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 BACK << -|- >> HOME <<)

통가자

최근 수정 시각:
2
편집
현재 사용중인 아이피가 ACL그룹 IDC #12915에 있기 때문에 편집 권한이 부족합니다.
만료일 : 무기한
사유 : IDC(AS26496)
토론 역사
[ 펼치기 · 닫기 ]
서체와 자형
성질과 분류
표준화
주음·표음화·한자음
옥편
색인
나라마다 사용
파생 문자
입력 · 검색
전산화
기타
[1] 창제 목적 중 하나
1. 개요2. 통가자의 예

1. 개요[편집]

통가자()는 한자의 사용법의 한 가지로, 특정 뜻을 나타내는 한자가 이미 있음에도 글을 쓰는 사람이 해당 한자가 생각이 나지 않아 임시적으로 음이 같은(또는 비슷한) 다른 한자로 대체해서 표기하는 것을 말한다. 가차(假借)가 영구적으로 빌려쓰는 개념이라면 통가(通假)는 임시적으로 빌려 쓰는 개념이다.

통가는 한자의 체계가 제대로 정비되기 전인 고대 시절에 주로 빈번히 발생하였고, 따라서 오래 전에 작성된 한문 텍스트일수록 통가자 또한 자주 나온다. 게다가 해당 텍스트가 쓰일 시점의 한자음이 기준이므로 현대의 음으로는 통가자를 못 알아볼 수도 있다. 따라서 한문을 해석할 때 특정 한자가 나타내고자 하는 음을 유추한 다음 의미를 해석하는 일이 필요하다.

2. 통가자의 예[편집]

'통가자 → 원래 한자' 형식으로 표기. (A의 통가자로 B를 사용한 경우 B → A로 표기)
[1] 논어의 유명한 구절 '학이시습지 불역열호(學而時習之 不亦說乎)'가 여기에 해당된다.[2] 여러 한문에서 捨 대신 舍를 사용한다.[3] 여러 한문에서 汝 대신 女를 사용하며, 이때는 두음법칙과 상관없이 '여'로 읽는다.[4] 智惠(지혜)를 知惠라고도 한다.[5] 의 간체자로도 쓰인다.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
이 저작물은 CC BY-NC-SA 2.0 KR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단, 라이선스가 명시된 일부 문서 및 삽화 제외)
기여하신 문서의 저작권은 각 기여자에게 있으며, 각 기여자는 기여하신 부분의 저작권을 갖습니다.

나무위키는 백과사전이 아니며 검증되지 않았거나, 편향적이거나, 잘못된 서술이 있을 수 있습니다.
나무위키는 위키위키입니다. 여러분이 직접 문서를 고칠 수 있으며, 다른 사람의 의견을 원할 경우 직접 토론을 발제할 수 있습니다.

  •  
  •  
  •  
  •  
  •  
  •  
  •  
  •  
  •  
  •  
  •  
  •  
  •  
  •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