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 BACK << -|- >> HOME <<)

본문으로 이동

자일대우 BS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122.43.218.36 (토론)님의 2022년 6월 20일 (월) 19:20 판 (→‎갤러리)

자일대우 BS
화영운수 소속 11-1번 자일대우 NEW BS106 디젤
차종중형버스
도시형버스
좌석버스
제조사자일대우버스
생산년도1986년 ~ 2020년, 2021년 ~ 현재
조립대한민국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전포동 (부산공장) (1986년 ~ 2008년)
대한민국 울산광역시 울주군 상북면 길천리 (울산공장) (2008년 ~ 2020년, 2021년 ~ 현재)
베트남 (2020년 ~ 현재)
선행차량대우 BV101
대우 BR101
대우 BM090 로얄미디
후속차량판매 중
구동방식후륜구동
차대프레임
엔진D1146 (1986년 ~ 1996년)
D2366 (1991년 ~ 1995년)
DE 시리즈 (1995년 ~ 2004년)
GE 시리즈 (2000년 ~ 2010년)
DL08 (2005년 ~ 현재)
GL11K (2011년 ~ 현재)
ISL9 (2015년 ~ 현재)
변속기5단 수동 (현재 6단 수동)
6단 자동 (ZF/앨리슨)
연료디젤
천연가스
전기
관련차량대우 대형트럭

자일대우 BS(영어: Zyle Daewoo BS)는 자일대우버스의 중대형 상용 버스 차종이다. 차명인 BS는 Bus Standard-type의 약자이다.

특징

전형적인 후부 엔진-후륜 구동 (RR) 방식의 도시형 버스 차량이다. 1986년에 최초의 모델이 생산되었으며, 1988년, 1998년, 2008년, 2011년 등에 네 차례의 마이너 체인지를 거쳤으나 기본적 사양은 크게 다르지 않다. 차량 후부에 엔진이 있기 때문에 최후부석은 높게 되어 있으며, 1995년부터는 엔진 직결식의 냉방 장치가 기본적으로 설치되어 도입되었다.

기본적으로 직렬 6기통 엔진을 사용하고 있으며, 엔진두산인프라코어가 공급하고 있으며, 2015년 이후 생산된 디젤차량은 미국 커민스사에서 공급하고 있다. 기어변속에는 전진 5단과 후진 1단의 통일중공업 혹은 다이모스의 수동변속기ZF 혹은 앨리슨제 자동변속기가 사용된다. 따라서 일반적인 승용차와 기어 배치가 다소 다른 것이 특징이다. 서스펜션은 일반 투스텝 모델은 리프 서스펜션(판 스프링)을 사용하고 있으며, 논스텝 모델은 에어 서스펜션을 사용한다.

2008년부터 제작된 차량(일명 팬더시티)의 경우 터보차저에 의하여 심한 소음을 내고 있는데 엔진 돌아가는 소리에 한박자 늦게 맞춰 나오고 있다. 천연가스버스보다 오히려 디젤에서 큰 소음이 난다.

세부 종류

중형 일반

BS090 로얄 미디 / BS090 로얄 미디 페이스리프트 (2002년도 ~ 2012년 5월)

BS090 로얄미디
BS090 로얄미디 페이스리프트

전장 8.9m 급 중형 버스로 대우 BM090 로얄미디의 페이스리프트 모델로 2002년시내버스마을버스 전용으로 출시된 차종. 출시 당시 압축천연가스 모델만 생산되다가 후에 유로Ⅱ기준에 맞추어 240마력의 DE08Tis 디젤 엔진 추가로 장착 시작. 콜부저 기본 음향은 다. 디젤 엔진2004년 유로Ⅲ 기준에 맞추어 250마력의 DL08 엔진2008년 유로Ⅳ 기준에 맞추어 동일 마력의 DL06 디젤 엔진이 사용됨과 동시에 마이너 체인지.

2006년 경기도 시내버스 체계개편으로 GBUS 출범과 동시에 2007년식부터 콜부저에 딩동음향 선택사양 추가. CNG는 240마력의 GE08Ti 엔진 적용.

2010년에는 전면부에 크롬 가니쉬 부착. 그래서 버스 동호인들은 일명을 크롬미디라고 부르는 것.

2011년 3월 가격표 개정으로 디젤 엔진은 270마력의 DL06K 엔진CNG 엔진은 240마력의 GL08K 엔진 적용.

2011년 12월 14일 NEW BS090로 업그레이드. 전후륜휠 8홀 8핀이다. 현재 콜부저 음향이 딩동 음향인 차량들은 경기도 차적의 시내버스들 중에서는 2007년식부터 2011년식까지 모두 존재해도 경기도 이외 지역 차적의 시내버스들 중에서는 2008년식부터 2011년식까지 그것도 일부만 존재.

NEW BS090 (2012년 2월 ~ 현재)

NEW BS090

2011년 12월 14일 기존 BS090 로얄미디 F/L 차종의 업그레이드 모델로 등장. 새로운 공법의 도입으로 차체와 몰딩 등 외형 대부분과 내부 풀 모델 체인지 수준으로 변화, 브레이크 성능이 개선되었고, 중문에 있던 롤러가 사라졌으며, 1997년부터 사용하던 유선형 대시보드의 FX 차종과 동일한 형태로 변경, 외부에서 노후의 주 원인이었던 고무 몰딩이 없어졌으며, 생산할 때 차체 공법 한 번에 얹을 수 있는 데킹공법으로 변경, 도장형태를 전착도장[1]으로 변경되었으며, 차체 전두부의 헤드라이트 형상 동사의 BX212 BH120와 유사한 형태로 변경, 파워 안테나의 형태가 폴 안테나에서 루프 안테나로 변경. 중문 폐쇄동작시 기존 BS090 로얄미디 F/L 차종 모델까지는 부저와 동시에 문을 닫혔으나 NEW BS모델부터는 부저가 울리고 문 닫히는 방식으로 변경. 그리고 2013년식부터는 중문에 롤러가 다시 장착으로 인해 환원, 2013년식부터 초반형은 중문음 변경 다음으로 후반형은 다시 원상태로 설정되었으며, 콜부저 딩동 음향 기본사양. 2013년 11월에 선보인 2014년식은 콜부저 테두리 색상 검은색에서 노란색으로 변경 다음으로 많이 알려져 있지 않은 탓에 적용율이 낮은 것. 디젤 엔진 모델은 전국 최초로 충청남도 공주시 소재의 시내버스 업체인 충남 공주 공주교통으로 인한 시민교통이 1호 모델로 2대를, 천연가스 모델은 서울특별시 종로구 담당 마을버스 업체인 석초운수에서 1호 모델로 1대를, 좌석버스 시트를 얹은 모델이 전국 최초로 충청북도 충주시 소재의 시내버스 업체인 삼화버스공사가 1호 모델로 4대 각각 반입. 엔진은 GL08K, DL06K 그대로이나, 출력은 270마력으로 향상. 디젤 엔진 모델은 측면 주유구 부분 도어가 2개이나, CNG 모델은 방열구와 함께 주유구를 포함한 도어가 3개로 구분. 전후륜휠 8홀 8핀. KD그룹은 10홀 10핀으로 해당업체의 주문으로 적용된 것. 유로6 규제를 시작하게 되면서 천연가스모델은 2014년부터 두산인프라코어의 GL08P (260ps / 100kg.m) 이 탑재되기 시작했고 디젤모델은 2015년부터 커민스 ISB 6.7 (280ps / 100kg.m) 엔진 사용 중. 2015년에는 스커트 패널에 마커등이 추가된데 이어, 같은해 11월에 선보인 2016년식부터는 대시보드에 오디오는 USB 단자 추가, 도시형 사양에서 승객석시트 옵션사양 중 좌석버스 시트 승객석에 손잡이 추가. 2019년 5월부터 출고되는 차량은 차량 패찰에 NEW 패찰이 사라졌으며, 전면 범퍼에 충격완화장치가 설치되면서 제원상 전장도 9,000mm 충족되어서 대형 승합차로 분류. 이어서 같은해 12월에는 뒷면 DAEWOO 엠블럼에서 ZYLE DAEWOO 엠블럼으로 변경된 2020년식이 선보였다. 2021년 6월부터는 자일대우버스 울산공장이 가동할 수 있게 되어 생산이 재개된 것. 그래서 마을버스 업체인 부산 성진버스가 NEW BS090 생산을 재개하게 된 이후 최초로 출고. 2020년 6월부터는 코로나19 장기화에 따른 수요 감소와 실적 악화등의 문제로 자일대우버스 울산공장이 무기한 휴업에 들어가서 생산라인 가동이 중단되어 생산 잠시 중단. 다시 생산 재개된다면 전비형에 비상문 장착 예정.

대형 일반

BS105 / BS105L (1986년 2월 ~ 1996년 5월)

몽골로 수출된 BS105

전장 10.5m 급 대형 버스1986년 2월 중순에 출시된 차량이다.

  • 1986년 2월 출시 당시에는 2등식 헤드라이트로 시작하여 일명 외눈박이라고 불렸다.
  • 1988년 4월에 헤드램프가 2등식에서 4등식으로 변경되고, 후면 엔진룸 그릴의 삭제, 테일램프가 가로로 더욱 길어지며, 중문의 유리창이 상하 2피스(2-Pics) 형식에서 하부의 유리창이 사라진 1피스 (1-Pics) 형식으로 변경되는 페이스 리프트를 거쳤으며, 1990년에 테일램프가 6등식에서 4등식으로 변경됨과 동시에 테일램프의 위치가 후면의 상하 경계선 아래로 내려갔으며, 1991년 대체 모델인 BS106 / BS106L 하이파워가 출시된 이후에도 염가형 사양의 리어엔진 버스로 계속 병행 생산하였다.
  • 1992년에 대시보드의 변경 및 지붕의 마크램프의 삭제 및 사이드 방향등 추가, 1993년에 시트 변경 및 후면 엔진룸에 그릴이 추가, 1995년 후반에 BS106이랑 같이 전문의 유리창이 둥근 모서리에서 BH113에 먼저 적용되었던 각진 모서리로 변경되었으나, 1996년 5월에 생산을 종료하였다.
  • 이후 대·폐차가 계속 이루어지면서, 마지막 영업용으로 남아 있던 대구광역시 세왕교통 소속 BS105와, 충청북도 충주시 충주교통에 있던 BS105도 2004년 ~ 2005년을 끝으로 모두 대·폐차되어, BS105는 영업용으로 더 이상 볼 수 없게 되었다. 10,000대를 생산하였다.
  • 전후륜휠 6홀 8핀이다.
  • 현재는 다수의 차량이 개발도상국으로 매각되었다.

BS106 / BS106L / BS106 하이파워 / BS106L 하이파워 (1991년 1월 ~ 1998년 3월)

BS106 하이파워

전장 10.6m 급 대형 버스1991년 1월부터 1998년 3월까지 생산되었다.

  • 출시 당시에는 BS105(L)과 거의 동일한 차체에 D2366 엔진을 사용하였으나, 하이파워(Hi-power)라는 브랜드명이 사용되지 않았다. 잠깐동안 마이너스 옵션으로 D1146엔진을 얻었으나 출고한 업체는 많지 않았다.
  • 콜부저 기본 음향은 멜로디 타입으로 즐거운 나의 집 첫 소절이다.
  • 1992년 중반부터 하이파워라는 브랜드명이 사용되면서 지붕의 마크 램프가 삭제되고 옆면에 작은 방향등이 추가되고 대시보드가 변경되었으며, 1993년에 시트 변경 및 엔진룸에 그릴이 추가, 1994년에 창틀 간격 확대 및 Hi-power 스티커 변경, 1995년 4월에 일반 시내형 냉방버스 사양이 등장하였다.
  • 1995년 중반에 전문의 유리창이 둥근 모서리에서 BH113에 먼저 적용되었던 각진 모서리로 변경되었고 같은 해 11월부터 DE12 엔진을 사용하기 시작하였으며, 이때부터 후면 엔진룸이 3분할 형식에서 일체형 형식으로 변경되었다.
  • 1996년 중반에 내장재가 유광 소재의 베이지색에서, 무광 소재의 은회색조로 변경되었으며, 1997년 5월에 마이너 체인지를 거치면서 대시보드와 일부 내장재 및 차체의 측면 형상이 후에 등장한 로얄시티와 같은 형식으로 변경되었다.[2]
  • 1998년 초반에 브랜드명이 하이파워(Hi-power)에서 로얄시티로 변경되어 냉방기의 형상이 약간 변화하였으며, 그해 4월에 흔히 알려져 있는 로얄시티의 모습으로 대대적인 마이너 체인지를 거쳤다.
  • 1998년식은 로얄시티 글자가 필기체고, 1999년식부터 명조체로 바뀌었다. 1·2군 시내버스 업계에서 많이 쓰였으나, 2000년을 시작으로 많은 차량이 대폐차되어 그나마 오래 하이파워를 운용하였던 명성운수, 경기고속[3]마저 대폐차되어 경기도에서는 경기고속을 마지막으로 모든 하이파워 차량이 운행하지 않게 되었고, 충청북도에 남아 있던 충주교통[4], 동일운수[5], 제천교통[6], 우진교통[7]을 마지막으로 하이파워 차량도 더 이상 운행하지 않게 되었다. 그나마 대구광역시에 남아있던 마지막 쇠창틀 차량인 창성여객 1996년식 최후기형[8]과, 마지막 세미 로얄이라 불리는 대구 우창여객 1997년식 최후기형 하이파워도 2009년 3월을 끝으로 대폐차되어 영업용 하이파워는 더 이상 볼 수 없게 되었으나 시내버스가 금호상사에 보존되어있다. 모든 영업용 차량은 개발도상국으로 팔려나가 운행중이다. 10,630대를 생산하였다.
  • 전 후륜휠은 6홀 8핀이다.
  • 특히, 콜부저 음향이 멜로디 타입인 즐거운 나의 집 첫 소절에서 음향이 이어서 나오는 차량이 일부 존재하였다.

BS106 로얄 시티 / BS106L 로얄 시티 / BS106 로얄 시티 페이스리프트 / BS106L 로얄 시티 페이스리프트 (1998년 4월 ~ 2012년 5월)

BS106L 로얄시티 시내저상형
BS106 로얄시티 페이스리프트

전장 10.6m 급 대형 버스이며 디젤 엔진 모델과 천연가스 모델이 있다. 106L 모델은 도시 저상형으로 106보다 바닥 높이가 낮다. BS106L은 CNG버스 도입 이전에 서울특별시 운송업체 위주로 많이 반입하였으나, 서울특별시CNG버스 의무화 정책으로 CNG 모델이 없고 디젤 엔진 모델만 있던 106L은 서울특별시 운송 업체에서는 반입하지 않았고, 주로 경기도 면허의 시내버스 업체에서 많이 반입해 왔다.[9] 대신 106L을 대체할 CNG 모델이 New BC211 뉴로얄하이시티이다. 로얄시티는 1998년 4월부터 BS106 하이파워가 마이너 체인지를 거쳐 헤드램프는 6등식 타입에서 2등식 타입으로 리어램프는 4등식 타입에서 6등식 타입으로 각각 변경되어 생산을 시작하였다. 동시에 콜부저 기본 음향은 멜로디 타입인 즐거운 나의 집 첫 소절에서 음향으로 변경되었다. 처음에는 DE12, DE12Ti 디젤 엔진이 사용되었고, 1999년 7월에 'Royal City' 폰트 필기체에서 명조체 변경, 자연 흡기구 모양의 장식이 생긴 것. 2000년 후반에 휠 하우스의 고무 몰딩 삭제이며, 2001년 1월부터는 유로Ⅱ 기준에 맞추어 290마력의 DE12Tis, 240마력의 DE08Tis 디젤 엔진으로 변경됨과 동시에 인터쿨러가 기본사양이 되어 자연 흡기 엔진 사양 폐지. 그러나 DE08Tis 디젤 엔진은 관련 부속품이 단종되어서 얼마 안 가 2003년에 대폐차하게 된 차량들이 많았던 것. 2004년 7월의 하반기부터는 2005년형이 선보여 유로Ⅲ 기준에 맞추어 300마력의 DL08 커먼레일 디젤 엔진 변경, 후측면에 쪽창 모양의 장식이 추가되며 자연 흡기구 모양의 장식 삭제 다음은, 후면에 커먼레일 300마력이라는 글씨가 추가되었다. 그러나 CNG를 사용한 GE12Ti 엔진에는 유로 3 기준에 이미 만족하여 글씨 미추가. 2003년식부터 내부 표찰 패찰이 대우자동차에서 대우버스로 변경되었으며, 2002년 7월과 2003년 1월식은 내부표찰이 전문 상단에 붙었으나, 2003년 2월식부터 전문 계단에 부착되었다. 그리고 2003년식부터 좌석 뒷부분에 마모방지용 보호막 추가. 2003년 11월부터 본격적으로 창문과 오디오와 경적에 대우버스 마크 사용 시작 다음으로, 2004년식부터는 바닥에 있는 녹색 문양의 크기 확대. 2004년식부터의 구분법은 후면에 글씨가 있으면 디젤, 아니면 CNG 차량이라고 보면 되는 것. CNG를 사용한 290마력의 GE12Ti 엔진2000년 본격적으로 도입. 2006년 경기도 시내버스 체계개편으로 GBUS 출범과 동시에 2007년식부터는 콜부저에 딩동 음향 선택 사양 추가.

2008년에 유로Ⅳ 환경 규제 만족과 개선을 통해 BS106 로얄시티 차종을 페이스리프트하여 시티 팬더라고 부르는데, 이후 2010년 10월에 선보인 2011년식은 앞, 뒤 가니시와 내장재를 변경한 로얄시티 차종이 생산되었는데 이 차량의 변경점은 후부에 있는 엔진장치 좌, 우를 2분할에서 1개로 통일하였다. 디젤 차량과 CNG 차량의 구분법은 디젤 차량은 엔진 방열구가 상위 2개만 있지만, CNG 차량은 엔진 방열구가 상, 하위 4개로 되어있다.[10] 그리고 디젤 차량의 SCR 장치를 CNG 차량 삭제, 1개의 방열장치 2개 추가 다음은 CNG 차량은 후부의 엔진장치 우측에 방열구멍을 뚫어놓았는데, 그 후 마이너 체인지된 BS106 로얄시티 F/L 차종이 2011년 업그레이드,전,후면 크롬 가니시를 장착하게 되면서 크롬시티 팬더라고 부르는데, 2011년 3월 가격표 개정으로 디젤 차량은 DL08K, CNG 차량은 GL11K로 엔진 변경. 2011년 12월 14일 수요일 NEW BS106로 업그레이드되면서 서울특별시 시내버스CNG 버스 출고 의무화 이후 판매가 급감되어 한동안 경기도 면허 일부 업체에서만 주로 반입되었던 BS106L 로얄시티(시내 저상형) 모델 단종. 전후륜휠 8홀 8핀이며 10홀 10핀은 옵션이다.[11] 금호상사가 퇴역한 시내버스를 소장하고 있다. 현재 콜부저 음향이 딩동인 차량은 경기도 차적의 시내버스들 중에서는 2007년식부터 2011년식까지 대부분 존재해도 경기도 이외 지역 차적의 영업용 시내버스들 중에서는 거의 다 대차, 2008년식부터 2011년식까지 그것도 일부만 존재한다.

NEW BS106 (2012년 2월 ~ 현재)

NEW BS106

2011년 12월 14일, 기존 BS106 로얄시티 F/L 차종의 업그레이드 모델 등장. 새로운 공법의 도입으로 차체와 몰딩 등 외형 대부분과 내부 풀 모델체인지 수준으로 변화 다음으로, 브레이크 성능이 개선되었고, 중문에 있던 롤러가 사라졌으며, 2007년부터 사용하던 유선형 대시보드의 FX 차종과 동일한 형태로 변경, 외부에서 노후의 주 원인이었던 고무 몰딩이 없었고, 생산할 때 차체 공법 한 번에 얹을 수 있는 데킹공법으로 변경, 도장 형태가 전착도장[12]으로 변경되었고, 차체 전두부의 헤드라이트 형상이 동사의 BX212 차종과 유사한 형태로 변경, 파워 안테나의 형태가 폴 안테나에서 루프 안테나로 변경. 그리고 콜부저 딩동 음향은 기본 사양. 중문 폐쇄동작시 기존 BS106 로얄시티 F/L 차량 모델까지는 부저와 동시에 문이 닫혔으나 NEW BS모델부터는 부저가 울리고 문이 닫히는 방식으로 변경되었다. 2013년식부터는 중문 롤러를 다시 장착하고 중문음이 변경되어 도입을 하기 시작하였으며 입석형 버스 모델에 강제환풍기 옵션이 등장하였다. 엔진성능은 DL08K 300마력 그대로이나, 정숙성 향상 다음은, 2013년 11월에 선보인 2014년식은 콜부저 테두리 색상이 검은색에서 노란색으로 변경되었으나 많이 알려져 있지 않은 탓에 적용율이 낮은데, 디젤 모델은 전국 최초로 경상북도 안동시에 위치한 안동버스에서 1호 모델로 2대를, CNG 모델은 대구광역시에 위치한 영진교통에서 시내형과 좌석형의 1호 모델을 각각 동시에 반입. 전/후륜 휠은 기본 8홀 8핀이며 10홀 10핀은 옵션.[13] 유로6 규제가 시작되면서 천연가스모델은 2014년부터 두산인프라코어의 GL11P (310ps / 120kg.m) 이 탑재되기 시작했고 디젤모델은 2015년부터 커민스 ISL 8.9 (300ps / 120kg.m) 엔진 사용 중. 2015년부터 스커트 패널에 마커등이 추가되었고, 엘리슨 자동변속기천연가스 모델에만 적용된데 이어 같은해 11월에 선보인 2016년식부터는 대시보드에 오디오는 USB 단자 추가, 도시형 사양에서 승객석시트 옵션사양 중 좌석버스 시트는 승객석에 손잡이 추가. 수동변속기 5단에서 6단으로 변경. 2017년식부터는 ZF제 리타더 의무화. 2019년 5월부터는 차량 패찰에 NEW 패찰이 사라졌으며 현대자동차의 버스처럼 측면 출입문 센서 추가. 이어서 같은해 12월에는 뒷면 DAEWOO 엠블럼에서 ZYLE DAEWOO 엠블럼으로 변경된 2020년식이 선보였는데, 2020년 6월부터는 코로나19 장기화에 따른 수요 감소와 실적 악화등의 문제로 인하여 울산공장이 무기한 휴업에 들어가서 생산라인 가동이 중단되어 생산을 잠시 중단하게 되었는데, 다시 생산 재개된다면 전비형에 비상문 장착 예정.

대형 저상

BS110CN 로얄 논스텝 / BS120CN 로얄 논스텝 / BS110CN 로얄 논스텝 페이스리프트 / BS120CN 로얄 논스텝 페이스리프트 (2002년 ~ 2012년)

BS110CN 로얄논스텝
BS120CN 로얄논스텝

2002년부터 생산된 전장 12m (120CN), 11m (110CN)[14]급의 저상버스이다.[15] 무계단 저상 구조로 되어 있으며 후문에는 장애인용 리프트 장치가 되어 있다. BS 모델 중에서는 유일하게 에어 서스펜션을 사용하며 닐링을 사용할 수 있다. 기어 핸들 설치가 곤란하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ZF제 혹은 GM-앨리슨제 버튼식 자동변속기가 적용된다.[16] BS106과 동일한 300마력 DL08K 커먼레일 디젤 엔진과 290마력 GL11K CNG 엔진을 사용한다. BS110CN / BS120CN 로얄 논스텝은 현대 저상 슈퍼 에어로시티보다 길이가 조금 길다.[17] BS110CN 역시 CNG 모델은 2007년 6월, 디젤 모델은 2007년 11월 BC211M 로얄하이시티와 유사한 신설계 차체를 적용해 풀모델체인지에 준하는 수준의 마이너 체인지를 하여 2008년식이 선보이면서 이를 일명 논스텝팬더라고 부른다.[18] 그러나 2009년 6월 15일에 결함을 이유로 리콜 명령이 내려지기도 했다.[19] BS120CN 로얄논스텝 F/L은 국내에서 경찰버스로만 뽑은적이 있었으나, 시내버스로는 한군데도 출고한적이 없었다.[20] 2010년에 앞 크롬 가니쉬 부착과 라이트 아이라인 색상을 검은색에서 무도색으로 변경하고, 전문을 글라이딩 도어에서 타는문만 폴딩 도어로, 시트 구조를 28인승에서 25인승으로, 변속기를 자동 5단에서 6단으로 변경한 2011년형이 출시되었다. 그리고 통유리와 수평와이퍼 옵션이 사라지거나 판매가 급감한 BS120CN 로얄논스텝 F/L 모델이 단종되었다. 그래서 BS110CN 로얄논스텝만 정식 모델이 되었으며, 공식 명칭은 BS110CN 저상버스 표준모델이다. 디젤 모델은 별도의 주문생산으로, CNG 모델은 정식 시판했다. BS110CN 로얄논스텝 디젤 모델의 외곽 운행 시 연비는 평균 2.8km/l이다. 2011년 12월 14일, NEW BS110으로 업그레이드 되었다. 전후륜휠 10홀 10핀이다. 유로6 규제가 시작되면서 천연가스 모델은 2014년부터 두산인프라코어의 GL11P (310ps / 120kg.m) 이 탑재되기 시작했고 EURO6이라는 마크가 부착되었다. 디젤 모델은 2015 후반기부터 커민스 ISL 8.9 (300ps / 120kg.m) 엔진을 사용하고 있다. 유로6 마크도 커민스 마크로 변했다.

NEW BS110 (2012년 ~ 현재)

NEW BS110

2011년 12월 14일 BS110CN 로얄논스텝 F/L의 업그레이드 모델로 출시되었고, 앨리슨에서 제작된 자동변속기의 위치가 대시보드에서 운전자석 왼쪽 캐비닛으로 이동되었고, 파워 안테나의 형태도 폴 안테나에서 루프 안테나로 변경되었고, 대시보드, 앞, 뒷모습 등을 제외하곤 기존 BS110CN 로얄논스텝과 별반 차이를 보이지 않는다. 공식명칭은 NEW BS110 저상버스 표준모델이다. 엔진은 NEW BS106과 동일했고, CNG 모델은 대한민국 최초로 대구광역시 소재의 시내버스 회사인 세운버스가 1호 모델을, 디젤 엔진 모델은 경상남도 거제시에 위치한 세일교통에서 1호 모델을 각각 들여왔다. 전후륜휠 10홀 10핀이다. 유로6 규제가 시작되면서 천연가스 모델은 2014년부터 두산인프라코어의 GL11P (310ps / 120kg.m) 이 탑재되기 시작했고, 디젤모델은 2015년부터 커민스 ISL 8.9 (300ps / 120kg.m) 엔진을 사용하고 있다. 2015년에는 스커트 판넬에 마커등이 추가된데 이어 같은해 11월에 선보인 2016년식부터는 대시보드에 오디오는 USB 단자가 추가되었다. 2018년부터는 NEW BC211처럼 디자인이 변경된 탄소섬유 가스통이 옵션으로 추가되었다. 2019년 5월부터 차량 패찰에 NEW 패찰이 사라졌고, 기본사양으로 전환했다. 이어서 같은해 12월에는 뒷면 DAEWOO 엠블럼에서 ZYLE DAEWOO 엠블럼으로 변경된 2020년식이 선보였다. 2020년 6월부터 코로나19 장기화에 따른 수요 감소와 실적 악화등의 문제로 인하여 울산공장이 무기한 휴업에 들어가서 생산라인 가동이 중단되어 생산을 잠시 중단하였다.

전기버스 모델은 무선충전식으로 경상북도 구미시에서 시범운행을 실시했고, 플러그인식은 2019년에 출시하여 경기도 성남시에서 첫 운행에 들어갔다. 그러나 배터리 인증 문제로 2020년에 판매가 중지되었다.

사용하는 국가

사용 중인 회사

갤러리

경쟁 차종

각주

  1. 크롬미디 후기형에 적용허게 된 바 있다.
  2. 일명 짝퉁로얄 혹은 세미로얄로 불린다.
  3. 각각 2007년, 2008년 초반 최후 운행 차량이 대폐차되었다.
  4. 2007년 최후 무냉방 쇠창틀 차량이 대폐차되었다.
  5. 2007년 최후 쇠창틀 차량이 대폐차되었다.
  6. 2008년 최후 무냉방 세미 로얄이 대폐차되었다.
  7. 2008년 최후 세미 로얄이 대폐차되었다.
  8. 2008년 5월 전국 최후의 쇠창틀 차량이 대폐차되었다.
  9. 경상북도 안동시 등에는 서울특별시 중고 106L 차종이 많다.
  10. 일부 차량은 디젤 차량이면서, 방열구가 4개나 있는 경우도 있으며 반대로 CNG 차량이면서 방열구가 2개나 있는 경우도 있다.
  11. KD그룹 시내사업부차량에 적용되어 있는데,
  12. 크롬시티 후기형에 적용한 바 있는데,
  13. KD그룹 시내사업부차량과 진주시민버스 일부차량에 적용되어 있는데,
  14. 원래는 12m의 BS120CN으로 나왔으나, 인천에서 BS120CN이 도로 사정에 맞지 않아 BS120CN의 차량 길이를 1m 줄인 11m로 특별히 주문하게 된 것이 바탕이 되어 BS110CN도 정식 모델로 나오게 되었다. 현재 대부분의 지역에서 12m인 BS120CN보다 상대적으로 기동성이 좋은 11m의 BS110CN을 영업용 시내버스로 많이 주문한다.
  15. BS120CN의 정확한 길이는 11.99m이다.
  16. 차량 반입할 때 선택한다.
  17. 대구광역시의 경우 현대 저상버스가 압도적으로 많다.
  18. 앞서 2007년 4월에 서울 모터쇼에서 120CN 로얄논스텝으로 공개된 바 있다. CNG 모델은 2007년 6월 반입분인 청주 동일운수 차량이, 디젤 모델은 2007년 11월 반입분인 제천 제천운수 차량이 그 시초이다.
  19. 대우버스 제작결함 리콜 명령 - 대한민국 정책포털
  20. 대만현지에 대만내수용으로는 시내버스로 많이 출고해서 굴러다니고 있다.
  21. 대한민국에서도 극소수 차량의 중문을 전문과 동일하게 설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