쓰지만, 간체자의 원래자형(번체자)까지 같이 등재되어 있는 통용규범한자표(通用规范汉字表)를 보면 着 자와 著 자를 별개의 글자로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8] 출발(出發)과 도착(到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
이 저작물은 CC BY-NC-SA 2.0 KR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단, 라이선스가 명시된 일부 문서 및 삽화 제외)
기여하신 문서의 저작권은 각 기여자에게 있으며, 각 기여자는 기여하신 부분의 저작권을 갖습니다.

나무위키는 백과사전이 아니며 검증되지 않았거나, 편향적이거나, 잘못된 서술이 있을 수 있습니다.
나무위키는 위키위키입니다. 여러분이 직접 문서를 고칠 수 있으며, 다른 사람의 의견을 원할 경우 직접 토론을 발제할 수 있습니다.

  •  
  •  
  •  
  •  
  •  
  •  
  •  
  •  
  •  
  •  
  •  
  •  
  •  
  •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