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 BACK << -|- >> HOME <<)

중나라

최근 수정 시각:
2
편집
현재 사용중인 아이피가 ACL그룹 IDC #12915에 있기 때문에 편집 권한이 부족합니다.
만료일 : 무기한
사유 : IDC(AS26496)
토론 역사



仲 | Zhong Dynasty
197년 ~ 199년 음력 6월
성립 이전
멸망 이후
국호
중(仲)
별칭
충(沖)[1], 성(成)[2]
위치
중국 동남부
수도
정치 체제
국성
(袁)
국가원수
주요 황제
원술(197~199)
언어
문자
종족
통화
종교
현재 국가

1. 개요2. 국호3. 역사
3.1. 연표3.2. 건국3.3. 멸망3.4. 멸망 후의 황실
4. 군사
4.1. 지휘관
5. 정치6. 외교7. 평가8. 역대 황제9. 창작물에서
9.1. 삼국지 시리즈

1. 개요[편집]

후한원술이 황제를 참칭하며 세운 국가.

수도는 수춘(壽春)이었으며, 북양주 일대를 다스렸다. 원술 본인의 명성에 이끌린 유협세력들과, 예주 일대의 황건적 잔당, 그리고 손견의 세력과 손견 사후에는 손견의 잔당들[3]로 형성되었다. 건국 이후에는 손책이 독립하여 손책을 비롯한 손견휘하의 인재들과 손책이 정벌한 강동 일대(남양주)를 상실하였고, 결혼 동맹이 결렬된 서주의 여포를 공격하나 실패하였다. 199년 조조를 중심으로 한 주변 세력들의 대대적인 공격으로 처참하게 몰락하여 멸망했다.

2. 국호[편집]

정식 국호는 중(仲)이다. 다만, 판본에 따라서는 충(沖)이라고도 하며, 삼국지연의에서는 뜬금없이 성(成)이라고 표기되어 나온다.

3. 역사[편집]

193년
북양주 평정, 원술 서주백 자칭
195년
여강 평정
197년
원술 황제 즉위 / 건국
서주 전투, 진국 평정

기양 전투
199년
원술 사망, 멸망
흥평 2년(195년) 겨울, 이각·곽사의 무리에게 핍박받던 헌제가 장안을 탈출했는데, 당시 양주 회남(淮南) 일대를 장악하고 한참 잘 나가고 있던 원술은 이를 보고 한 황실이 완전히 몰락했다고 판단해서 원씨 적통의 위광을 믿고 황제를 참칭할 마음을 먹었으나 주부(注簿) 염상을 비롯한 부하들이 이에 반대하자 실행하지 않았다.

건안 2년(197년) 봄, 하내(河內) 사람 장형이 부명(符命)[4]을 알리자 전국옥새를 가지고 있던 원술은 오행과 참문에 따라 결국 황제를 자칭하며 국호를 중()이라 하였다. 그와 더불어 자신의 거성인 수춘이 있는 구강군을 회남윤(淮南尹)으로 고쳤다.[5] 또한 황제가 된 원술은 황제에는 대장군이 꼭 있어야 했으므로 부하 중 교유장훈을 자신의 제국인 중나라의 대장군에 임명했다. 또한 공경(公卿)과 관직을 설치하고, 봄에는 성의 북쪽 교외에서, 겨울에는 성의 남쪽 교외에서 제사를 지냈다. 한편 후궁 수백 명에게 화려한 옷을 입히고 쌀밥과 고기반찬을 질리도록 먹는 등 사치가 극심하였고, 때문에 백성들은 굶주림으로 서로 잡아먹는 지경에까지 이르렀다.
서주의 여포와 결혼 동맹을 추진하다가 결렬되자, 교유와 장훈을 대장으로 삼고 한섬, 양봉과 세력을 연결하여 수만의 대군을 일으켜서 서주를 침공한다. 그러나 진규의 이간책을 획책한 여포의 반격과 한섬, 양봉의 배신으로 중나라의 서주 원정군은 대패하였고, 승세를 탄 여포가 회남까지 내려와 크게 노략질하며 국토가 피폐해지게 된다.

같은 해 9월, 원술은 교유 · 장훈과 함께 진(陳)을 점령하고 진왕(陳王) 유총을 죽여 세력을 넓혔다. 그러나 조조의 공격을 받아 크게 패하였고, 옛 부하인 진란뇌박에게 의탁하고자 하였으나 자기들도 조조한테 죽을까봐 거절당하였다. 이에 종형 원소에게 제호를 바치는 서신을 보내어 황제를 칭할 것을 종용하였는데, 원소는 아무런 답장을 보내지 않았으나 속으로는 이를 옳게 여겼다.

곧바로 원술은 당질 원담이 다스리는 청주로 향하였으나, 유비에게 저지당하여 가지 못하였다. 수춘에서 80리 떨어진 강정(江亭)에 이르러 식량을 확인해 보니, 보리 부스러기만 30곡 정도 남아있을 뿐이었다. 날이 몹시 더워 꿀물을 마시려 하였는데, 꿀 또한 없었다. 원술은 난간에 걸터앉아 탄식하며 말하였다.
나 원술이 이 지경에 이르렀단 말인가!

이윽고 원술은 수레 바닥에 엎드려, 피를 한 말가량 토하고 죽었다.

3.4. 멸망 후의 황실[편집]

원술이 숨을 거둔 후, 종제 원윤은 일족들을 이끌고 환성(皖城)을 지키고 있던 원술의 옛 부하인 여강태수 유훈에게 의탁하였다. 이후 유훈이 출진하여 성을 비운 사이 손책이 환성을 공격하여 빼앗았고, 원씨 가문 사람들은 포로가 되어 손책에게 끌려갔다. 원술의 아들 원요는 훗날 오나라에서 낭중령(郞中令)을 지냈으며, 원술의 딸손권의 후궁이 되었다.

4. 군사[편집]

중나라의 기반이 되는 원술의 거병시절로 올라가 보면, 원술의 군세는 크게 세 가지 부류가 모여 형성된다. 원술의 명성에 따르던 유협 세력, 여남과 영천 등지의 황건적 잔당(유벽, 하의, 하만, 황소 등)과 손견이 이끄는 군세가 이에 해당한다. 비록 중원전역에서 조조와의 공방에서 연거푸 패하며 군세의 상당부분을 잃었지만, 북양주 일대(회남)에서 세력을 다시 형성하여 재기에 성공하게 된다. 따라서 원술이 수춘에 자리잡은 이후에는 주로 회남에서 모은 병력들로 군사력을 충당하게 된다. 여기에 더해서 손견 사후 손견의 잔존 세력들이 원술에게 귀의했으므로 이 두 세력이 원술 휘하 군사력의 중추를 이루게 된다. 실제로 손견의 아들 손책이 이끄는 군대는 남양주의 유요 세력을 축출하며 강동을 평정하는 위업을 달성하기도 했다. 그러나 원술이 칭제를 하며 중나라를 건국한 이후에는 손책이 독립해버려서 사실상 중나라 병력의 중추는 회남의 군사들이 이루게 되었을 것이다.[6]

병력의 구성 다음으로 규모를 살펴보자면, 건국 직후에 서주의 여포를 공격할 때 수만의 대군을 동원할 수 있는 수준이었다. 그러나 이 원정군이 여포에게 대패해서 군사력에 큰 타격을 입게 된다.

4.1. 지휘관[편집]

중나라의 지휘관은 대개 거병 초기의 반동탁 연합부터 북양주를 점거하기까지와 중나라 건국 이후로 나눌 수 있다.

거병 초기에는 주로 손견이 야전에서 눈부신 활약을 하며 원술이 세력을 키우는 데 크나 큰 기여를 하였다. 손견 사후에는 잠시 주춤하였다가 다시 북양주를 점거한 이후에는 손견의 아들인 손책과 손분, 오경 등 손견 휘하의 지휘관들을 기용하여 강동을 착실히 공략해 나간다.

그러다가 중나라가 건국되면서 손책을 위시한 손견의 잔당들이 독립해버렸는데, 대장군으로 장훈과 교유가 임명된다. 이들은 비록 대장군이었으나, 눈에 띄는 활약을 보여주진 못했다.

5. 정치[편집]

원술은 후궁 수백 명에게 화려한 옷을 입히고 쌀밥과 고기반찬을 질리도록 먹는 등 사치가 극심하였고, 때문에 백성들은 굶주림으로 서로 잡아먹는 지경에까지 이르렀다. 물론, 197년부터 회남 일대에 지독한 가뭄이 발생하였기도 했지만, 백성들은 굶어 죽어나가는데, 본인은 사치를 부렸다는 점에서 얼마나 백성을 돌보는 데 관심이 없었는 지 알 수 있다.

6. 외교[편집]

황제국을 표방했지만, 촉한과 마찬가지로 당연하게도조공국은 없었다.
후한 입장에서 원술과 중나라는 명실상부한 역적 그 자체였다. 당연히 외교관계가 좋았을 리 만무하며, 실제로 명목상 한나라의 신하에 속하는 주변 제후들의 협공에 의해 중나라는 멸망의 길을 걷게 된다.

7. 평가[편집]

원술 본인이야 전혀 의도하지 않았겠지만, 어쩌다 보니 중원에서의 경쟁에서 밀려나 남중국 중심의 패권 세력으로 재기했을 때, 남중국만의 구심점을 형성하여 대륙 패권에 도전할 수 있는 것이 가능하다는 식의 판짜기를 보여주었다. 당장 휘하에 있던 손책과 주유에게 지대한 영감이나 성격적 요소, 세력의 잔재, 반면교사를 남겨 준 덕에 강남 남중국인의 정신적 시초인 손오정권에게 여러모로 영향을 줬다는 측면에서는 의의를 지닌다. 유언-유장 부자가 형성한 파촉 세력이 촉한의 물리적 프로토타입이라면, 중나라는 오나라의 성격적 프로토타입이라 볼 수 있다.

8. 역대 황제[편집]

대수
시호
연호
재위기간
능호
초대
-
원술(袁術)
불명[7]
197 ~ 199
-

9. 창작물에서[편집]

삼국지연의, 즉 소설 삼국지에서는 성나라로 등장한다. 그래서 삼국지 마니아들 사이에서도 원술이 세운 역사상의 국가를 성나라로 알고 있는 경우가 꽤 많다.

지금까지 창작물에는 딱히 등장하지는 않았지만 토탈 워: 삼국에서는 원술 세력의 직위가 에 도달하면 중 공국, 왕에 도달하면 중나라로 바뀌게 구현되었다.

화봉요원에서도 등장, 여기서의 국명은 중가제국(仲家帝國)이다.

9.1. 삼국지 시리즈[편집]

삼국지 11에서는 원술의 칭제 이벤트가 존재한다. 194년 군웅할거 시나리오를 플레이 하였을 때 원술이 새로운 성을 추가 공략할 경우 칭제 이벤트가 발생하게 된다. 즉, 원술이 옥새를 가지고 있으면서, 3개 이상의 도시를 지배할 때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만약 원술이 컴퓨터라면 무조건 칭제를 하게되며, 플레이어가 원술일 경우에는 칭제를 안 할 수도 있다. 칭제를 하게 된다면 원술의 작위가 황제로 변경되며 국호는 자동으로 성(成)이 된다[8]. 그리고 실제 역사 처럼 모든 외교관계 험악으로 변경된다.
언뜻 보면 당연히 칭제를 하지 않는 것이 맞는 것 처럼 보이지만, 만약 실제 역사와는 달리 플레이어의 군재가 출중하여 원술 세력을 빠르게 확장시키는 데 성공한다면 이야기가 달라진다. 남들은 5,000~8,000여명의 부대를 이끄는 동안 본인은 가볍게 만을 넘는 부대들을 운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원술의 군재가 출중했다면 대륙 패권의 게임 체인저가 되었을 수도 있었을 것이라는 시뮬레이션이 가능하다.물론, 장수들의 공적이 안 따라줘서 높은 관직을 임명 못하는 참사가 벌어질 수도 있다.
CC-white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3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CC-white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3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1] 후한서집해(後漢書集解)에서.[2] 삼국지연의에서.[3] 대표적으로 손향[4] 하늘이 임금이 될 사람에게 내리는 상서로운 징조.[5] '수도'를 관장하는 직책에만 윤()을 붙인다. 현대 한국 기준 '특별시'와 같은 행정구역으로 볼 수 있다. 윤尹은 특별 행정구역 장관의 관직명인 동시에 행정구역명 그 자체로 쓰였다가 한나라 후에는 관직명으로만 쓰이게 된다. 한나라 기준으로는 전한의 수도였던 장안 일대를 경조윤, 후한의 수도였던 낙양 일대를 하남윤으로 불렀다. 조선에서 한성을 관장하는 직책도 한성판윤이었다.[6] 물론, 손향으로 대표되는 손견의 잔당의극히일부는 중나라에 잔류하기도 했다.[7] 삼국지연의에서는 중씨(仲氏)라고 나와 있으나 이는 연호가 아니라 국호다. 씨(氏)는 국(國)을 의미하는 동의어이며 진시황과 같은 의미로 원술이 중나라의 초대 황제임을 나타내는 것.[8] 코에이 삼국지시리즈는 연의 기반이기 때문에 국호가 중(仲)이 아닌 성나라로 설정되는 듯 하다.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
이 저작물은 CC BY-NC-SA 2.0 KR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단, 라이선스가 명시된 일부 문서 및 삽화 제외)
기여하신 문서의 저작권은 각 기여자에게 있으며, 각 기여자는 기여하신 부분의 저작권을 갖습니다.

나무위키는 백과사전이 아니며 검증되지 않았거나, 편향적이거나, 잘못된 서술이 있을 수 있습니다.
나무위키는 위키위키입니다. 여러분이 직접 문서를 고칠 수 있으며, 다른 사람의 의견을 원할 경우 직접 토론을 발제할 수 있습니다.

  •  
  •  
  •  
  •  
  •  
  •  
  •  
  •  
  •  
  •  
  •  
  •  
  •  
  •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