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 BACK << -|- >> HOME <<)

마르코 페레리

최근 수정 시각:
1
편집
현재 사용중인 아이피가 ACL그룹 IDC #12915에 있기 때문에 편집 권한이 부족합니다.
만료일 : 무기한
사유 : IDC(AS26496)
토론 역사
마르코 페레리 감독의 주요 수상 이력
[ 펼치기 · 접기 ]

베를린 국제 영화제 로고
제40회
(1990년)
제41회
(1991년)
제42회
(1992년)
코스타 가브라스
(뮤직 박스)
이리 멘젤
(줄 위의 종달새)
마르코 페레리
(미소의 집)
로렌스 캐스단
(그랜드 캐년)
제29회
(1979년)
제30회
(1980년)
제31회
(1981년)
유세프 샤힌
알렉산드라아, 왜
마르코 페레리
(피난처를 찾아서)
무리날 센
(기근을 찾아서)

역대 칸 영화제
칸 영화제 로고
제30회
(1977년)
제31회
(1978년)
제32회
(1979년)
수상작 없음
마르코 페레리
(차오 마스키오[1])

예지 스콜리모프스키
(외침)
안드레이 콘찰롭스키
(시베리에이드)


1. 개요2. 소개3. 필모그래피 주요 작품

1. 개요[편집]

이탈리아의 영화 감독, 각본가.

정치, 현대 사회, 자본주의, 성 역활, 욕망에 대한 풍자를 주요 소재로 삼으며 스캔들을 일으킬 만큼 성과 죽음을 적나라하게 묘사한 파격적인 작풍으로 유명했다. 유럽 영화계에서 표현의 자유 수위가 높아진 시기인 60년대 후반부터 70년대에 크게 주목 받았다.

피에르 파올로 파졸리니 감독과 친분이 있었으며 그의 영화 《돼지 우리》에 배우로 출연하기도 했다. 파졸리니, 엘리오 페트리, 리나 베르트뮐러와 함께 이탈리아 영화계의 정치 풍자 조류를 대표하는 감독이다.

2. 소개[편집]

예술 영화 기준으로도 과격한 묘사로 인해 대중적인 감독은 아니었지만 《그랑 부프[2]》는 칸 영화제 상영 당시 심사위원장 잉그리드 버그만의 맹비난, 관객 퇴장 사태가 오히려 마케팅 요소로 작용해 전유럽에서 크게 흥행에 성공했다.

세계 3대 영화제에서 본상을 3번이나 받은 만큼 명장이지만, 과격한 묘사로 인해 호불호가 갈리며 자국 이탈리아에서도 대중적인 감독은 아니었다. 그래도 국제적인 명성을 얻은 이후, 필모그래피 중 그나마 온건한 편인 《어느 시인의 사랑》으로 연출작 중 유일하게 다비드 디 도나텔로상 감독상을 수상했다.

이탈리아와 프랑스, 스페인을 넘나들며 활동한 만큼 유럽에서는 인지도가 높지만 유럽 밖에서는 덜 알려진 편인데 한국에서는 그나마 박찬욱이 추천하고 루벤 외스틀룬드 감독의 영화 슬픔의 삼각형에 영향을 준 《그랑 부프》가 약간 알려진 편이다.

페르소나 배우로는 마르첼로 마스트로이안니, 미셸 피콜리, 카트린 드뇌브, 우고 토냐치, 한나 쉬굴라, 오르넬라 무티가 꼽힌다.

3. 필모그래피 주요 작품[편집]

  • 원숭이 여인 (1964)
  • 딜린저 이스 데드 (1969) [3]
  • 루디엔차(1972) - 베를린 영화제 국제비평가연맹상
  • 리자(1972)
  • 그랑 부프(1973) - 칸 영화제 국제비평가연맹상
  • 백인 여자에게 손대지 마라(1974)
  • 차오 마스키오(1978) - 칸 영화제 심사위원대상
  • 피난처를 찾아서(1979) - 베를린 영화제 심사위원 특별상
  • 어느 시인의 사랑(1981) - 다비드 디 도나텔로 시상식 감독상, 각본상
  • 피에라 이야기(1983) - 칸 영화제 여우주연상 / 한나 쉬굴라
  • 미소의 집(1991) - 베를린 영화제 황금곰상

[1] 바이 바이 몽키[2] 사드 후작 소설에 영향받았다는 점에서 살로 소돔의 120일과 함께 거론된다.[3] 크라이테리온 컬렉션으로 발매되었다.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
이 저작물은 CC BY-NC-SA 2.0 KR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단, 라이선스가 명시된 일부 문서 및 삽화 제외)
기여하신 문서의 저작권은 각 기여자에게 있으며, 각 기여자는 기여하신 부분의 저작권을 갖습니다.

나무위키는 백과사전이 아니며 검증되지 않았거나, 편향적이거나, 잘못된 서술이 있을 수 있습니다.
나무위키는 위키위키입니다. 여러분이 직접 문서를 고칠 수 있으며, 다른 사람의 의견을 원할 경우 직접 토론을 발제할 수 있습니다.

  •  
  •  
  •  
  •  
  •  
  •  
  •  
  •  
  •  
  •  
  •  
  •  
  •  
  •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