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 BACK << -|- >> HOME <<)

대한민국 리그 오브 레전드 국가대표팀

최근 수정 시각:
2
편집
편집 권한이 부족합니다. 로그인된 사용자(이)여야 합니다. 해당 문서의 ACL 탭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토론 역사
Team Korea of es...
대한민국 리그 오브 레전드 국가대표팀
Korea National Team of League of Legends
운영 주체
대륙 연맹
아시아e스포츠연맹(AESF)
감독
주장
[출전] 2회
[최고] 트위터 금메달 이모지 (2022)
[출전] 3회
[최고] 트위터 금메달 이모지 (2021, 2022, 2023)
[출전] 1회
[최고] 트위터 금메달 이모지 (2013)
라이벌

1. 개요2. 역대 유니폼3. 역대 감독4. 역대 선수단5. 역대 성적6. 기타 대회7. 공식 파트너8. 라이벌

1. 개요[편집]

한국e스포츠협회 산하 대한민국LoL e스포츠 국가대표팀. 현재 세계에서 중국과 함께 2대 강국으로 꼽히고 있다.[1]

LoL e스포츠 종목의 역사가 짧고 클럽대항전 기반이기 때문에 국가대항전이 거의 없어서 국가대표를 선발하는 경우가 드물고, 이벤트성 대회가 종종 있더라도 각 국가에서 가장 잘한 팀을 내보내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여전히 지역을 대표하는 지역대항전 성격이 강한 편이다.[2]

2018년,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 게임에서 e스포츠가 시범 종목으로 채택되고, 그 중 리그 오브 레전드가 포함이 되자 처음으로 정식 국가대표의 개념이 생겼다. 이후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에서는 e스포츠가 아예 정식 종목이 되고 리그 오브 레전드가 여전히 포함되면서 국가대표로서의 위상이 더욱 공고해졌다. 다만, 올림픽에는 여전히 포함될 가능성이 매우 낮고 아시안 게임에서도 e스포츠 관심도가 떨어지는 국가가 개최하는 대회가 된다면 언제라도 빠질 수 있다는 불안감이 있는 편이다. 그래도 정식 종목으로 선정된 항저우 이후로 e스포츠에 관심도가 꽤 있는 일본과 나름 투자할 계획이 있는 중동에서 개최될 예정이라 아시안 게임에서의 전망은 썩 괜찮은 편이다.

아시안게임 외에도 위상이 높진 않지만 국제e스포츠연맹이 주최하는 IeSF e스포츠 월드 챔피언십이나 한중일 e스포츠 대회 등에 국가대표를 파견한 바 있다. 다만, 해당 대회들은 프로 레벨 선수들이 참여하지 않고 아마추어 레벨에서 선수들을 선발하기 때문에 별도 문단에서 다룬다.

참고로 국가대표팀을 관리하는 한국e스포츠협회대한체육회 준회원으로 가입되어 있다.

2. 역대 유니폼[편집]

상세 내용 아이콘   자세한 내용은 대한민국 리그 오브 레전드 국가대표팀/유니폼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역대 감독[편집]

4. 역대 선수단[편집]

5. 역대 성적[편집]

대회
결과
순위
경기
은메달
2
12
9
3
금메달
1
8
8
0
일본 국기 아이치·나고야 2026년
?
?
?
?
?
카타르 국기 도하 2030년
?
?
?
?
?
사우디아라비아 국기 리야드 2034년
?
?
?
?
?
합계
금메달(1회)
1/2
20
17
3
대회
결과
순위
경기
금메달
1
8
7
1
리그 오브 레전드 종목 제외[8]
태국 국기 방콕·촌부리 2021년[9]
?
?
?
?
?
사우디아라비아 국기 리야드 2025년
?
?
?
?
?
합계
금메달(1회)
1/1
8
7
1
대회
결과
순위
경기
1위
1
5
3
2
1위
1
5
3
2
1위
1
4
4
0
합계
우승(3회)
3/3
14
10
4

6. 기타 대회[편집]

LoL e스포츠 아이콘
LoL e스포츠
기타 국제 대회
(한국 대표팀 출전)
[ 펼치기 · 접기 ]

[ 기타 대회 펼치기 · 접기 ]
기타 대회
연도
대회명
출전 한국팀
2011. 12
2012. 1
2012. 4
NaJin e-mFire 외 9팀
2012. 8
2012. 8
GIGABYTE StarsWar League
2012. 10
2012. 10
World e-Sports Masters 2012
2012. 11
2012. 11
2012. 11
2012. 12
2013. 1
GIGABYTE StarsWar League Season 2
2013. 1
2013. 1
2013. 3
2013. 3
2013. 6
2013. 10
2013. 11
2013. 11
2014. 3
2014. 12
2015. 3
2015. 11
2015. 12
2016. 3
2016. 11
2016. 12
2017. 2
2018. 8
2018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 게임 (지역예선, 본선)
2020. 5
2021. 9
2022. 9
2022. 11
2023. 9
2023. 9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 평가전
2023. 9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 본선
2023. 12
2024. 7

한국 대표팀이라는 이름으로 출전한 여러 대회가 있긴 하지만, 대부분이 이벤트성 대회이거나 지역 대표로서 나간 대회[10]인 경우들이 많았다. 한중일 e스포츠 대회의 경우 아마추어 대표팀을 선발했다.

7. 공식 파트너[편집]

8. 라이벌[편집]

국가대항전의 역사가 짧지만, 클럽 단위로도 가장 치열하게 경쟁하는 지역이 한국중국인 만큼, 국가대항전에서도 중국이 유일한 라이벌이라고 할 수 있다.

현재까지 가장 큰 국가대표 경기인 아시안 게임에서도 2018년 결승에서 맞붙었고, 당시에는 중국이 3:1로 한국을 꺾으며 금메달을 목에 걸었다. 이후 2023년 아시안 게임 4강에서 다시 만나 2대0으로 중국을 꺾고 지난 아시안게임 결승의 설욕을 되갚아줌과 동시에 결승까지 무난하게 전승을 하면서 금메달을 목에 걸었다. 그 외에도 한 차례 열린 실내 무도 아시안게임에서도 한국 팀인 kt 롤스터 불리츠가 중국 팀인 Team WE를 꺾고 우승했고, 아마추어 대회이지만 한중일 e스포츠 대회에서도 결승에서 한국이 1, 2회 대회 연속으로 중국을 꺾고 우승할 정도로 결승에서는 두 팀이 단골로 맞붙는다.
[1] 그 외의 강국으로는 대만, 베트남 등이 꼽히는데, 모두 아시아 소속이라 사실상 아시안 게임이 세계 대회급의 명성을 가지고 있다고 봐도 무방하다.[2] 지역대항전과 국가대항전이 다른 것은 지역대항전은 선수의 국적과 상관 없이 해당 지역 리그에서 뛰는 선수가 출전할 수 있다는 점이다.[3] 당시 참가 팀인 kt Rolster Bullets 감독.[4] 2022년 담원 게이밍 총감독 시절 국가대표 감독 겸임을 했고, 이후 대회가 1년 연기되었고 김정균은 담원을 나왔지만 국가대표 감독직은 유지하였다.[5] 국가대표 선발전을 팀 단위로 개최했다.[시범] 종목[7] 실제 개최는 2023년.[8] 자세한 내용은 KeSPA 2017 실내무도아시안게임 보이콧 사건 참고.[9] 실제 개최는 2023년[10] 즉, 출전 선수들의 국적이 상관 없는 대회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
이 저작물은 CC BY-NC-SA 2.0 KR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단, 라이선스가 명시된 일부 문서 및 삽화 제외)
기여하신 문서의 저작권은 각 기여자에게 있으며, 각 기여자는 기여하신 부분의 저작권을 갖습니다.

나무위키는 백과사전이 아니며 검증되지 않았거나, 편향적이거나, 잘못된 서술이 있을 수 있습니다.
나무위키는 위키위키입니다. 여러분이 직접 문서를 고칠 수 있으며, 다른 사람의 의견을 원할 경우 직접 토론을 발제할 수 있습니다.

  •  
  •  
  •  
  •  
  •  
  •  
  •  
  •  
  •  
  •  
  •  
  •  
  •  
  •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