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 BACK << -|- >> HOME <<)

호위함/배수량별 목록

최근 수정 시각:
편집
현재 사용중인 아이피가 ACL그룹 IDC #12915에 있기 때문에 편집 권한이 부족합니다.
만료일 : 무기한
사유 : IDC(AS26496)
토론 역사
상위 문서 아이콘   상위 문서: 호위함

1. 개요2. 1860년 ~ 제1차 세계 대전 이전(1913년): 철갑선 출현
2.1. 3,000톤 이상 ~ 5,000톤 미만2.2. 5,000톤 이상 ~ 8,000톤 미만2.3. 8,000톤 이상 ~ 1만톤 미만
3. 제1차 세계 대전(1914년) ~ 1949년
3.1. 1,500톤 이상 ~ 2,000톤 미만3.2. 2,000톤 이상 ~ 3,000톤 미만
4. 1950년 ~ 현대 호위함
4.1. 1,500톤 이상 ~ 2,000톤 미만4.2. 2,000톤 이상 ~ 3,000톤 미만4.3. 3,000톤 이상 ~ 5,000톤 미만4.4. 5,000톤 이상 ~ 8,000톤 미만4.5. 8,000톤 이상 ~ 12,000톤 미만

1. 개요[편집]

이 항목은 호위함 또는 프리깃을 배수량 순으로 기입하는 항목이다. 일본의 군함들은 한문으로는 호위함이라 칭하지만 영문 분류에서는 구축함(DD/DDG/DDH)으로 분류하고 있기에 구축함 항목에 기입한다.

제1차 세계대전 이전에 호위함은 전열함 바로 아래 단계였다. 1980년대, 미국에서는 배수량이 매우 큰 대형 호위함들이 존재했다. 이후 1980년대 후반기에는 장갑호위함이란 물건도 등장한다.

제1차 세계대전 ~ 제2차 세계대전을 거치면서 전세계적으로 호위함은 구축함 아래 단계로 정착하기 시작했다. 하지만 미국만은 선도구축함(DL)이란 고유한 등급을 만들고 그것들을 등급과는 별개로 프리깃이라고 칭한다. 그러나 미국에서 1975년 순양함 격차 논쟁이 벌어지면서 선도구축함(DL)이란 등급은 사라지고 기존의 선도구축함들은 방공순양함(CG)으로 이동한다. 거기에 보통 구축함 보다 낮은 단계로 인식되고 초계함, 호위함과 동급으로 인식되던 호위구축함(DE)을 호위함(FF)으로 전량 이동시킨다.

1970년대 ~ 2000년대까지 호위함은 구축함 보다 배수량이 낮은 단계의 배로 인식되었다. 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유럽(특히 프랑스, 독일, 네덜란드스페인캐나다)을 중심으로 과거 구축함으로 인식되던 물건들도 호위함으로 칭하기 시작한다. 이것은 구축함에도 벌어지는 현상이었다. 2007년 3월, 일본은 전세계에서 처음으로 1만톤이 넘어가는 순양함급에 해당하는 함정을 구축함으로 부른다. 여기에 자극을 받았는지 미국, 한국도 1만톤이 넘어가는 전투수상함을 구축함으로 명명하며 동참한다. 여기에 추가적으로 일본은 2009년 3월 18일에는 2만톤 달하는 헬기항모2015년 8월 7일에는 3만톤에 달하는 경항모 또는 헬기항모를 구축함(DDH)으로 취역시키며 분류하고 있다.

한편 일본은 이것을 아시아권 한정으로 호위함으로 발표하지만 함번을 구분하는 영문에서는 구축함으로 분류된다. 국내 언론 등에서는 일부 일본의 이런 표기를 그대로 사용하여 이것들은 호위함으로 부르고 있다.[1] 하지만 정확하게 분류하자면 이 물건들은 국제적으로 영문의 표기를 따르는 구축함(DD/DDG/DDH)[2]이기에 이 항목에서 제외된다. 물론 이것들 중 상위체급의 것들은 국제적인 표준[3]에서 정확하게 비교하자면 항공모함[4], 헬기항모나 순양함이 맞다.

전체적으로 구축함은 호위함의 상위체급이란 인식이 강하게 정착되어 있다. 때문에 각국의 군함등급을 보면 대략적으로 구축함 보다는 호위함이 배수량 면에서 하위체급에 분포한다.

독일에서 2028년을 목표로 계획 중인 니더작센급 호위함이 처음으로 만재 배수량 1만톤을 넘어갔다. 점점 대형화 되어가는 군함 분류의 추세에 따라, 순수한 호위함으로서 순양함 체급의 호위함이 등장한 것이다.[5]

2. 1860년 ~ 제1차 세계 대전 이전(1913년): 철갑선 출현[편집]

2.1. 3,000톤 이상 ~ 5,000톤 미만[편집]

제조/운용국
함급
만재(전투)배수량
기준 배수량
취역
이스터급 스크류 호위함[6](5등급 함포 36문 호위함)
3,300톤
4,080톤

2.2. 5,000톤 이상 ~ 8,000톤 미만[편집]

2.3. 8,000톤 이상 ~ 1만톤 미만[편집]

3. 제1차 세계 대전(1914년) ~ 1949년[편집]

3.1. 1,500톤 이상 ~ 2,000톤 미만[편집]

제조 국가/운용국
이름/급
만재 배수량
기준 배수량
취역
1,284톤
1,158톤 ~ 1,422톤
영국/영국의 식민지 국가들
1,435톤
영국/기타 국가
1,860톤[17]
1,390톤

3.2. 2,000톤 이상 ~ 3,000톤 미만[편집]

제조 국가/운용국
이름/급
만재 배수량
기준 배수량
취역
2,260 톤
1,435톤
미국/기타 국가
2,227 ~ 2,415톤[20]
1,264 ~ 1,430톤
영국/기타 국가
2,571톤[21]
1,626톤

4. 1950년 ~ 현대 호위함[편집]

4.1. 1,500톤 이상 ~ 2,000톤 미만[편집]

제조 국가/운용국
이름/급
만재 배수량
기준 배수량
최대 방공망
취역
1,540톤
1,100톤
1,679톤 ~ 1,900톤
1,339톤

4.2. 2,000톤 이상 ~ 3,000톤 미만[편집]

4.3. 3,000톤 이상 ~ 5,000톤 미만[편집]

4.4. 5,000톤 이상 ~ 8,000톤 미만[편집]


여기부터는 사실상 구축함이라고 볼 수 있지만 작명만 호위함이라고 한다고 보면 된다.
제조 국가/운용국
함급
만재 배수량
기준 배수량
최대 방공망
취역
5,400톤
50km
5,800톤
30km ~ 120km
6,200톤[29]
5,300톤
30km
6,500톤
30km ~ 120km
7,000톤
30km ~ 150km
7,050톤
5,600톤
30km ~ 120km
7,400톤
30km ~ 324km[30]
8,000톤
30km ~ 240km
6000톤

4.5. 8,000톤 이상 ~ 12,000톤 미만[편집]

제조 국가/운용국
함급
만재 배수량
기준 배수량
최대 방공망
취역
10,000톤
10,550톤
2028년 예정
12,000톤

[1]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4&oid=001&aid=0006415959[2] http://www.etoday.co.kr/news/section/newsview.php?idxno=773414[3] 여기서 말하는 국제적인 표준은 가장 많이 선호하거나 분포되어 있는 기준을 말한다. 물론 이것들은 특별히 정해져 있지 않다. 하지만 암묵적이거나 통상적으로 구분되는 기준에서 그렇다는 것이다. 예를 들면 일본의 헬기구축함의 경우 타국에서는 100% 항공모함이나 헬기모함으로 분류되는 물건이다. 그것은 웰도크도 없어서 강습상륙함도 절대 구분할 수 없는 물건이다. 통상 헬기나 항공기가 착륙할 수 있는 갑판에 웰도크가 추가돼야 강습상륙함으로 분류된다. 웰도크가 제외된다면 좋게 봐야 헬기항모나 LHA이다. 자세한 내용은 헬기항모 항목 참조.[4]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004&oid=009&aid=0003027623[5] 체급만 거대하고 무장 자체는 통상적인 호위함과 유사하다.[6] http://en.wikipedia.org/wiki/Ister_class_frigate[7] 브리스톨급 스크류 호위함[8] HMS 랄레이 스크류 호위함(1873년)[9] HMS 인칸스턴트 스크류 호위함(1868년)[10] HMS 샤급 스크류 호위함(1873년)[11] http://en.wikipedia.org/wiki/Sachsen-class_ironclad[12] http://en.wikipedia.org/wiki/Kaiser-class_ironclad[13] http://en.wikipedia.org/wiki/Warrior-class_ironclad[14] http://en.wikipedia.org/wiki/Colony_class_frigate[15] http://en.wikipedia.org/wiki/Captain_class_frigate[16] http://en.wikipedia.org/wiki/Loch_class_frigate[17] http://en.wikipedia.org/wiki/Asheville-class_frigate[18] http://cs.wikipedia.org/wiki/T%C5%99%C3%ADda_Loch[19] http://en.wikipedia.org/wiki/Tacoma_class_frigate[20] http://blog.daum.net/our-21c-park/13057708[21] http://en.wikipedia.org/wiki/Bay-class_frigate[22] http://fa.wikipedia.org/wiki/%D9%86%D8%A7%D9%88%DA%86%D9%87_%DA%A9%D9%84%D8%A7%D8%B3_%D8%A7%D9%84%D9%88%D9%86%D8%AF[23] http://nl.wikipedia.org/wiki/Wielingenklasse[24] http://en.wikipedia.org/wiki/Niteroi_class_frigate[25] http://en.wikipedia.org/wiki/Jacob_van_Heemskerck_class_frigate[26] http://it.wikipedia.org/wiki/Classe_Bremen_(fregata)[27] http://en.wikipedia.org/wiki/Hydra_class_frigate[28] http://en.wikipedia.org/wiki/Adelaide_class_frigate[29] http://en.wikipedia.org/wiki/Shivalik_class_frigate[30] https://www.quora.com/What-is-the-range-of-the-an-spy-6-radar-How-many-targets-can-it-track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
이 저작물은 CC BY-NC-SA 2.0 KR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단, 라이선스가 명시된 일부 문서 및 삽화 제외)
기여하신 문서의 저작권은 각 기여자에게 있으며, 각 기여자는 기여하신 부분의 저작권을 갖습니다.

나무위키는 백과사전이 아니며 검증되지 않았거나, 편향적이거나, 잘못된 서술이 있을 수 있습니다.
나무위키는 위키위키입니다. 여러분이 직접 문서를 고칠 수 있으며, 다른 사람의 의견을 원할 경우 직접 토론을 발제할 수 있습니다.

  •  
  •  
  •  
  •  
  •  
  •  
  •  
  •  
  •  
  •  
  •  
  •  
  •  
  •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