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 BACK << -|- >> HOME <<)

K5리그 챔피언십

최근 수정 시각:
3
편집
현재 사용중인 아이피가 ACL그룹 IDC #12915에 있기 때문에 편집 권한이 부족합니다.
만료일 : 무기한
사유 : IDC(AS26496)
토론 역사
K5 챔피언십에서 넘어옴
상위 문서 아이콘   상위 문서: K5리그
  1572417459 167...
K5리그 챔피언십의 우승 트로피

1. 개요2. 진행 방식3. 연도별 경기 결과4. 역대 챔피언십5. 우승 횟수6. 여담7.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대한민국의 5부 축구 리그인 K5리그의 각 권역 우승 구단과 준우승 구단 중 성적이 좋은 구단을 한 자리에 모아, 국내 최고의 아마추어 축구단을 가리는 왕중왕전격의 대회다.

2. 진행 방식[편집]

  • 각 권역을 우승한 총 11개 구단 2~3개 구단의 4개 조로 구성한 조별 리그와 토너먼트를 거쳐 최종 우승 구단을 가린다.
  • 우승 구단에게는 트로피와 메달, 상금 500만 원을 수여하며 아시아 국가의 다른 아마추어 축구단과의 해외 교류전 참가 우선권도 돌아간다.
  • 준우승 구단에게는 메달과 상금 300만 원을 수여하며 공동 3위(3, 4위전이 없다) 두 구단에게는 각각 메달과 상금 200만 원이 수여한다.
  • 경기 시간은 조별 리그 35/35 도합 70분, 준결승전 40/40 도합 80분[1], 결승전 45/45 도합 90분[2]이다.
  • 2023 시즌부터 우승 구단은 K4리그 라이센스를 갖게 된다. 단 승강제를 실시하는것이 아니므로 다이렉트로 K4리그에 가는건 아니다.[3]

3. 연도별 경기 결과[편집]

4. 역대 챔피언십[편집]

연도
개최지
최종순위
1위
2위
공동 3위
공동 3위
충북권역 우승팀
부산/경남권역 우승팀
대전/충남/세종권역 우승팀
울산권역 우승팀
1위
2위
공동 3위
공동 3위
충북권역 우승팀
부산/경남권역 우승팀
서울권역 우승팀
울산권역 우승팀
1위
2위
공동 3위
공동 3위
경기권역 우승팀
부산/경남권역 우승팀
서울권역 우승팀
대전/충남/세종권역 우승팀
1위
2위
공동 3위
공동 3위
부산/경남권역 우승팀
전남권역 우승팀
인천권역 우승팀
충남/세종권역 우승팀
1위
2위
공동 3위
공동 3위
서울권역 우승팀
대전권역 우승팀
전남권역 우승팀
경남/부산권역 우승팀

5. 우승 횟수[4][편집]

구단
우승
준우승
우승 연도
준우승 연도
2회
0회
2019, 2020
1회
3회
2022
2019, 2020, 2021
1회
0회
2021
1회
0회
2023
0회
1회
2022
0회
1회
2023

6. 여담[편집]

  • 축구를 전문적으로 하지 않고 따로 생업이 있는 아마추어들이 모여서 하는 대회이다 보니, 주말에만 경기를 몰아넣어 일정이 아주 빠듯하게 진행된다. 특히 조별리그 단계에서는 하루에 같은팀이 두번씩 경기를 치르는 경우도 있을정도. 아마추어 팀들이 조기축구회를 기반으로 하기에 프로팀에 비해 선수풀이 커서 가능한 방식이다.
  • 2020년에는 코로나19로 인해 경기지역 K5리그가 11월 초반까지 진행되지 못해[5] 권역 우승팀이 없어, 다른 권역 우승팀 10팀만이 모여 챔피언십을 치렀다. 이 대회에 한해 진행방식도 기존 조별리그/토너먼트 방식에서 부전승이 존재하는 풀 토너먼트 형식으로 바뀌었다.
  • 출전 선수들이 아마추어라 경기에 출전하는 사람과 명단에 등록된 사람이 다를수도 있는 경우가 존재해서, 경기 시작 전 꼭 심판들이 선수들이 차고 나온 사진, 이름 등 자기 신상이 담긴 목걸이를 확인하고 표에 체크까지 한다.

7. 관련 문서[편집]

[1] 연장시 20분 후 승부차기[2] 연장시 30분 후 승부차기[3] 2023년 시즌 K5리그 챔피언십 우승팀에 대하여 K4리그 참가가 가능한 클럽 라이선스가 부여된다는 부분에 대해 정확한 출처 확인이 필요하다. 2022년 리그 가이드에 따르면 K5리그 챔피언십 우승팀에 대하여 K4리그 라이선스 부여하고 승격한다는 표현이 있긴 하지만 괄호 안에 2026년 연동을 목표로 한다고 전제를 한 바 있다. 2026년 연동을 목표로 한다는 것이 "K4리그 라이선스 부여와 승격"을 2026년에 시행하는 것을 목표를 한다는 것인지, 아니면 일단 해당 시즌 우승팀에 대해 K4리그 라이선스를 부여하고 "승격"만 2026년에 시행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는 것인지는 좀 더 정확한 확인이 필요하다.[4] K5리그 챔피언십 기준[5] 이후 11월 14일부터 11월 29일까지 5라운드로 몰아서 진행했다.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
이 저작물은 CC BY-NC-SA 2.0 KR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단, 라이선스가 명시된 일부 문서 및 삽화 제외)
기여하신 문서의 저작권은 각 기여자에게 있으며, 각 기여자는 기여하신 부분의 저작권을 갖습니다.

나무위키는 백과사전이 아니며 검증되지 않았거나, 편향적이거나, 잘못된 서술이 있을 수 있습니다.
나무위키는 위키위키입니다. 여러분이 직접 문서를 고칠 수 있으며, 다른 사람의 의견을 원할 경우 직접 토론을 발제할 수 있습니다.

  •  
  •  
  •  
  •  
  •  
  •  
  •  
  •  
  •  
  •  
  •  
  •  
  •  
  •  
  •  
더 보기