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 BACK << -|- >> HOME <<)

제3차 콘스탄티노폴리스 공방전

최근 수정 시각:
2
편집
현재 사용중인 아이피가 ACL그룹 IDC #12915에 있기 때문에 편집 권한이 부족합니다.
만료일 : 무기한
사유 : IDC(AS26496)
토론 역사
[ 로마 공화국 ]
전쟁·전투
교전국
faction emblem s... 갈리아족(세노네스족)
external/a352ddf... 루시타니 부족연합
external/b66a81d... 아레바키족
cimbri mon 256 게르만족(킴브리족 · 테우토네스족 · 암브로네스족)
masaesyli emblem... 누미디아 왕국
attachment/mon 2... 갈리아족(헬베티족)
attachment/mon 2... 갈리아족(벨가이 부족연합)
attachment/mon 2... 갈리아족(네르비족)
attachment/mon 2... 갈리아족(비투리게스족)
attachment/mon 2... 파르티아 제국
attachment/mon 2... 파르티아 제국
attachment/mon 2... 파르티아 제국
[ 로마 제국 ]
전쟁·전투
교전국
아라비아 펠릭스
cherusci mon 256 게르만족(체루스키족)
attachment/mon 2... 파르티아 제국
attachment/mon 2... 브리튼족(이케니족)
external/www.mon... 유대 반란군
게르만족(바타비족)
attachment/mon 2... 파르티아 제국
external/www.mon... 유대 반란군
external/www.mon... 유대 반란군
attachment/mon 2... 파르티아 제국
attachment/mon 2... 파르티아 제국
faction emblem s... 사산 왕조 페르시아 제국
external/wiki.to... 게르만족(고트족) · 사르마티아족
faction emblem s... 사산 왕조 페르시아 제국
[ 동로마 제국 ]
전쟁·전투
교전국
크룸 전쟁
807년~816년
시메온 전쟁
894년~896년
913년~927년
함단 전쟁
945년~967년
한닥스 공방전
960년~961년
크레타 토후국
제3차 콘스탄티노폴리스 공방전
제3차콘방전
시기
서기 674년 ~ 678년
장소
원인
교전국
지휘관
1280px-Umayyad F... 무아위야 1세
1280px-Umayyad F... 야지드 1세
1280px-Umayyad F... 파달라 이븐 우바이드
1280px-Umayyad F... 구나다 이븐 아부 우마야
1280px-Umayyad F... 무함마드 이븐 압달라
1280px-Umayyad F... 압달라 이븐 카이스
1280px-Umayyad F... 알 파이드 이븐 우바이드
1280px-Umayyad F... 야지드 이븐 샤가라†
비잔티움 제국 국기 사보리오스†
비잔티움 제국 국기 세르기오스
병력
불명
40,000 ~ 180,000명
피해
피해 규모 불명
30,000명 전사
함대 전멸
결과
영향

1. 개요2. 배경3. 전개
3.1. 초기 공세3.2. 우마이야 육•해군의 공세
4. 중요성과 이후 상황5. 논란

1. 개요[편집]

우마이야 왕조의 초대 칼리파 무아위야 1세의 아들 야지드 1세가 지휘하는 이슬람군이 콘스탄티노폴리스를 4년에 걸쳐 포위한 유명한 전쟁이다.

신생 우마이야 왕조의 위신이 걸린 대규모 전쟁이었지만 첨단 무기인 그리스의 불 앞에 큰 손해를 입고 퇴각했다. 이후 2차 피트나(제2차 무슬림 내전)로 이슬람의 군사적 위협은 크게 축소되었으나, 이 사건은 당나라 시대의 역사서에도 기록될 정도로 국제적인 파장을 미쳤다. 그리고 40년 뒤에 실패를 반복하고 대제국 우마이야 왕조는 쇠락하기 시작했다.

2. 배경[편집]

동로마 제국의 숙적 사산조 페르시아를 무너뜨리고 새롭게 등장한 이슬람 세력은 야르무크 전투에서 동로마 제국의 세력권을 아나톨리아로 후퇴하도록 만들었고 시리아이집트를 손에 넣었다.

이슬람은 이제 로도스, 크레타, 키프로스 등의 점령지를 바탕으로 해군 강화에 전력을 기울였다. 새로운 이슬람 해군은 655년의 피닉스 해전[1]에서 동로마 해군을 격퇴하고 동지중해를 휩쓴 것도 모자라 아나톨리아의 각 테마를 공략한 끝에 669년, 보스포러스 해협 맞은 편에 위치한 칼케돈을 점령한다.

그동안 이슬람군은 아나톨리아 각지를 휩쓸고 다니기만 했지 영구적인 지배를 꾀하던 적이 없었지만 이 시기부터 동로마 제국의 수도 바로 앞마당인 아나톨리아 각지에 요새를 건축하고 본격적으로 콘스탄티노폴리스를 위협하기 시작했다.

3. 전개[편집]

3.1. 초기 공세[편집]

669년의 공세는 이슬람군이 콘스탄티노폴리스를 직접 노릴 능력을 과시한 시위였으며, 동시에 동로마 제국의 수도 근처에 보급기지를 만들어 공성의 발판을 만들겠다는 의도를 보여주었다.

672년부터 이슬람 해군은 처음으로 아나톨리아 각지에 기지를 확보하고 동로마를 압박하기 시작했다. 처음부터 전쟁의 장기화를 각오한 이슬람 세력은 함대를 셋으로 나누어 매년 겨울마다 콘스탄티노폴리스를 포위하기를 반복했다.

콘스탄티노폴리스 같은 대도시는 충분히 식량을 구비할 수 없었으므로 동로마 함대가 이슬람 함대에게 패배한다면 도시의 안전은 심각한 위협을 받을 수밖에 없었다. 이에 동로마 제국의 황제 콘스탄티노스 4세는 최초로 그리스의 불을 실전에 투입할 준비를 시키고 함대를 강화했다.

3.2. 우마이야 육•해군의 공세[편집]

674년, 우마이야 함대는 동에게해의 기지를 떠나 마르마라 해로 진입했고 콘스탄티노폴리스 인근에 상륙해 겨울을 보내기 위한 기지들을 건설한 후, 콘스탄티노폴리스의 포위를 반복하여 동로마 제국군의 소모를 노렸다.

이 시기 너무 많은 산발적인 전투가 벌어졌고, 기록이 불명확해서 정확한 상황은 알 수 없지만 콘스탄티노폴리스가 포위된 채로 우마이야군은 동로마 제국 각지를 휩쓸고 다녔던 걸로 추정된다. 동로마 제국은 동시다발적인 공세에 맞서 계속 국력을 소모할 수밖에 없는 불리한 상황에 몰렸다.

677년 가을, 아르메니콘 테마의 스트라테고스인 사보리오스가 반란을 일으켜 우마이야 왕조와 손을 잡자 콘스탄티노스 4세가 지휘하는 동로마군이 마침내 우마이야군과의 결전을 준비하게 되었다. 동로마 해군은 신병기인 그리스의 불을 내세워 대규모의 우마이야 함대를 불태웠고, 아나톨리아에서는 사보리오스의 반란군과 우마이야군을 상대로 승리를 거두었다.

4. 중요성과 이후 상황[편집]

이 전투는 동로마 제국의 역사에서 가장 중요한 전투 중 하나로, 세계사적 중요성 역시 갖고 있다.

먼저 이슬람 세력의 첫 번째 패배였으며, 그로 인해 수세에 몰려 있었던 기독교측에게 큰 사기 증진이 되었다. 나아가 동로마가 이슬람으로부터 전체 기독교 세계를 보호했다는 공로를 지니고 있다. 서유럽 중심의 역사관이 퍼진 탓에 투르-푸아티에 전투가 대중적으로 더욱 잘 알려져 있지만, 만약 여기서 유럽과 아나톨리아 반도를 잇는 길목인 콘스탄티노폴리스가 함락되었다면 동로마 제국은 멸망하고, 콘스탄티노폴리스의 풍부한 경제력을 바탕으로 전체 유럽이 이슬람에 잠식되었을 것이다. 그렇다면 기독교는 그 긴 역사에도 불구하고 오늘날 조로아스터교처럼 컬트적인 종교로 전락했을지도 모른다.[2]

결과적으로 콘스탄티노폴리스의 포위는 많은 노력에도 불구하고 실패했기에 우마이야 왕조는 막대한 노력을 소모해야 했다. 바다에서는 그리스의 불에, 육지에서는 단성론 또는 단의론을 믿는 마르다이테스의 게릴라전에 시달린 무아위야 1세는 679년에 강화조약을 받아들였고 30년 동안 3,000 노미스마, 50마리의 말과 50명의 노예를 동로마 제국에 바쳐야만 했다.

한편 동로마 제국은 다시금 강대한 적을 격파하고 위신을 드높일 수 있었다. 앞선 전쟁에서 적이었던 아바르 와 슬라브는 동로마 제국의 우위를 인정했고, 아나톨리아 반도에 대한 동로마 제국의 지배는 안정되었다.

5. 논란[편집]

그러나 이 시기는 동로마 역사를 통틀어 가장 사료가 부족한 혼란기이기도 했던 만큼,[3] 정확한 전투의 양상이나 시기에 대해서 알기 힘들다. 따라서 제4차 콘스탄티노폴리스 공방전 때처럼 명백하게 대규모 공방전이 벌어졌던 것인지, 아니면 소규모 국지전이 몇년에 걸쳐 중첩되었던 것인지 알기 힘들다.

2010년대 들어 현대 학자들은 이슬람 측의 사료와 교차검증하면서 이 공방전의 실체에 대해 규명하려고 하고 있다. 대부분의 정보가 참회자 테오파네스[4]의 기록에 의존하는 만큼, 그에 대한 비판적인 시각이 오가고 있는데, 한 예로 옥스퍼드 대학교의 비잔티움 연구가인 제임스 하워드-존스턴(James Howard-Johnston)은 '그런 대규모 포위전은 없었다'고 주장한다. 포위전에 수반되는 병참이 이슬람 측의 능력 밖이었다는 것. 그리고 이 '공방전'은 훗날 레온 3세 때의 절체절명의 공방전으로부터 영향을 받아 과장되었으며, 테오파네스의 기록을 비판적으로 검토해야 한다고 설명한다. 이 외에도 적지 않은 학자들이 이 공방전이 완전한 의미의 전투라기보다는, 이슬람 세력이 제해권을 앞세워 무력시위를 하던 것이 아니었을까 하고 보고 있다.

[1] 풍랑으로 배 조종이 어려운 상태에서 싸웠기에 근접전이 되었다[2] 이 전투로부터 20여년 전에 이미 사산 왕조는 멸망했고, 페르시아는 그대로 이슬람화되어 오늘날까지 이어지고 있다.[3] 당시 제국이 존망의 위기를 맞았다는 것은 뚜렷했으며, 많은 사람들이 로마의 멸망을 예상했다. 그만큼 문화적 성과나 기록이 빈약한 시대이다.[4] 8세기 말의 연대기 작가로, 성상파괴 반대론자였다.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
이 저작물은 CC BY-NC-SA 2.0 KR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단, 라이선스가 명시된 일부 문서 및 삽화 제외)
기여하신 문서의 저작권은 각 기여자에게 있으며, 각 기여자는 기여하신 부분의 저작권을 갖습니다.

나무위키는 백과사전이 아니며 검증되지 않았거나, 편향적이거나, 잘못된 서술이 있을 수 있습니다.
나무위키는 위키위키입니다. 여러분이 직접 문서를 고칠 수 있으며, 다른 사람의 의견을 원할 경우 직접 토론을 발제할 수 있습니다.

  •  
  •  
  •  
  •  
  •  
  •  
  •  
  •  
  •  
  •  
  •  
  •  
  •  
  •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